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가구설문조사

Search Result 18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nvironmental Support of Independent Elderly Households in Senior Housing Cooperatives (미국 노인전용 조합주택의 거주환경 평가)

  • Lee,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4 no.5
    • /
    • pp.57-6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건설된 노인전용 조합주택으로 입주한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자 측면에서의 주거환경 평가이며, 아울러 미국 조합주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171가구가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조사대상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76세였으며 교육 수준은 높았고, 가족형태는 부부나 독남가구가 대다수였다. 조사에 참여한 가구들은 저렴한 주택비용, 안전성, 주택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 주거 내의 접근용이성을 현 주거환경의 선택 동기로 손꼽았다. 현 주거환경의 평가를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그리고 거주자 참여방식의 관리에 대한 만족도로 크게 3가지로 나뒀으며, 물리적 환경 관련 요소가 주거환경 평가와 관련한 만족도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적인 주택관련 비용의 저렴화와 노인의 독립성을 위한 지원성이 강화된 물리적인 환경의 구축이 무엇보다 주거환경 평가시 중요하므로, 향후 노인전용 대안주택 계획시 이점에 대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SAFETY GUIDE_기고문 - 선풍기의 올바른 사용 및 관리법

  • 한국전기제품안전협회
    • Product Safety
    • /
    • s.199
    • /
    • pp.40-45
    • /
    • 2010
  • 시장조사 전문기업인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www.trendmonitor.co.kr)가 2009년에 실시한 한 설문조사결과에서 여름철 냉방기기 사용빈도는 평균 선풍기 76회, 에어컨 24회(총 100회 기준)로 사람들은 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에어컨 보다 선풍기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풍기를 보유한 가구는 한 가구당 평균 2.47대의 선풍기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전기세부담이 적고 제품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이동 및 설치의 간편함 등을 선풍기의 장점으로 꼽았다. 이처럼 국민냉방기기로 굴림하고 있는 선풍기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올바른 사용 및 관리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 PDF

아파트선택가구의 사회$\cdot$경제 및 주거특성에 관한 연구

  • 장성수;윤혜정
    • 주택과사람들
    • /
    • s.104
    • /
    • pp.177-204
    • /
    • 1999
  • 본 논문은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이주시 아파트를 주택유형으로 선택하는 입주자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아파트를 선택하는 주민의 인구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분석하는 한편 주거상태와 향후 희망하는 주거상태가 아파트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로짓모형을 통해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산시의 주민 2000가구의 설문조사결과를 통해 향후 아파트로 이주하고자 희망하는 주민의 특성 및 현 주거와 향후 주거선호와 관련된 사항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가구의 아파트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그 가구의 현주거상태와 희망하는 주거수준, 그리고 가구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이 작용하는데 현주택상황과 관련하여서는 현 주택규모가 클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희망하는 주거수준과 관련해서는 희망하는 주택의 방수가 적을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구의 사회$\cdot$경제적 특성 중에서는 배우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파트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어떠한 독립변수보다 아파트 선택에 강하게 작용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어떠한 독립변수보다 아파트 선택에 강하게 작용한다. 이밖에 가구의 월평균소득과 월평균 저축도 아파트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Suggestion of smart Dressing Table design for one person household -Focusing on single women in their 20s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화장대 디자인 제안 - 20대 독신 여성을 중심으로)

  • Kim, Da-Yeon;Lee, Dong-M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2
    • /
    • pp.165-17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mart furniture for single - person households and to suggest final design. It is assumed that smart furniture that meets the demand can be released in the future. To this end, we intend to solve the needs of the smart technology of the subject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ersona establishment through demand research. Currently,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and become the most important form of household composition in the future. In the future, it will be analyzed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after the target selection for the target needs research. Then, after insights are gath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apply the applicable smart technology to create the expected scenarios and draw conclusions about how smart furniture will function in the future.

Cash-Receiving Households' Responses to Covid-19 Transfers (긴급재난지원금 현금수급가구의 소비 효과)

  • Lee, YoungWook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44 no.1
    • /
    • pp.135-167
    • /
    • 2021
  • This paper studies how households who received Covid-19 transfers in cash used their one-time transfers. The transfers were paid in cash for welfare recipient households, which accounted for 12.9% of all households. Using a survey data, it is found that the cash transfers are mostly used for consumption expenditure, and 21.7 percent of the cash transfer used are spent on additional consumption not originally planned. The consumption response to cash transfers is greater in households that experienced job or income loss because of Covid-19.

