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구디자인

검색결과 457건 처리시간 0.025초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주거공간 꾸미기 단원 WBI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BI Program for Space Design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of High School)

  • 김순안;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53
    • /
    • 2003
  • 이 연구는 고등학교 $\ulcorner$기술ㆍ가정$\lrcorner$주거 공간 꾸미기 단원의 교수-학습을 위한 WBI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WBI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거 공간 꾸미기 단원의 교과 내용을 학습하고 HOME DESIGN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습함으로써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웹 기반 수업과 개별학습을 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은 ADDIE 모형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 선정, WBI 프로그램 설계, WBI 프로그램 개발 수업 적용, 평가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우선 $\ulcorner$기술ㆍ가정$\lrcorner$6개 교과서의 주거 공간 꾸미기 내용을 정리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HTML과 PHP, MySQL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학습자와 컴퓨터와의 역동적인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온라인의 개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주메뉴를 교과서 연구실, 3D 홈 디자인 실습실, 자료 공유실, 종합 평가실의 네 부분으로 구성하여 이론을 약 6시간 동안 학습하고 나서 3시간 동안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고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청주시 C고등학교 1학년 학생 35명과 가정과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작동 여부를 화인하고 오류를 고쳐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이용한 회원은 4월 20일부터 6월 1일까지 2개 고등학교 학생 70명, 11개 고등학교 교사 11명이었다. 평가 결과 교사들은 본 프로그램에서 가장 유용하게 이용한 부분으로 ‘3D 홈 디자인 실습실(63.6%)’, ‘교과서 연구실(18.2%)’, ‘게시판. 자료실, 묻고 답하기 등(18.2%)’ 순으로 답한 반면 학생들은 ‘3D 홈 디자인 실습실(47.8%)’, ‘교과서 연구실(34.3%)’, ‘게시판, 자료실, 묻고 답하기 등(17.9%)’의 순으로 답하여 유용한 부분에 대한 순서는 일치하나 비율에 차이가 있어 교사들이 ‘3D 홈 디자인 실습실(63.6%)’을 더 유용하게 이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데 있어 교사는 ‘쉬운 편이다’라는 응답이 63.6%로 학생의 24.2% 응답과 차이가 있었으며, 제시된 학습 내용의 양이 ‘적당하다’에 교사가 63.6%, 학생이 48.4%로 답하여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교사들은 화면 구성이 ‘잘 구성된 편이다(72.7%)’,‘평상시 수업보다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81.2%)’로 답하여 교사들이 학생들보다 본 프로그램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장점과 개선할 점에 대한 개방형 평가는 교사들의 평가와 유사하여 ‘재미있어서 시간이 부족했다’, ‘잘하지는 않았지만, 직접 디자인해서 재미있었다’, ‘어른이 되면 주거 공간 활용을 잘 할 것 같다’, ‘새로운 경험이라 재미있었다’, ‘흥미롭고 재미있었다’, ‘쉽게 되어 있어 좋다’, ‘가구 배치가 잘 되었고. 흠 디자인한 색상이 잘 맞는다’라는 의견이었다. 그러나 주거 공간 꾸미기 WBI 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업이 컴퓨터에 대한 소양이 부족한 학생과 집중력이 떨어지는 학생에게는 다소 어려움이 있으므로 학생들의 개인차와 학교 실정에 따른 시간 배당 등을 고려하여 학생의 개별학습과 아울러 학교에서 교사의 설명과 함께 수업 시간에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 PDF

BIM 설계 기술을 융합한 1인 주거공간디자인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patial Design in the One-Person Housing Space by Combining BIM Design Technology)

  • 김지은;박은수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2호
    • /
    • pp.101-112
    • /
    • 2019
  • 인간의 일상이 펼쳐지는 장소인 주거 공간은 크기에 상관없이 공간에 요구되는 역할 및 사항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주택 거주자의 수가 적을수록, 크기가 협소할수록 작은 공간 안에서도 모든 편의적 행위와 안락한 생활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세심한 고민과 디자인적 해결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에 최적화된 새로운 개념의 1인 맞춤형 주거공간디자인 설계안을 바탕으로 보다 실질적인 부분의 설계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BIM의 장점을 활용한 융합 설계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BIM 설계 기술 공법을 1인 주거 평면디자인에 적용하여 실내건축 설계의 적합성 검토 및 공간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공간 사용성 개선, 주거환경고려, 부재간섭 체크, 친환경 주거 시스템 적용, MEP 설계 항목에서 효용성 검증이 도출되었다. 이로써, 주거공간에서의 BIM 공간 설계는 다양한 공간디자인 요소를 실제 공간에 적용시키기 위해 2D화되어 있는 설계의 한계 및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적용된 대상인 1인 주거공간모델은 연구진이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다양한 1인 주거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근거로 하여 고안된 순수창작물로서, BIM 기술에 적용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설계의 가능성을 타진함에 그 의의가 있다.

