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뭄기간

Search Result 49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nvestigation of Drought Propagation and Damage Characteristics Using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ices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활용한 가뭄 전이 및 피해 특성 분석)

  • Kim, Ji Eun;Son, Ho-Jun;Kim, Taesik;Kim, Won-Beom;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4 no.3
    • /
    • pp.291-302
    • /
    • 2024
  • Sustained meteorological drought can lead to hydrological drought, known as drought propagation. The propagated droughts cause more damage to the region than the non-propagated droughts. Recent studies on drought propagation have focused on identifying the lag time using correlation analysis. There is a lack of studies comparing damage patterns between propagated and non-propagated droughts. In this study, the overlap and pooling propagation betwee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s were analyzed using drought indices in Chungcheong Province to identify drought propagation, and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pooling, attenuation, lag and extens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Chungju-si experienced a meteorological drought in 2010, no damage was caused by the drought. However, a meteorological drought in 2017 and 2018 propagated into a hydrological drought of longer duration but less severity, resulting in drought-affected damage. Similarly, Cheongyang-gun experienced a meteorological drought in 2017, but no damage was reported from the drought. However, in the neighboring county of Buyeo-gun, a meteorological drought with a similar magnitude propagated to a hydrological drought during the same period, resulting in drought-affected damage. The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the damage from propagated drought events was more severe than the non-propagated drought events, an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drought response policies suitable for the region.

Development of drought frequency analysis program (가뭄빈도해석 프로그램 개발)

  • Lee, Jeong Ju;Kang, Shin Uk;Chun, Gun Il;Kim, Hyeon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4-14
    • /
    • 2020
  • 일반적으로 수문빈도해석은 치수계획 수립에 이용되는 설계강수량, 계획홍수량 등을 산정하기 위해 연최대치계열 또는 연초과치계열 자료를 이용한 극치빈도해석을 수행하고, 확률분포의 우측꼬리(right tail) 부분을 이용하여 확장된 재현기간에 해당하는 확률수문량을 추정한다. 하지만 가뭄 관련 분석에서는 확률분포의 좌측꼬리(left tail) 부분은 이용해 확장된 재현기간별 확률수문량을 추정해야할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물관리 실무에서 장 단기 운영계획 수립을 위해 이용하는 갈수빈도 유입량 산정 등에서도 평년보다 작은 수문량에 대한 빈도해석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국가 가뭄정보분석센터에서는 기존에 K-water연구원에서 개발한 빈도해석 프로그램인 K-FAT의 분석모듈을 이용해 극소치계열 또는 갈수빈도 유입량 분석에 특화된 가뭄빈도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GEV, Gumbel, Weibull 등 14개의 확률분포형을 포함하며, 모멘트법, 최우도법 및 L-모멘트법을 사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한다. 적합도 검정의 경우 χ2, K-S, CVM, PPCC 및 수정 Anderson-Darling test를 이용하여 다각적인 검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입력 자료의 경우 사용자가 전처리를 통해 준비한 연최소치계열 등 연도별 시계열자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일단위 및 월단위의 강수량 또는 댐 유입량 자료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간의 누적강수량, 평균 유입량으로 변환할 수 있는 자료변환 기능을 추가하여 실무 활용성을 높였다. 또한 최적 확률분포 선정을 위해 참고할 수 있도록 AIC(Akaike information criteria)와 BIC(Bayesian information criteria) 분석이 포함되어 있으며, Bootstrap 기법 등을 이용한 불확실성 산정을 통해 추정 값의 신뢰구간을 표시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베타버전 시험배포를 거쳐 가뭄정보포털을 통해 배포할 예정이다.

  • PDF

Frequency Analysis of Meteorologic Drought Indices using Boundary Kernel Density Function (경계핵밀도함수를 이용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빈도해석)

  • Oh, Tae Suk;Moon, Young-Il;Kim, Seong Sil;Park, Gu S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2B
    • /
    • pp.87-98
    • /
    • 2011
  • Recently, occurrence frequency of extreme events like flood and drought is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by global warming. Especially, a drought is more severer than other hydrologic disasters because it causes continuous damage through long period. But, ironically,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seriousness of droughts because droughts occur for a long stretch of time unlike flood. So as to analyze occurrence of droughts and prepare a countermeasure, this study analyzed a meteorologic drought among many kinds of drought that it is closely related with precipitation.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Standard Precipitation and Effective Drought Index are computed using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material observed by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ith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computed drought indices, Effective Drought Index is selected to execute frequency analysis because it is accordant to past droughts and has advantage to compute daily indices. A Frequency analysis of Effective Drought Index was executed using boundary kernel density function. In the result of analysis, occurrence periods of spring showed about between 10 year and 20 year, it implies that droughts of spring are more frequent than other seasons. And severity and occurrence period of droughts varied in different regions as occurrence periods of the Youngnam region and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re relatively shorter than other regions.

