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로경관사업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학교통학로 녹지가 보행자의 만족도와 조성 방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eenspace on School Commuting Routes on Pedestrian Satisfac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of Creation)

  • 김민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0-32
    • /
    • 2022
  • 본 연구는 학교통학로 녹지가 보행자의 만족도와 조성 방향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서울시 학교통학로 녹화사업이 완료된 2개 학교와 가로 녹지가 조성되지 않은 비교 대상지인 2개 학교의 학생을 포함한 보행자 3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녹지 만족도 분석 결과 녹지가 조성된 학교는 만족도 8개 항목에 대해 모두 만족하였고, 전반적인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항목으로는 '보도의 폭'(37%), '주변 경관과의 조화'(24.97%), '나무나 풀, 꽃의 배치'(18.30%), '전반적인 관리 상태'(10.44%)였다. 즉, 녹지 만족을 영향을 미치는 항목으로는 녹지가 위치하는 보도의 폭(너비)이 적정히 확보되어 보행에 문제가 없어야 하는 기능적 측면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녹지의 세부적 구성 요소보다는 전반적인 경관과의 조화에 대해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기존 보도에 녹지를 조성하는 현재 사업 형태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보행 편의성을 위한 보도폭의 확보가 가로녹지 조성 사업 시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임을 나타낸다. 녹지 조성 방향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면, 학교통학로 녹화사업을 통하여 가로녹지에 대한 경험을 한 응답자는 풀과 꽃 등 자연 소재에 대해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경관과 조화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녹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응답자 또한 나무와 풀, 꽃 등을 조성하는 등 자연 소재의 배치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녹지의 기능성과 효과성에 대한 장점을 인지하는 그룹이 녹지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녹지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녹지 효과성에 대한 환경 교육과 홍보, 안내판 조성 등을 통하여 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획일적 형태보다는 지역과 학교 특성을 반영하는 등의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시지각적 분석을 통한 가로경관개선사업 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시 광복로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treetscape through Analysis of Visual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s - Focused on the Gwangbok Street, Busan -)

  • 양재혁;이강희
    • KIEAE Journal
    • /
    • 제9권3호
    • /
    • pp.37-46
    • /
    • 2009
  • This study conducted an evaluation of the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 of the Gwangbok Street through analysis of visual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selected pictures of streetscape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This work has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nfluence subjects' satisfaction degrees including physical street equipments and street view factors which are main contents of this project. Using a satisfac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each factor's significance was verified quantita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hysical components of the streetscape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according to project's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priorities. These 4 types include (1) Components for maintenance because of higher satisfaction and higher importance, (2) Components for improvement because of lower satisfaction and higher importance, (3) Components for good business fruits because of higher satisfaction and lower importance, and (4) Components for unnecessity because of lower satisfaction and lower importance.

구룡 해안마을 경관형성 기본계획 (Preliminary Landscape Improvement Plan for Gu-ryong Village)

