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requency Analysis of Meteorologic Drought Indices using Boundary Kernel Density Function

경계핵밀도함수를 이용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빈도해석

  • 오태석 (SK건설(주) Global Infra Marketing Team) ;
  • 문영일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성실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수자원연구실) ;
  • 박구순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수자원연구실)
  • Received : 2010.06.03
  • Accepted : 2011.01.15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Recently, occurrence frequency of extreme events like flood and drought is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by global warming. Especially, a drought is more severer than other hydrologic disasters because it causes continuous damage through long period. But, ironically,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seriousness of droughts because droughts occur for a long stretch of time unlike flood. So as to analyze occurrence of droughts and prepare a countermeasure, this study analyzed a meteorologic drought among many kinds of drought that it is closely related with precipitation.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Standard Precipitation and Effective Drought Index are computed using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material observed by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ith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computed drought indices, Effective Drought Index is selected to execute frequency analysis because it is accordant to past droughts and has advantage to compute daily indices. A Frequency analysis of Effective Drought Index was executed using boundary kernel density function. In the result of analysis, occurrence periods of spring showed about between 10 year and 20 year, it implies that droughts of spring are more frequent than other seasons. And severity and occurrence period of droughts varied in different regions as occurrence periods of the Youngnam region and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re relatively shorter than other regions.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홍수와 가뭄 같은 수문학적 재해가 과거에 비해 발생빈도와 크기가 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가뭄은 긴 지속기간에 걸쳐 피해를 유발하므로 다른 수문학적 재해에 비해 보다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가뭄은 홍수와 달리 장기간에 거쳐 발생하므로 중요성과 심각성을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가뭄의 발생에 대해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여러 가지 가뭄의 종류 중 강수량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상학적 가뭄에 대해 분석을 실시했다. 기상청에서 관측한 강수 및 온도자료를 이용하여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팔머가뭄심도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표준강수지수(Standard Precipitation Index), EDI(Effective Drought Index)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산정된 가뭄지수를 비교분석하여, 실제 과거가뭄사상에 잘 부합되며, 일별로 지수 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EDI를 이용해 가뭄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경계핵밀도함수를 이용해 EDI의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봄철의 가뭄재현기간이 10년에서 20년 빈도 사이의 값을 나타내 다른 계절보다 봄에 가뭄이 잦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영남지방과 남해안 일대의 재현기간이 상대적으로 더 짧게 나타나 지역적으로도 가뭄의 심도와 재현기간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1995)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1)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3.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2005) 가뭄관리 모니터링체계 수립 보고서.
  4.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2006) 가뭄관리 정보체계수립 보고서.
  5.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2007) 가뭄정보시스템시험운영보고서.
  6. 권현한, 문영일, 안재현, 오태석(2006) 우리나라 Palmer 가뭄지수와 기상인자와의 Multi-Scale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465-1469.
  7. 농림부(2006) 농업재난 및 위기관리 표준지침서.
  8. 농업기반공사(2003) 농업가뭄지표 실용화 및 정보제공방안(I).
  9. 농업기반공사(2004) 농업가뭄지표 실용화 및 정보제공방안(II).
  10. 농업기반공사(2005) 농업가뭄지표 실용화 및 정보제공방안(III).
  11. 류재희, 이동률, 안재현, 윤용남(2002)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 의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4호, pp. 397-410.
  12. 문영일(2000) Boundary Kernel 함수를 이용한 빈도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1호, pp. 71-76.
  13. 방재연구소(2002) 가뭄피해원인의 조사분석.
  14. 신현석, 김양수, 김재형, 김양수(1999) 엘니뇨/라니냐의 우리나라 기상/수문에의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지, 한국수자원학회, pp. 195-200.
  15. 연제문, 변성호, 이정규, 김태웅(2007) 이차원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서울지역의 가뭄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4호, pp. 335-343.
  16. 오태석, 문영일, 오근택(2008) 군집분석과 변동핵밀도함수를 이용한 지역빈도해석의 확률강우량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2B호, pp. 225-236.
  17. 오태석, 문영일(2007) 우리나라에 발생한 태풍의 시간 강우량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9호, pp. 709-722.
  18. 윤용남(1997) L-Moment법을 이용한 월 강우량 자료의 지역가뭄 빈도 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1호, pp. 55-62.
  19. 이동률(1999) 엘니뇨/남방진동과 한국의 가뭄과 관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2호, pp. 111-120.
  20. 이환기, 최병만, 이한구(2001) 2001년 전국 가뭄현황 및 가뭄극복 대책,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4호, pp. 32-44.