  • PDF

An Analysis of Furniture, Cabinet and Fixtures Manufacturers in the U.S. South - Competitive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Manufacturers - (미국 남부 가구류 생산업체 분석 - 한국 가구업체와의 경쟁 관계 -)

  • Vlosky, Richard P.;Kim, Se-B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2
    • /
    • pp.7-14
    • /
    • 1996
  • 이 연구(硏究)는 미국(美國) 남부(南部)의 9개 주(州)에 소재하고 있는 가구공장(家具工場)에 대한 설문조사(設問調査)를 통해 산업구조(産業構造)와 마케팅 전략을 조사(調査) 하였다. 이번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1. 가구공장(家具工場)이 사용하는 원자재(原資材)는 red oak, pine, poplar, maple 등으로 한국 가구공장(家具工場)이 원자재(原資材)의 95% 이상(以上)을 남양재(南洋材)에 의존하고 있는 것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 가구공장(家具工場)의 68.8%는 주요시장(主要市場)을 자기 주내(州內)에 가지고 있고, 28.8%가 주(州) 밖에 그리고 조사공장(祖師工場)의 2.5%만이 수출(輸出)했다. 아울러 수출(輸出)이나 자기 주외(州外)에 시장(市場)을 가지고 있을 수록 공장규모(工場規模)가 컸다. 3. 주요시장(主要市場)까지의 거리는 50%가 160km 이내(以內)였는데 이것은 활엽수 제재목(製材木) 공장(工場)의 30%가 800km 밖에까지 시장(市場)을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매우 좁은 시장(市場)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제품(製品)의 유통(流通)은 직접 소비자(消費者)에게 출하(出荷)하는 것이 3/4로 압도적이었지만, 중간유통기관에 출하(出荷)하는 곳일수록 공장규모(工場規模)도 컸다. 5. 가구산업(家具産業)의 성공에 기여(寄與)하는 요인(要因)으로는 제품품질(製品品質)과 장기적(長期的)인 소비자(消費者)와의 관계(關係) 증진(增進)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하였고, 그 다음으로 기업에 대한 평판(評判)과 높은 소비자(消費者) 서비스를 지적하였다. 반면에 가구산업발전(家具産業發展)의 장애요인(障碍要因)으로는 원자재(原資材)의 품질(品質)과 원료(原料)의 불안정(不安定)한 공급(供給)이 제일 중요하게 인식되어 있었다. 그러나 해외공급자(海外供給者)와의 경쟁(競爭)은 장애요인(障碍要因)으로 거의 인식되고 있지 않았다. 6. 공장(工場)의 확장(擴張)이나 이전(移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要因)으로는 노동력(勞動力) 문제(問題)(생산성(生産性)과 비용(費用))가 가장 중요하게 지적되었고, 그 다음으로 세금구조(稅金構造), 건설비(建設費) 등이 지적되었다.

  • PDF

Effects of IT-related Household Demand Characteristics on DTV Adoption: An Empirical Analysis Using Micro Data (가구의 정보통신수용도가 DTV 구매에 미치는 영향 micro data를 이용한 실증연구)

  • Yoon, Choong-Han;Kim, Hyoung-Jun;Kim, Yong-Kyu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0 no.1
    • /
    • pp.164-181
    • /
    • 2007
  •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determinants of DTV (Digital Television) adoption in household survey data with IT-related household demand characteristics. To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for the adoption of DTV to 1,000 households nationwide. In the questionnaire, various questions asking socio-economic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 income were included. Also, status of adoption and usage of IT services such as paid broadcasting, internet, and DVD were ask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intention of purchasing, decision of purchasing, and the timing of purchasing DTV, we adopted the ordered logit, binary logit and multinomial legit models. When there is an order among groups, ordered logit was employed and when there is no orders among groups, multinomial logit was emplyed for the estimation. It is found that when conditions of other explanatory variable are constant, the more educated household heads are, the more probable they become early adopters of DTV. It is also found that other conditions being constant, the income level of households and IT-related household demand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DTV adoption. Since the likelihood of purchasing DTV is much higher for those who know the government policy of analog broadcasting termination schedule than others who do not know, dissemin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s digital broadcasting policy will affect significantly the adoption of DTV. And policy with various incentives ought to be employed to accelerate DTV adoption, because households with the older TV sets are more likely to purchase DTV.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develop policy to connect both DBS (Direct Broadcast Satellite) and DTV since DBS subscribers are more likely to be an early adopter than non-subscribers.