  • 김연금;최정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23-34
    • /
    • 2012
  • 본 연구는 '2010년도 해안마을 경관형성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국토해양부가 주관하고 고흥군이 시행한 '구룡 해안마을 경관형성 기본계획'을 다룬다. 해안마을 경관은 정주, 경제, 문화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이므로 해안마을 경관형성 기본계획은 관광자원화와 정주환경조성, 문화 활동 간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주민들의 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관의 잠재성과 생활문화방식을 존중하면서 경관의 개선 및 증진'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했다. 연구 진행에 있어서는 주민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해 주민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경관 인식과 아이디어를 이야기할 수 있도록 했고 경관 추진위원회라는 소통 창구를 통해 경관형성 계획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진행했다. 경관형성 계획은 먼저 시간에 따라 훼손된 자연경관을 복원하고 정비하였다. 구룡산은 배후산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나대지를 복원하고 산마루 지형을 활용하여 전망공간을 조성했다. 해안과 관련해서는 돌을 사용한 계단식 스탠드와 노두길 조성으로 접근성을 높였다. 마을 길 체계는 해안도로, 마을 안길, 산자락길, 노두길 등을 대상으로 사라진 길은 복원하고, 끊긴 부분은 잇고 연결하면서 경관 주제에 맞도록 재구성하였다. 또한 주민들의 외부활동 편의성 증진과 방문객이 체계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기존의 거점 공간을 정비하거나 새롭게 조성했다. 이와 함께 가이드라인을 통해 사적영역에서의 경관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가이드라인은 건축물의 지붕 벽체 담장과 가로에 놓이는 컨테이너 박스와 어구를 대상으로 했다. 본 연구는 주민참여 프로그램과 주민들과의 협의를 통해 주민들의 생활에 밀착한 해안마을 경관형성 기본계획을 수립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해안마을 경관 형성 사업의 한계점과 과제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첫째는 주민들의 인식과 실천 사이의 간극이다. 주민들은 마을경관의 문제점을 알고 있었으나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데 있어서는 한계를 나타냈다. 둘째는 마을 경관형성사업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부족이다. 지방정부와 주민들은 마을 경관형성 사업을 신규 건축이나 도로 확장 같은 개발 사업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는 경관이 그러하듯이, 이러한 계획은 단시간에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일회적인 사업보다는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ITS 통신망의 지중화 구성 방안 (Study on ITS Communication Box in Japan)

  • 류승기;조한익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050-1051
    • /
    • 2008
  • 도로에서 전력 통신용으로 쓰이는 전주나 전선의 설치로 인한 도로 점용은 보행자의 안전과 원활한 통행로 확보에 문제로 지적되었는데, 최근 도시는 지상의 설치물을 지하로 매설하여 깨끗한 가로 환경을 조성하는 추세이다. 반면 국도 ITS 사업은 지상에 여러 종류의 장치, 전력선, 통신선을 구성하면서 도시 경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지적받고 있다. 이에 통신 선로의 지중화를 통해 도시 경관 정비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으나, 가공 선로보다 2배 이상의 설치비용이 더 필요하다. 일본의 경우, 1986년부터 2차례에 걸친 전선류 지중화 계획을 관련 성 청, 전력 통신사업자 등과 연계하여 Cab System 방식으로 전선류 지중화를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추진하는 국도 ITS에 적합한 광통신망의 지중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주민참여 도구로써 가로경관 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성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Streetscape Design Guideline as a Tool of Residents' Participation)

  • 강혜연;이연숙
    • KIEAE Journal
    • /
    • 제12권4호
    • /
    • pp.59-69
    • /
    • 2012
  • In order to create humanitarian living environment with sustainable ecological environm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been implemented recently seeking diverse methods for residents'participation stressing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the residents changing from the existing one way planning by limited number of experts. Particularly, it is essential to develop systematic tools to promote the voluntary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because residents have to perform as the master of urban streetscape design project that requires sophisticated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also because the residents have to function as sustainable maintainers and managers of their streetscape.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major contents of design guideline as a tool to support the voluntary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streetscape maintenance.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structural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Chicago streetscape design guideline that was developed as tool for residents' participation, efforts were made to set up framework of design guideline for sustainable streetscape project with the users' participation with their overall understanding and trust. In detail, the author studied the resident participatory process for sustainable maintenance and management in a long term landscape project and the principle and theories of design planning for streetscape that supports the utilizing behaviors of the users, and how this information should be linked and organized to form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design guideline. As a tool supporting residents' participation and helping the residents perform the responsible function as sustainable maintainers and managers of their streetscape through social maturity with ontological sense of masters of their local community as they experience the gradual processes of their streetscape maintenance project, streetscape design guideline has its meaning in the efforts that tried to achieve deep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through researches converging the two academic sectors of urban architecture and social psychology.

