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림 현상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Handled in real-time tracking of moving object occlusion (가림현상에 대처한 실시간 이동 물체 추적)

  • Kim, Hag-Hee;Yun, Han-Kyung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4 no.3
    • /
    • pp.158-166
    • /
    • 2011
  • Generally, moving object tracking used Lucas-Kanade feature tracking method which is strong in movement, rotation and size. But this method is very weak of occlusion by background or another object and so on. In this case, this method tracks backgrounds or another objects instead a moving object, or a tracking is finish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s Lucas-Kanade feature tracking method which introduce a destimation function and prediction function.

Evaluation of Marker Images based on Analysis of Feature Points for Effective Augmented Reality (효과적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특징점 분석 기반의 마커영상 평가 방법)

  • Lee, Jin-Young;Kim, Jong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9
    • /
    • pp.49-55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a marker image evaluation method based on analysis of object distribution in images and classification of images with repetitive patterns for effective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AR) system development. We measure the variance of feature point coordinates to distinguish marker images that are vulnerable to occlusion, since object distribution affects object tracking performance according to partial occlusion in the images. Moreover, we propose a method to classify images suitable for object recognition and tracking based on the fact that the distributions of descriptor vectors among general images and repetitive-pattern imag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rehensive experiments for marker images confirm that the proposed marker image evaluation method distinguishes images vulnerable to occlusion and repetitive-pattern images very well. Furthermore, we suggest that 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is superior to speeded up robust features (SURF) in terms of object tracking in marker images.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users with suitability information for various images, and it helps AR systems to be realized more effectively.

Development of Parasol Device at Convenience Harvest Product for Chilli and Bare Ground Vegetable (고추 및 노지채소 수확작업 편이장치의 해가림 장치개발)

  • Jang, SukGeun;Kim, JiMan;Choi, Hwon;Kim, Yeoungsu;Oh, Sungkil;Lim, HackKyu;Kim, Tea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4-64
    • /
    • 2017
  • 노지 고추 수확작업은 7~9월에 걸쳐 5~6회 수행되며 가장 더운 한 여름의 태양볕에 노출되어 장시간 수확작업을 하며 노지채소 및 고추 수확작업시 자외선 과다 노출되어 악성흑생종, 광선각화증, 편평세포 암 및 각종 피부암발생의 원인되기 때문에 적절한 해가림 장치의 설계가 필요하다. 해를 가려주는 장치에 사용되는 재질로는 우산 및 양산에 널리 사용되어지는 섬유로 폴리에스테르를 선정하였으며 두께로 우산의 재질로 많이 사용되는 75 denier을 채택하였다. 코팅의 종류로는 Foam, Milky, Silver, 폴리우레탄을 채택하여 섬유의 코팅 종류에 따른 차단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 방법으로서는 KS K 0850 텍스타일의 자외선 차단율 및 차단지수 시험방법에 의거 하여 실험하였다. 자외선 UV-A(365n/m), UV-B(315n/m) 측정장치는 자외선 센서, UV램프, 인디케이터로 구성된 측정기를 이용하였으며 각 재료별 5회 반복 실시하여 평균치를 산출 하였다. UV-A(365n/m) 측정값으로는 FOAM, MILKY코팅이 된 섬유재질이 KS의 우산 및 양산품질표시기준에 부합하여 해가림 장치에 사용이 적절하였으며 UV-B(315n/m) 파장 차단율 측정값으로는 KS의 우산 및 양산품질표시기준에 모두 부합되었다. 또한 해가림 장치는 태양고도에 따라 각도를 조절 가능한 형태로 설계하였으며 직사광선이 가장 강한 시간대인 10시부터 12시를 기준하여 틸팅의 최대 각도는 20도로 개발하였다. 또한 바람에 의한 날림현상을 방지하고 통풍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해가림 장치의 섬유를 2중 구조로 설계하여 바람의 순환이 되게하였다.

  • PDF

Robust Detection of Abandoned Objects Using Visual Context (시각적 정황을 이용한 가림 현상에 강건한 버려진 물체 검출)

  • Lee, Jung-Hyun;Im, Jae-Hyun;Paik, Joon-K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9 no.3
    • /
    • pp.60-66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bandoned object detection algorithm. When abandoned object was occluded other object, the existing methods cannot detect abandoned object because those methods are not able to estimate the location of abandoned object.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proposed algorithm extracts the corners around abandoned object. The detected corners are linked to center of abandoned object called by supporters. We can then estimate the location of abandoned object by using supporters. Therefore, the proposed algorithm can detect and estimate the location of abandoned object, when abandoned object is occluded by other object. For this reason,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applied to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to prevent bomb terror, which disguises as luggage or box.