생활가전제품이 홈퍼니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home appliances to home furnishing -Focused on millennials-)

  • 정미경;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89-395
    • /
    • 2020
  • 본 연구는 생활가전제품이 홈퍼니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가전은 기술발전에 의한 스마트 흐름을 지나 디자인 외적으로 가구와 일체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시대·문화적 트렌드를 담고 있는 홈퍼니싱 관점에서 현세대에게 주거공간이 담고 있는 의미를 탐구한다. 둘째, 최근 밀레니얼 세대를 타깃으로 출시된 가전을 알아보고 제품 컨셉과 스타일링 키워드를 중심으로 현 생활가전 트렌드를 분석한다. 셋째, 실증연구로서 공간의 의미, 홈퍼니싱 경험, 가전과 인테리어, 현 가전에 대한 호감 등 4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다. 연구 결과 공간과 관련성을 고려한 디자인이 가전제품을 인테리어의 주체로 만들어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정량화된 통계 데이터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생활가전제품의 역할과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RTP(Ready to Prepare) 가정편의식(HMR) 제품의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밀키드(Meal kit)를 중심으로 (Study on Repurchase Intention of RTP HMR Products : Focused on Meal kit)

  • 박민희;권만우;나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48-557
    • /
    • 2019
  • 1인 가구와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생활 패턴의 변화, 편리성 추구 등과 '집밥' 트렌드가 맞물려, HMR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밀키트(Meal Kit)'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RTP(Ready-to-Prepare) HMR 제품 재구매의도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이용용이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혁신성이 높을수록 이용용이성은 낮아졌으나, 유용성과 재구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영향이 높을수록 재구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편의성이 높을수록 신뢰는 낮아졌으나, 재구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제성이 높을수록 신뢰와 재구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격민감도는 신뢰와 재구매의도 간에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세분화된 HMR 연구의 이론적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제품 개발 및 판매를 위한 마케팅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실내 벽면녹화디자인 특성 연구 - 감성이미지 언어에 따른 선호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ndoor Green-Wall Design - With Focused on Preference of Emotional Image Language -)

  • 이지현;장영순
    • 감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593-604
    • /
    • 2011
  • 본 연구는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실내 벽면녹화 공간화의 영역확대와 복합적이고 다 학문적 관점으로써 관람자 선호요인을 파악하여 실내 공간디자인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실내 벽면녹화의 사례를 자극물로 선정하여 관람자 선호시점에 대한 요인의 상호 상관 관계성을 구체적이고 개별적 특성으로 추출해냄으로써 폭 넓게 확산되고 있는 실내 벽면녹화 공간영역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관람자들은 자극물에 대해 '쾌적한, 멋진, 풍요로운'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인지하고,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형용사 이미지 언어는 '시원한, 깔끔한, 자연스러운, 편안한, 아름다운' 이다. 자극물에 대한 선호디자인 요소의 공통되는 중요도는 색채>구성요소>이미지 형태 식물특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디자인 수준별 요소는 대비조>가구>모던 중심형 넝쿨성 관엽식물 순으로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는 실내 벽면녹화디자인의 정량적 측정에 관련한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방향제시의 기회를 갖는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스마트 LED조명 시스템개발 (Smart LED lighting system)

  • 김민섭;류대현;장경준;나관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27-1129
    • /
    • 2017
  • 상품의 매출은 진열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백화점을 비롯한 각급 매장에서는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조명에 따라 의류나 가구는 물론이고 과일을 비롯한 식료품의 매출액도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어떤 색상의 배경이나 조명이 소비자의 주목을 끌고 호감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디자인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매장에서는 상품 색상에 맞춰 배경이나 조명을 변경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품 색상별로 소비자의 주목을 끌고 호감을 이끌어내서 상품 구매로 이어질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LED 조명 시스템을 아두이노 보드를 이용하여 구현하고자 한다.

대단면 스킨팀버의 용재 가능성과 이를 활용한 생활용품 디자인 개발 (Manufacturing Life articles and a Possibility of Materials Using the Structural Size Skin-Timber)

  • 임승택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0-69
    • /
    • 2013
  • Timber is an eco-friendly material that is suitable for low carbon and green growth, and recently, studies on utilization and manufacture of timber are increasing. Thus, we need a stable supply of wood working materials for the formative element and widespread function of timb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use of timber because it enhances the added value of this material by making the most of it. In this way, skin-timber is an appropriate material for life articles because skin-timber has a variety of functions including the ability for storage use, the beauty of structure, the ability to maintain heat and insulation, and the capability to control humidity. In this study, I developed household items using skin-timbers that are made up of circular columns and square columns of pine, larch, and yellow popular. The circular and square columns have an inner hole that is approximately 90% of the external structure's width. I intended for the concept of these designs to display creativity considering functionality and productivity. These items are life articles and furniture for modern people. They are eco-friendly products that are varnished with traditional lacquer and natural oi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kin-timbers are made of domestic pine, larch, and yellow popular and are resource of furniture, household items, and woodcraft. I believe skin-timber is not only a useful material for processability and design applicability, but it also has the capability to be a multifunctional and high value-added material. Also, if the standards, such as cortex thickness, outside diameter, and length, of skin-timber are producted diversely, I believe skin-timber can be have more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 products' development.

