• Title/Summary/Keyword: 가뭄 위험도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ssessment of Drought Vulnerability Using Bayesian Network Model (베이지안 네트워크 모델을 활용한 가뭄 취약성 평가)

  • Kim, Ji Eun;Shin, Ji Yae;Chung, Gunhui;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26-126
    • /
    • 2018
  •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 중 가뭄에 대한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가뭄은 다른 자연재해에 비해 지속기간이 길고 규모가 광범위하여, 사회 경제적인 피해가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역적으로 적합한 가뭄 대책을 수립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가뭄 위험도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역적 가뭄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상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는 가뭄 취약성 평가가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가뭄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지역별 용수 수요 및 공급관련 인자와 선행연구에서 정의된 가뭄 위험인자들 중 8개(생활 농업 공업 용수공급량, 인구밀도, 1인당 가용수자원량, 물 자급률, 취수율, 물 이용 공평성)를 선택하였다. 베이지안 네트워크(Bayesian Network) 기법을 통해 선정된 사회 경제적 요인들과 가뭄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가뭄 위험요인별 확률을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정된 주요 가뭄 위험요인별 확률을 우선순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역별 가뭄 취약성지수(Drought Vulnerability Index, DVI)를 산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행정구역별로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고 지도로 표시하였다. 지역별 가뭄 취약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익산, 상주, 완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계룡, 과천, 종로순으로 가장 낮게 산정되었다. 또한 광역자치단체의 평균 가뭄 취약성지수를 산정한 결과 전라북도 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구 및 대전광역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Assessment of Hydrologic Risk of Extreme Drought According to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이변량 빈도분석을 이용한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극한가뭄의 수문학적 위험도 평가)

  • Park, Ji Yeon;Kim, Ji Eun;Lee, Joo-Heo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5
    • /
    • pp.561-568
    • /
    • 2019
  • Recently, Korea has suffered from severe droughts due to climate change. Therefor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change of drought risk to develop appropriate drought mitigation measur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hydrologic risk of extreme drought using the current observed data and the projected data according to the RCP 4.5 and 8.5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paired data of drought duration and severity extracted by the threshold level method and by eliminating pooling and minor droughts. Based on the hydrologic risk of extreme drought events Jeonbuk showed the highest risk and increased by 51 % than the past for the RCP 4.5 scenario, while Gangwon showed the highest risk and increased by 47 % than the past for the RCP 8.5 scenario.

Sensitivity Analysis of Drought Impact Factor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ayesian Networks (구조방정식모형과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가뭄 영향인자의 민감도 분석)

  • Kim, Ji Eun;Kim, Minji;Yoo, Jiyoung;Jung, Sungwo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1
    • /
    • pp.11-21
    • /
    • 2022
  • Drought occurs extensively over a long period and causes great socio-economic damage. Since drought risk consists of social, environmental, physical, and economic factors along with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factors, it is important to quantitatively identify their impacts on drought risk.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drought hazard, vulnerability, response capacity, and risk in Chungcheongbuk-do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evaluated their impacts on drought risk using Bayesian networks. We also performed sensitivity analysis to investigate how the factors change drought risk. Overall results showed that Chungju-si had the highest risk of drought. The risk was calculated as the largest even when the hazard and response capacity were changed. However, when the vulnerability was changed, Eumseong-gun had the greatest risk. The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at Jeungpyeong-gun had the highest sensitivity, and Jecheon-si, Eumseong-gun, and Okcheon-gun had highest individual sensitivities with hazard, vulnerability, and response capacity, respectively. This study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impact factors on drought risk us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o prepare appropriate drought countermeasures considering regional drought risk.

Drought Risk Analysis in Seoul Using Cheugugi and Climate Change Scenario Based Rainfall Data (측우기 및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한 서울지역의 가뭄 위험도 분석)