  • PDF

Estimation of the Social Benefits from the Water Quality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Artificial Flood by Dam (수질오염사고 발생시 댐 추가방류의 사회적 편익추정)

  • Choi, Hanju;Ryu, M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8-78
    • /
    • 2016
  • 다이옥산, 페놀 등의 오염물질 유출로 인한 수질오염사고 발생시 사건 유형에 따라 단수로 인하여 국민들이 불편 겪거나 및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수질 오염사고 발생시 댐 추가방류를 통해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데 기여하여 단수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겪을 수 있는 불편을 방지하여 소비자효용의 감소를 줄이고, 안전성측면에서 수자원에 대한 소비자효용을 증가시키는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주도 제외 전국 1,000 가구를 대상으로 한 일대일 개별면접 방식의 설문조사 수행하여 자료를 얻었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가구당 WTP의 대푯값을 추정하기 위해 KDI의 CVM 분석지침(2012)을 적용하였다. 수질오염사고 발생시 댐 추가방류에 대한 대푯값 WTP는 2,132.7(원/년/가구)로 추정되었다. 또한 추정결과 상수항 및 제시금액 항의 추정계수는 1.1451(t-값 5.83)와 -0.7286(t-값-5.54)로 모두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설문조사가 제대로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에는 수질개선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하지만 댐 추가방류를 통한 수질오염사고 해소 편익 등과 특정사안에 대한 연구들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수질 오염 사고로 인한 댐 추가방류의 가치에 대한 선제적인 연구로서 방법론적인 지침과 향후 수자원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정량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obility by Life-Cycle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 Choi, Yeol;Kim, Young-Min;Cho, Seong-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3D
    • /
    • pp.313-321
    • /
    • 2010
  • This study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obility according to the household's life-cycle to observe the housing filtering process in Busan. The questionary subjects were adult 40 and over who inhabited in Busan and surveyed residential career about residential mobility. The analysis result of statistical data and result of questionary reveals similar result every articles, the summaries are as follows : Examining housing where the respondent live presently, apartment dominate absolutely high ratio as housing type and owner-occupation as housing tenure type, and housing size is about 30 pyeong, dwelling period is 6 years to 10 years. Saving and loan hold a large majority to make housing capital, that means, they apply housing finance to getting own housing despite it is impossible with present household's income to have owner-occupation of desired housing. This is different custom ours from foreign's that rent a house. However, as aspec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most household recognised that quality is improved, because residential mobility expanded housing size and changed tenure type and showed fairly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present resident.

Single-Person Household Needs with a Focus on Interior Planning (실내계획측면에서의 1인 가구 주거요구 분석 연구)

  • Choi, Han Hee;Kim, Mi Jeo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4 no.6
    • /
    • pp.163-170
    • /
    • 2015
  • 우리나라 1인 가구는 대부분 다인가구로의 전환 이전에 잠시 거치는 거주형태로 인식되어 불안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오늘날 만혼, 비혼 등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가족의 형태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주형태도 다인가족 중심에서 1인 또는 2인 등 소단위로 분화되면서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다인 가구에 중심으로 형성된 기존의 주거시장에서는 이러한 급속도의 변화를 수용할 수 없어 여전히 소형 주거는 많은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열악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 사회현상에 주목하고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계획 시 실내환경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1인가구의 생활유형과 실내공간에서의 요구 사항들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실제 1인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결과, 현재 1인가구들이 거주하는 소형주거에서는 식사공간, 수납공간 등이 미비하여 공간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타나는 등 무계획적 원룸형태 공급으로 인한 문제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단순히 숙식을 위한 물리적 공간 공급이 아니라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계획적 평면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공간이라는 하드웨어와 1인 주거 간의 커뮤니티 활성화, 고령사회를 반영하여 다양한 연령대 1인 주거를 위한 사회화 프로그램 개발 등 소프트웨어 적 고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물리적, 심리적 전환기에 있는 우리나라 주택시장의 새로운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