주거지역의 옥외 가로조명 광공해에 관한 연구 (Light Pollution of Street in Residential Area)

  • 이소미;김정태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4
    • /
    • 2004
  • 우리나라의 도시 옥외조명은 1988년 서울올림픽을 전후하여 관심이 확대되었으며, 서울시는 1996년 서울시 경관조명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숭례문 등 각종 문화재에 옥외조명시설을 설치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옥외조명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설치하고 있는 초기단계에 있어 옥외조명을 계획하는데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광공해에 대해서는 아무런 인식 없이 과다한 조명으로 광공해를 유발시키고 있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선진외국에서는 일찍부터 광공해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옥외조명조례의 제정과 가이드라인의 발표로 양호한 조명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공해가 거주자와 보행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주거지역의 옥외가로조명의 광공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외국의 경우 광공해가 발생하는 지역의 조명환경개선사업을 펼쳐 광공해에 따른 악영향을 줄임과 동시에 조명에너지 절약의 효과도 가져왔다. 국내의 경우 전반 확산형(Non-Cutoff) 가로등이 보행자에게는 눈부심을 일으키고, 거주자에게는 프라이버시 침해와 숙면에 방해를 가져오므로 차폐된 조명기구를 사용해 이런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내의 경우 아직 광공해에 대한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과 기준안 마련이 시급하다.

  • PDF

소도읍 중심가로 활성화를 위한 보행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홍성군 광천읍 '광천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for the Small Town Main Street Revitalization -Focusing on 'Gwangcheon Main Street' in Hongseong County-)

  • 유선문;양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450-2459
    • /
    • 2014
  • 이 연구는 광천소도읍의 중심가로인 '광천로'에서 이루어진 도시계획 도로 개설 및 가로 환경개선 사업에 현황과 그 결과를 분석하고, 침체된 소도읍 중심가로의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기본적인 계획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가로인 광천로에 대한 현장조사 및 이용자 인터뷰를 통하여, 장애물로 인한 보행로의 협소, 불법광고시설물로 인한 미관훼손 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보행환경 개선을 통한 중심가로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보행자 중심의 가로환경 구축, 둘째, 가로경관 개선, 셋째, 보행 친화적 상가 계획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역 개발요소와의 연계를 통한 가로의 계획이 필요하다.

부산 상해거리 상점 전면부 경관요소의 유형적 분석과 중국 전통 경관이미지의 재현 수법에 관한 연구 (A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lements and the Reappearance Technique of Landscape Image in the Chinatown of Shanghai Street in Busan)

  • 박향화;강영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0-141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 상해거리의 상점 전면부 경관 요소의 유형과 중국 전통 경관이미지의 재현 수법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범위는 상해거리의 화교소유 건물을 대상으로 한 건물전면부의 경관적 특징과 상호명, 그리고 가로환경 조형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 전면부의 경관적 특징을 유형적으로 고찰한 결과를 보면, 건물의 파사드 디자인 형태는 한자간판 강조형, 걸게간판 부가형, 전통문양 부착형, 전통건축이미지 차용형, 현대건축 양식형 등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간판 디자인에 있어서는 색의 경우 글자색은 황색계열, 백색계열배경색은 적색계열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글자체는 모두 번체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명은 크게 작명 방법과 상호명의 의미로 살펴보았다. 작명 방법은 의미와 장소의 결합, 계절과 분위기의 결합, 명소 명물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 의미와 장소의 결합 명명법은 차이나타운 형성 초기부터 사용한 수법이고, 계절과 분위기의 결합 명명법은 1970년대부터 사용하였으며, 명소 명물 명명법은 상해거리 조성 이후부터 사용한 수법으로 나타났다. 상호명 의미로 살펴 볼 때 가게 번영 염원형, 풍류형, 현지 지명 지물 차용형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상해거리에 도입된 가로환경조형물의 이미지는 중국의 남방문화 양식에 한정하지 않고 중국의 북방문화양식과 한국적 양식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상해 거리에 나타난 중국 전통 경관 이미지 재현 수법은 부가, 치환, 병치로 분류하였다. 부가라는 경관이미지 재현 수법은 기존의 형태에 다른 형태가 평면적으로 확장되어서 더해지거나 포함되어 전과는 다른 형태를 만드는 것을 가리키며, 면 대 면의 확장과 면 대 면의 중첩이 관찰되었다. 어떤 유형의 형상을 다른 형상으로 바꾸는 것을 치환이라고 하였고, 치환에는 국부적인 것과 일차적인 것, 일련의 순차에 따라 행하는 순차적 치환이 있다. 병치는 공간적으로나 형태적으로 이전과는 다른 형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가리킨다. 병치에는 동종병치, 이종병치, 이위병치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차이나타운의 경관디자인 수법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부산의 상해거리에 한정하여 분석한 한계를 지닌다. 향후 다른 인천, 전주 등 다른 도시에 형성되어 있는 차이나타운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지자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차이나타운 특구 개발 사업에 있어서 경관계획 부문의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심리적 의식과 물리적 요소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가로경관 개선사업 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시 광복로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treetscape through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Physical Elements - Focused on the Gwangbok Street, Busan -)