  • Kim, Ji Eun;Yu, Ji Soo;Lee, Joo-Heo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3
    • /
    • pp.387-393
    • /
    • 2018
  • Consider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a quantitative analysis of extreme drought is needed to reduce the damage from extreme droughts. Therefore, in this study, a quantitative risk analysis of extreme drought was conducted. The threshold level method was applied to define a drought event using Cheugugi rainfall data in past, gauged rainfall data in present, and climate change scenario rainfall data in future. A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pula function to simultaneously consider two major drought characteristics such as duration and severity. Based on the bivariate drought frequency curves, the risks for the past, present and future were calculated and the risks for future extreme drought were analyzed comparing with the past and present. As a result, the mean drought duration of the future was shorter than that of past and present, however, the mean drought severity was much larger. Therefore short term and severe droughts were expected to occur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maximum drought risk indicated that the future maximum drought risk was 1.39~1.94 times and 1.33~1.81 times higher than the past and present. Finally, the risk of extreme drought over past and present maximum drought in the future was very high, ranging from 0.989 to 1.0, and the occurrence probability of extreme drought was high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drought risk index for drought risk assessment (가뭄 위험도 평가를 위한 종합적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Jee, Hee Won;Kim, Young-Oh;Kim, Daeho;Kang, T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4-124
    • /
    • 2019
  • 가뭄은 다른 자연재해들과 달리 복잡한 자연의 순환 시스템에 의해 발생하므로 시기가 명확하지 않으며, 사회 전반에 걸친 큰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가뭄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가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강수량과 같은 가뭄의 원인을 중점적으로 다룬 가뭄지수 연구가 대다수이다. 한편, 실제 가뭄 피해에 대한 연구들은 위험 혹은 취약성 분석으로 지수를 산정하는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농업 가뭄에 집중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 현상의 원인을 제공하는 기상학적 요인뿐 아니라 피해 대상과 대상의 내부시스템 능력에 따른 영향을 고려한 가뭄위험지수(Drought Risk Index, DRI)을 연구하였다. 또한,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를 고려하여 농업가뭄과 더불어 사회 경제학적 가뭄의 피해 평가가 가능한 통합 DRI를 산정하였다. 크론바흐 알파 계수를 통하여 지수 구성 요소들 간의 신뢰성과 DRI와 실제 가뭄 피해간의 스피어만 상관 계수를 사용하여 국내 유역에 대한 DRI의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지수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한반도의 2030, 2050, 2080년대 통합 DRI를 제시하였다.

  • PDF

Estimation of Regional Drought Risk Assessment Criteria Using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in Nakdong River Basin (이변량 빈도해석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지역 가뭄 위험도 평가 기준 산정)

  • Yu, Ji Soo;Choi, Si-Jung;Kwon, Hyun-Han;Kim, Tea-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98-498
    • /
    • 2018
  • 가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심각한 피해는 용수 부족으로 인한 수자원 시스템의 용수공급 실패이며, 따라서 가뭄 위험도는 사용 가능한 용수의 부족과 관련하여 정량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수자원 시스템의 가뭄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주로 신뢰도(reliability), 회복도(resiliency) 및 취약도(vulnerability)와 같은 세 가지 이수안전도 평가지표가 사용된다. 이러한 평가지표는 각각 용수공급 실패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또한 어느 정도의 규모로 발생하는지를 위험도를 정량화하는 것으로, 용수공급 실패사상의 빈도, 지속기간 및 심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DRI(Drought Risk Index)는 신뢰도, 평가도 및 회복도의 가중평균값으로 정의되며, 이는 지속기간과 심도를 변수로 하는 이변량 가뭄빈도해석과 같은 변수를 공유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DRI 를 이용하여 지역 가뭄 위험도 평가 기준 산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DRI_O(observed DRI)는 용수부족 시계열을 통해 산정된 공급실패 사상으로부터 산정되며, DRI_D(designed DRI)는 이변량 빈도해석을 통해 산정된 특정 지속기간을 갖는 확률가뭄심도로부터 계산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해 DRI_O 를 산정함으로써 미래의 이수안전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DRI_D 와 비교하여 지역의 용수부족으로 인한 가뭄 위험도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주로 과거 최대 가뭄사상을 목표안전도로 설정하였으나 DRI_D 를 이용하여 보다 현실적인 목표안전도를 설정할 수 있다. 낙동강 권역의 10 개 중권역의 10 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 결과 병성천 유역과 형산강 유역이 각각 최저 및 최고 위험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역 안전도 기준은 평균적으로 재현기간 5-20 년 사이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Future Hydrologic Risk of Drought in Nakdong River Basin Using Bayesian Classification-Based Composite Drought Index (베이지안 분류 기반 통합가뭄지수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의 미래 가뭄에 대한 수문학적 위험도 분석)

  • Kim, Hyeok;Kim, Ji Eun;Kim, Jiyoung;Yoo, Jiyoung;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3
    • /
    • pp.309-319
    • /
    • 2023
  • Recently,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meteorological disasters have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in vulnerability and response capability to cope with climate change because of regional climat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drought results from various factors and is linked to extensive meteorological, hydrological, and agricultural impacts.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cope with drought, it is necessary to use a composite drought index that can take into account various factors, and to evaluate future droughts comprehensively considering climate change. This study evaluated hydrologic risk(${\bar{R}}$) of future drought in the Nakdong River basin based on the Dynamic Naive Bayesian Classification (DNBC)-based composite drought index, which was calculated by apply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Streamflow Drought Index (SDI), Evaporate Stress Index (ESI) and Water Supply Capacity Index (WSCI) to the DNBC. The indices used in the DNBC were calculated using observation data and climate scenario data. A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severity and duration of the composite drought. Then using the estimated bivariate return periods, hydrologic risks of drought were calculated for observation and future periods. The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the highest risks during the future period (2021-2040) (${\bar{R}}$=0.572), and Miryang River (#2021) had the highest risk (${\bar{R}}$=0.940) on average. The hydrologic risk of the Nakdong River basin will increase highly in the near future (2021-2040). During the far future (2041-2099), the hydrologic risk decreased in the northern basins, and increased in the southern basins.