Real-time People Counting System Using Multiple Depth Cameras (다중 심도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피플 카운팅 시스템)

  • Lee, YongSub;Moon, Na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652-65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심도 카메라 기반의 실시간 피플 카운팅 시스템을 제안 한다.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사람을 감지하고 추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플 카운팅 시스템은 쇼핑몰이나 대형건물의 출입구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기존 피플 카운팅 시스템에서의 급격한 조명의 변화나 겹침 현상, 가림 현상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다중 심도 카메라 환경에서 동일 객체 추적을 위해 RLM(Range Laser Method)를 적용하고, 조명 등 환경 변화에 강인한 배경 제거 및 물체 검출 기법으로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을 적용해 객체인식에 대한 정확도를 높인다. 또한, 객체를 블랍(Blob)으로 지정해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 EKF) 방법으로 객체를 추적한다. 본 제안은 피플 카운팅 시스템에의 객체 검출 및 인식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Pupil Center Detection Method using Boundary Distortion Correction (경계선 왜곡 보정을 통한 동공중심 검출 방법)

  • Lee, Injae;Cho, Chul Woo;Lee, Hyeon Chang;Lee, Heekyung;Park, Kang Ryoung;Cha, Ji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70-72
    • /
    • 2013
  • 시선추적 인터페이스는 다른 감각기관에 비해 빠른 반응속도를 보이므로 효과적인 인터랙션 수단으로 활용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선추적 기술은 장애인 안구마우스, 운전자 시선정보 분석, 광고 효과 모니터링, 차세대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선추적 인터페이스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을 소개한다.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선추적을 수행할 때 눈꺼풀로 인한 동공 가림 현상이 자주 발생하며, 각막반사광으로 인한 동공 경계 왜곡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동공 중심이 왜곡되어 시선위치에 오류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눈꺼풀 및 각막반사광으로 인한 왜곡 현상을 보정하여 동공 중심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Face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Skin Color Information and Haar-Like Features in Real-Time Video (실시간 영상에서 피부색상 정보와 Haar-Like Feature를 이용한 얼굴 검출 및 추적)

  • Kim, Dong-Hyeon;Im, Jae-Hyun;Kim, Dae-Hee;Kim, Tae-Kyung;Paik, Joon-K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46-149
    • /
    • 2009
  •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in real-time video constitutes one of the recent topics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In this paper, we propose face detection and tracking algorithm using the skin color and haar-like feature in real-time video sequence. The proposed algorithm further includes color space to enhance the result using haar-like feature and skin color. Experiment results reveal the real-time video processing speed and improvement in the rate of tracking.

  • PDF

Learning Similarity between Hand-posture and Structure for View-invariant Hand-posture Recognition (관측 시점에 강인한 손 모양 인식을 위한 손 모양과 손 구조 사이의 학습 기반 유사도 결정 방법)

  • Jang Hyo-Yeong;Jeong Jin-U;Byeon Jeu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7-19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비전 기술에 기반을 둔 손 모양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학습을 통해 손 모양과 손 구조 간 유사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비전 센서에 기반을 둔 손 모양 인식은 손의 높은 자유도로 인한 자체 가림 현상과 관찰 방향 변화에 따른 입력 영상의 다양함으로 인해 인식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비전 기반 손 모양 인식의 경우, 카메라와 손 간의 상대적인 각도에 제한을 두거나 여러 대의 카메라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카메라와 손 간의 상대적 각도에 제한을 두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제약이 따르게 되며,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입력된 영상에 대한 인식 결과를 최종 인식 결과에 반영하는 방식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전 기반 손 모양 인식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식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손 모양 특징을 손 구조적인 각도 정보와 손 영상 특징으로 나누고, 학습을 통해 각 특징 간 연관성을 정의한다.

  • PDF

Analysis on Occlusion Problem of Landmark-based Homing Navigation Methods (랜드마크 기반 귀소 내비게이션 알고리즘의 가림 현상 분석 및 비교)

  • Yu, Seung-Eun;Kim, Dae-Eun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17 no.6
    • /
    • pp.596-601
    • /
    • 2011
  • Autonomous navigating algorithms for mobile robots have been proved to be a difficult task. Based on the excellent homing performance shown by many insects, bio-inspired navigation algorithms for robotic experiments have been widely researched and applied to the design of navigational strategies for mobile robots. In this paper, among them, we analyze two simple landmark navigation methods their strengths and limits.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occlusion problem mainly, which is an important yet tough problem in many landmark navigation algorithms. In the point of view of the error of homing vector and the performance of the homing paths in the environment with artificial occlusions,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occlusion problem in both methods in order to further study on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