  • 양재혁;이강희
    • KIEAE Journal
    • /
    • 제9권6호
    • /
    • pp.37-44
    • /
    • 2009
  • This study conducted an evaluation of the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 of the Gwangbok Street through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physical elements in the street by comparing selected pictures of streetscape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This work has conducted an analysi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y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nd an analysis of physical elements which influenc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y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analysis, the senses of interest, orderliness, esthetic and preference were highly improved in A district and the senses of openess, stability, orderliness were highly improved in B district. The results of analyzing physical elements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these psychological consciousness in A district elucidated ; 1) the works of improving signboard and elevation of the building affected the whole these psychological consciousness, 2) the work of planting trees, making plant rests in the street improved the senses of orderliness, esthetic, 3) the work of changing finishing materials in the street enhanced the senses of esthetic, preference, 4) the work of adjusting the width between the road and the pavement, the work of improving traffic enhanced the senses of interest, preference. In the meantime in B district, the works of improving signboard and elevation of the building and those of planting trees, making plant rests in the street improved the senses of openess and orderliness. Also the work of improving traffic enhanced the senses of openess, stability and the work of expanding the pavement, that of changing finishing materials in the street improved the senses of openess, stability, orderliness.

도심 골목상권으로서 샤로수길 가로 경관의 미적 경험 (Aesthetic Experience of Streetscape in Syarosu-gil as Urban Commercial Alleyway)

  • 임한솔;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125-137
    • /
    • 2021
  • 도심에 위치한 좁고 오래된 골목길이 뜨는 상권이 되어 사람들의 발길을 끄는 현상을 미학적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이면도로라는 입지와 소규모 점포의 집합을 조건 삼는 도심 골목상권 특유의 미적 경험을 논하고,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샤로수길을 사례로 하여 그 경관적 양상을 탐구하고자 한다. 도심 골목상권의 미적 경험은 공간적 측면에서 크고 정제된 대로변 도시 조직과의 대비를 통해, 시간적 측면에서 오래된 것/새로운 것의 조화와 알려진 것/덜 알려진 것의 길항을 통해 발생한다. 샤로수길의 물리적 현황을 살펴본 결과, 2000년대 지어진 고층건물을 지나 1970년대 후반 이후의 다양한 건축연한을 지닌 저층 건축군으로 들어서는 진입 과정과 노포, 신규 점포가 어우러지는 골목 내부의 가로 경관으로 볼 때 샤로수길은 도심 골목상권의 미적 경험을 발생시키는 환경을 갖추었다고 판단된다. 샤로수길의 도심 골목상권 부상과 연계하여 관악구청은 명칭, 간판, 포장을 중심으로 가로 정비사업을 시행하였으며, 전술한 미적 경험에 비추어 그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샤로수길' 명칭의 공식화는 대상지를 장소특정성으로부터 탈피하게 하고 대안성을 획득하게 하였다. 둘째, 노포의 간판 개선사업은 상업 주체의 측면에서 신/구 조화를 추구하지만 이미지의 측면에서는 시간성의 뒤섞임을 발생시킨다. 셋째, 보행자우선도로 조성 사업에서 노면의 포장은 골목 정체성을 강화하고 영역을 가시화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도심 골목상권의 현실이 이용자의 방문, 즉 체험에 좌우된다는 점을 상기할 때, 감각과 미학의 관점에서 도심 골목상권의 경관을 해석한 본 연구의 시각은 관련 제도와 데이터 기반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