Evaluation of Near-future Drought Risk Assessment using Weather Generation (일기생성기를 통한 미래 가뭄위험도 산정)

  • Sur, Chanyang;Kim, Do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89-89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 가뭄 등과 같은 자연재해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는 사회 경제적으로도 많은 피해를 유발하고 있으며, 특히 물과 관련한 자연재해는 인류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가 된다. 이중에서도 가뭄과 관련한 연구는 진행 속도가 느리고, 가뭄의 진원지나 그 경로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로 인하여 다른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미흡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여타의 다른 자연재해에 비해 가뭄에 대한 예측 및 대책 마련 또한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몬테카를로 모의를 통해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확률론적 접근을 통해 좀 더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대책 안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기존 강우생성기와 증발산생성기를 결합한 일기생성기를 개발하고 이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미래의 가뭄위험지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산출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전역에 대하여 준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미래가뭄위험도의 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차별성은 첫 번째로 추계론적 접근을 통해 현재의 가뭄상태에 근거한 미래 가뭄에 대한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들 수 있으며, 두 번째로는 지표해석모형을 활용하여 가뭄을 해석하기 때문에 유역 전반에 걸친 토양수분 뿐 만 아니라 국내 주요 댐 상류의 저수지 유입량의 불확실성을 정량화 할 수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장기계획의 수립 및 의사결정에 있어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Drought Risk Analysis Considering Bivariate Drought Regional Frequency Analysis (이변량 가뭄지역빈도해석에 따른 가뭄위험분석)

  • Yoo, Ji-Young;Park, Jong-Yong;Kwon, Hyun-Ha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52-52
    • /
    • 2011
  • 최근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기상재해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강우패턴의 변화를 고려한 강수 전망 연구결과는 온실가스 농도 증가로 호우나 가뭄, 대설 등이 지역에 따라 서로 상반되는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극한강수의 발생빈도가 1990년대 후반 이래로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가뭄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가뭄의 해석에는 그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지표를 이용하여 가뭄을 정의하며, 그 중 강수 및 하천유량 등은 기상 및 수문학적 가뭄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강수의 부족은 가뭄의 주된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가뭄의 정량적 평가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평균수준(혹은 절단수준)을 설정하고 가뭄의 지속기간, 심도, 발생빈도 등을 정의한 후, 이를 시계열 분석하여 가뭄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가뭄은 지속기간과 심도를 주요 특성변수를 가지는 이변량 수문사상이므로, 이를 반영한 확률 및 통계학적 해석방법의 적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가뭄특성을 가뭄지속기간과 심도의 이변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지점별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지역별 가뭄발생특성을 고려하여, 강우관측지점별 과거에 발생한 최대가 뭄사상에 대한 가뭄위험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지점별 미래에 연속되는 10, 50, 100, 150년에 따라 과거의 최대가뭄이 발생할 확률을 지도로 도시하여 지역적 가뭄위험도를 분석하여 가뭄위험지역을 예상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내 가뭄취약지역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실제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장기적인 가뭄관리를 하는 데 있어, 가뭄취약지역별 차별성 있는 가뭄대응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도 하나의 객관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flood and drought disaster risks in the Mekong Delta (메콩 삼각주의 홍수 및 가뭄 재해 위험 분석)

  • Ko, Ick Hwan;Choi, Byung Man;Kim, Jeongkon;Kim, Euge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5-55
    • /
    • 2019
  • 메콩강 유역에서 가장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메콩 삼각주는 상류에 일어나는 많은 활동으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취약성을 지니고 있다. 기후 변화와 미래개발의 맥락에서 재해 위험을 평가하는 것은 기후현상/극한날씨, 취약성, 노출, 현재 위험 관리 및 적응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홍수, 가뭄, 염수침입은 IQQQM과 IS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베트남 정부가 승인한 최신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이 지역의 향후 토지이용, 물이용 및 상류에서의 수력발전 계획과 함께 모델링에 사용되었다. 홍수, 가뭄 및 염수치입 정도를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평가하였고, 최종적으로 GIS 도구를 사용한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리스크 분석 결과 저위험구역의 2모작 및 3모작 논의 면적은 6,381 ha로 떨어지고 중위험지역과 고위험구역의 2모작과 양식장 면적은 각각 약 7만 ha와 9,000 ha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뭄과 염도에 대한 위험 분석은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위험의 심각성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분석 결과 메콩 삼각주에서는 전반적으로 향후 기후변화와 상류발전에 따른 부정적 영향으로 홍수 및 가뭄재해의 위험이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 및 가뭄에 대한 보다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관리가 향후 재난에 대비하여 지역사회의 탄력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