Proposal and Application of Water Deficit-Duration-Frequency Curve using Threshold Level Method (임계수준 방법을 이용한 물 부족량-지속기간-빈도 곡선의 제안 및 적용)

  • Sung, Jang Hyun;Chung, Eun-S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997-1005
    • /
    • 2014
  • This study evaluated hydrological drought the using the annual minimum flow and the annual maximum deficit method and proposed the new concept of water deficit-duration-frequency curves similar to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nnual minimum flow, the return periods of hydrological drought in the most duration of 1989 and 1996yr were the longe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nnual maximum deficit, the return periods of 60-days and 90-day deficit which are relatively short duration were the longest in 1995yr, about 35-year, Hydrological drought lasted longer was in 1995, the return period was about 20-year. Though duration as well as magnitude is a key variable in drough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using the annual minimum flow duration not distinguish dur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rought Index Based on Accumulative Pattern of Daily Rainfall (일 단위 강수량의 누적 패턴을 이용한 가뭄지수 개발 및 적용)

  • Kwon, Minsung;Park, Dong-Hyeok;Jun, Kyung Soo;Kim, T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1
    • /
    • pp.41-49
    • /
    • 2016
  • This study proposed a new drought index considering the accumulative pattern of daily rainfall, i.e., Rainfall Accumulation Drought Index (RADI). The RADI can be easily calculated at daily scale by comparing the long-term averaged cumulative rainfall to the observed cumulative rainfall for a specific dur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availability of the RADI in the field of monitoring short-term and long-term droughts by investigating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and the recurrence cycle of drought in South Korea. To present the short-term and long-term droughts, the various SPIs with different durations should be used in practice. However, the RADI can present and monitor both short-term and long-term droughts as a single index. By investigating the national average of the RADI, specific drought patterns of 20-year cycle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is study also proposed a five-level drought classification considering occurrence probability that would be a suitable alternative as a drought criterion for drought forecast/response.

Probabilistic Analysis of Drought Propagation Over The Han River Basin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 유역의 확률론적 가뭄 전이 분석)

  • Muhammad, Nouman Sattar;Kim, Ji-Eun;Lee, Joo-Heo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1
    • /
    • pp.155-163
    • /
    • 2019
  • The knowledge about drought propagation is very important in accurate estimation of hydrological drought characteristics and efficient development of early warning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a probabilistic relationship of drought propagation based on Bayesian network model for historic period and for future projection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RCP 8.5 over the Han River basi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pagation rate and lag time have increasing and decreasing trends from the historic period of 1967-2013 to the future periods of 2014-2053 and 2054-2100 under climate change, respectively. The probabilistic results of Bayesian model revealed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lag time varied spatially and decreased when the intensity of meteorological drought changed from moderate to severe and extreme condition during 1967-2013. The values of probability increased in the first future period of 2014-2053 in several sub-basins and slight decreased in the second period of 2054-2100. The proposed probabilistic results will be useful for the decision makers to develop related policies with an appropriate insight toward the future drought status.

Drought Assessment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Drought Frequency Analysis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한반도의 가뭄 평가)

  • Kim, Seong-Sil;Moon, Young-Il;Park, Gu-Soon;Oh, Tae-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36
    • /
    • 2011
  • 가뭄은 홍수와 같이 단기간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므로 그 심각성을 인식하기 어렵고 국가 차원의 대책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발생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산정하여 가뭄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빈도해석방법은 weibull분포를 이용한 매개변수적 방법과 경계핵밀도함수(Boundary Kernel Density Function)를 이용한 비매개변수적 방법을 병행하여 재현기간별 가뭄심도를 산정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rought Outlook method Using Climate Prediction with Bayesian method (기후예측정보와 베이지안 기법을 활용한 가뭄전망기술 개발 및 평가)