  21. 임경진, 심명필, 성기원, 이현재(2001) 다양한 시계열을 이용한 가뭄지표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6호, pp. 673-685.
  22. 차영일, 문영일, 윤재호, 김동권(2001) 경계 핵함수를 이용한 가뭄 빈도해석, 한국수자원학회 2001년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16-121.
  23. 차영일, 김순범, 문영일(2006) 극치값 추정에 적합한 비매개변수적 핵함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6호, pp. 495-502.
  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2) 가뭄관리 종합대책 수립연구.
  25. 한국수자원공사(2001) 전국가뭄조사보고서.
  26. Byun and Wilhite (1999) Objective quantification of drought intensity and duration, Journal of Climate, Vol. 12, No. 9, pp. 2747- 2756. https://doi.org/10.1175/1520-0442(1999)012<2747:OQODSA>2.0.CO;2
  27. Chiew, F.H.S., Piechota, T.C., Dracup, J.A., and Mcmahon, T.A. (1988)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and australian rainfall, streamflow and drought: Links and potential for forecasting, Journal of Hydrology, Vol. 204, pp. 138-149.
  28. Dai, A.G., Fung, I.Y., and Del Genio, A.D. (1997) Surface observed global land precipitation varitations during 1900-1988, Journal of Climate, Vol. 10, pp. 2943-2962. https://doi.org/10.1175/1520-0442(1997)010<2943:SOGLPV>2.0.CO;2
  29. Dracup, J.A., Lee, K.S., and Paulson, E.G. Jr. (1980) On the definiton of droughts,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Vol. 23, pp. 1100-1109.
  30. Edwards, D.C. and McKee, T.B. (1998) Characteristics of 20th century Drought in the United States at Multiple Time Series, Master thesis, Colorado State University.
  31. Guttman, N.B., Wallis, J.R., and Hosking, J.R.M. (1992) Spatial comparability of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8, No. 6, pp. 1111-1119.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2.tb04022.x
  32. Hann, C.T. (2002) Statistical Methods in HYDROLOGY. Iowa State Press, Iowa.
  33. Keppenne, C.L. and Ghil, M. (1990) Adaptive spectral analysis of the Southern Oscillation Index, in Proceedings of the XVth Annual Climate diagnostics Workshop, pp. 30-35, U. S. Department of Commerce, NOAA, Springfield, Va.
  34. Keppenne, C.L. and Ghil, M. (1992) Adaptive filtering and prediction of the Southern Oscillation index, J. Geophysical Res., Vol. 97, pp. 20449-20454. https://doi.org/10.1029/92JD02219
  35. Kiladis, G.N. and Diaz, H.F. (1989) Global climatic anomalies associated with extremes in the Southern Oscillation, Journal of Climate, Vol. 2, pp. 1069-1090. https://doi.org/10.1175/1520-0442(1989)002<1069:GCAAWE>2.0.CO;2
  36. Klein, W.H. and Bloom, H.J. (1987) Specification of monthly precipitation over the United States from the surrounding 700 mb height field, Monthly Weather Rev., Vol. 115, pp. 2118-2132. https://doi.org/10.1175/1520-0493(1987)115<2118:SOMPOT>2.0.CO;2
  37. Lall, U. and Mann, M.E. (1995) The great salt lake: a barometer of low frequency climatic variabilit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1, No. 10, pp. 2503-2516. https://doi.org/10.1029/95WR01950
  38.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repint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7-22 January, Aneheim, California, pp. 179-184.
  39. Moon Y.I. and Lall, U. (1996) Atmospheric flow indexes and interannual Great Salt Lake variability,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pp. 55-61.
  40.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No. 45, U.S. Weather Bureau.
  41. Piechota, T.C. and Dracup, J.A. (1996) Drought and regional hydrologic variation in the United States: Associations with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2, No. 5, pp. 1359-1373. https://doi.org/10.1029/96WR00353
  42. Rao, A.R. and Padmanabhan, G. (1982) Analysis and modeling of palmer's drought index series, Journal of Hydrology, Vol. 68, Issues 1-4, pp. 211-229.
  43. Shafer, B.A. and Dezman, L.E. (1982) Development of surface water supply index to assess the severity of drought conditions in snowpack runoff areas, Proc. Western Snow Conf, pp. 164- 175.
  44. Wilhite, D.A. and Glantz, M.H.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 The role of definition, Water international, Vol. 10, Issue 3, pp. 111-120. https://doi.org/10.1080/02508068508686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