  • PDF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한 목제품 및 금속제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Development of Wood & Metal Products Using Digital Data)

  • 윤여항;이성원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0-121
    • /
    • 2012
  • With people's recent increasing interest in good design products, wood and metal products have gained great popularity. However, it was believ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transformation to the manufacturing method based on digital data and equipments from existing analog-based manufacturing method, in order to meet consumers' demand. This study was aimed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mass-producing wood and metal products through the research on the type, usage and development conditions of digital data and the methods of utilizing digital equipments. As for research methods, the study analyzed the concepts and types of digital data through various internet and literature reviews and suggested perpetual calendar products as the final outcome of design development using computer data. Through this, the study summarized and organized actual design development processes by stage to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become the foundation of research on the design of wood and metal products using digital data. Through the outcome of this project, the following effects could be expected by developing wood and metal products through digital data. First, its accurate and precise process would help mass-produce complex forms of products and reduce their defective rate. Second, the compatible production of various types of digital equipments would lead to a cost reduction. Third, the diversity of design could be pursued by overcoming technical limitations. 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expectation effects, such as realization of developing and producing various wood and metal products, there should be designers' creative experimental spirits, their active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the companies concerned.

  • PDF

소경단목재(小輕短木材) 접목을 활용한 유니트 가변형 테이블디자인 연구개발 (The Study of the Changeable Table Design with Units that made of Wasted Wood)

  • 김명태;서석민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6-37
    • /
    • 2012
  • This is the study about the New Formation Developement, the Changeable Table Design with Units that made of Wasted Wood to use restricted material rationally and to improve the space efficiency in the Table Design. We made some changeable table design with units that made of laminated wood wasted. And we found out the following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physical merits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space efficiency can be improve technically through the unit combination and organic transfomation of the specific form and a new method by laminated wood make the personal originality and the structral stability be built up. Second, there are some merits, moveable convenience and variable layout by the combination or transformation or personal fondness so that economical efficiency and variable of design can be improved. Third, we can remove original faults inside wood like a knot or not-uniform of wood organ when we laminate wood so that we use proper units that have original beauty of wood and can represent mild mood of furniture wholly. Fourth, much more strengthen tensile strength by the reciprocal action among the units that be made of laminated wood reduces wood's metamorphosis like bending or twisting so that the uniformity of wood can be gain and furniture's metamorphosis can be reduced. According to changes of nature environment, the difficulty of supply and demand for wood may be happen. According to changes of life style these days, supply and demand for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 processing technique and developement of desig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using space must be very important factor in morden furniture design. So we propose changeable furniture design by using new environment friendly meterial and processing method from this study.

  • PDF

친환경 모바일 홈 사우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Mobile Home Sauna)

  • 이봉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7-91
    • /
    • 2015
  • The appeal of sauna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rough that, one can feel Korea's unique temperament and culture; however, because of its being a public facility and flooding of businesses due to excessive supplies of various additional features such as washing, playing, eating, sleeping and health care functions, issues of social resources and environment come to the fore, so it has reached a situation of red ocean that it is difficult to enter the market anymore. Taking these into account,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 thermal technology and design of the housing of an environment-friendly mobile home sauna, making the most use of the sauna's fundamental purpose and settling it as a tourist product, analyzing the marketing research on the existing sauna and considering the recent housing trends and lifestyles for a new concept sauna. Thus, regarding its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it was designed smaller than $10m^2$ (3 pyeong) so that it would be easy to install in any space and convenient to move. It can be installed in separate buildings and rest spaces such as country houses, resorts, pensions, camping grounds as well as outdoor houses, custom produced for a measure of pyeong that customers want so as to match up with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Agricultural Land Act in a concept of the farmer's hut and kitchen, bathroom and bathroom can be installed inside according to an option. In addition, regarding its efficacy, in order to give environment-friendly healing effects, materials such as Hinoki Cypress, red clay and hardwood charcoal were used, a fixed indoor temperature of $70{\sim}100^{\circ}C$ was maintained by heating methods such as electromagnetic wave free, energy saving and low-power boiler, and it was made to have excellent effects on fatigue recovery, relieving stress, skin care and diet through far-infrared e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