  • Son, Kyung-Hwa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2-22
    • /
    • 2015
  • 가뭄은 적시에 경보해야 하는 홍수와 달리 진행속도가 느리고 시간적으로 대처할 여유가 있어 진행중일지라도 미리 감지만 한다면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미국 등 수문기상 선진국에서는 수문기상 장기예보자료로부터 가뭄전망정보 생산기술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가뭄전망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여러 통계적 보정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기상청에서 가뭄전망을 목적으로 2011년에 수치예보모델을 이용하여 가뭄전망정보를 생산한바 있으나, 전망정보의 불확실성 문제로 가뭄예보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예측자료를 이용하여 가뭄전망정보 생산기술을 개발하고 정확도 개선을 위해 베이지안 기법을 연계하였다. GloSea5 (Global Seasonal forecast model 5) 장기예보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베이지안 기법을 통해 과거 관측자료에 대한 사전분포, 모델의 전망정보로부터 우도함수를 유도하여 최종 사후분포를 추정하였다. 베이지안 기법 적용 전 후에 따른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관측자료 기반의 가뭄지수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선행기간 및 계절별 가뭄예측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실제 가뭄기간 동안에 가뭄의 재현성을 지역별로 분석하였다. 장기예보자료만을 활용한 기존 가뭄전망에서는 관측 자료가 포함된 1개월 전망에서도 불확실성이 매우 높았지만 베이지안 기법 적용으로 가뭄전망의 정확도가 크게 개선되었다. 특히, 1, 2개월 전망의 시계열 가뭄지수가 관측기반의 가뭄지수의 거동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도 베이지안 기법 적용시 실제 가뭄피해 상황을 적절히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가뭄예보에 있어 기후예측정보를 단순활용하기 보다는 베이지안과 같은 통계적 보정기법을 이용하여 가뭄전망정보를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연구에서는 가뭄예보업무에 활용될 수 있도록 베이지안 기법에 대한 검증 및 평가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 PDF

Drought Analysis and Assessment Using Land Surface Model on South Korea (지표수문해석모형을 이용한 국내 가뭄해석 및 평가)

  • Son, Kyung-Hwan;Lee, Moon-Hwa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53-53
    • /
    • 2011
  • 가뭄은 강수 부족 및 온도 상승에 따른 물 수지의 불균형으로, 그 특성상 점진적이고 홍수에 비해 피해규모가 광범위 하여 효율적인 대처방안을 마련하기가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의 경우 가뭄관리를 위해 비구조적 대책 방안인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해당 지역의 부족한 용수의 정도를 시 공간적으로 측정하고 크기와 강도에 대한 정량적 또는 정성적인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강수 및 기온자료를 토대로 한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그나마 제공되는 지수들의 경우 가뭄을 나타내는 기준이 상이하여 사용자에게 많은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가뭄관리를 위해서는 장주기 기상정보를 토대로 국가 또는 권역별 가뭄감시가 이루어져야하며, 기상 분만 아니라 지표와의 물 수지 해석이 반영된 수문정보(유량, 토양수분 등) 기반의 가뭄 정보가 생산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지구 수문해석이 가능한 지표수문해석모형을 활용하여 남한에 대한 수문성분 기반의 가뭄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우선 남한 전역에 대한 기상 및 지형 정보를 구축하고 지표수문해석모형에 적용하여 격자별 수문성분을 생산하였다. 수문성분은 가뭄평가에 필요한 정보로 전환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빈도해석기법을 적용하여 가뭄에 대한 발생 빈도 및 규모를 정량화 하였다. 즉, 모형에서 산정된 수문정보로 부터 빈도해석을 수행하여 적정 확률분포형을 결정한 후, 해당기간에 대한 확률값을 산정하여 과거 대비 가뭄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였다. 산정된 지수에 대한 평가를 위해 국내 과거 가뭄기록사례를 조사 및 기존 가뭄지수인 SPI 및 PDSI를 활용하였다. 평가 방법은 시계열 및 지역별 분석과 유역별 물수지 분석으로 구분되며, 주로 가뭄기간동안의 가뭄심도와 가뭄 발생 및 해갈에 따른 재현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가뭄발생 및 해갈시기 그리고 피해지역에 대한 표현에 있어 기록된 사항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가뭄지수 보다 가뭄 재현에 있어 비교적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지표수문해석모형 기반의 가뭄평가의 경우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및 동아시아 가뭄감시 전망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the predictive performance for monthly precipitation of a deep learning model for drought forecasting (가뭄 예보를 위한 딥러닝 모델의 월 강수량 예측 성능 평가)

  • Won, Jeongeun;Choi, Jeonghyeon;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04-304
    • /
    • 2022
  • 가뭄은 인간 활동과 생태계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자연재해 중 하나이다. 가뭄을 사전에 예측하여 필요한 완화 조치를 취하고 환경적 피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가뭄 예측은 수문학, 수자원 관리, 농업 등의 분야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중장기 강수예보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가뭄 예보를 목적으로 월 강수량 예측을 위한 딥러닝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딥러닝 모델인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적용하였으며, 1981-2020년 기간의 월 강수 자료가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관측자료를 기반으로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테스트 기간에 대해 월 강수량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강수량을 통해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을 산정하고, 예측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가뭄 예보를 위한 딥러닝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