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Indoor Green-Wall Design - With Focused on Preference of Emotional Image Language -

실내 벽면녹화디자인 특성 연구 - 감성이미지 언어에 따른 선호도를 중심으로 -

  • Lee, Ji-Hyun (Department of Architecture, Gwangju Campus of Korea Polytechnic V) ;
  • Jang, Young-Soon (The Graduate School of Life Style De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이지현 (한국폴리텍V대학 건축과) ;
  • 장영순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 Received : 2011.10.27
  • Accepted : 2011.11.24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otential growth and different perspectives on green-walls, which are being re-evaluated recently. The aim is to identify the viewer preferences concerning the walls by collecting a wide spectrum of information to create an interior design related comprehensive and intellectual database. Also based on this proposition, choosing a green surface of indoor wall as a specific example stimulus, identifying a relationship betweeationsviewer's preference factors. The relationship will formulate detailed and absolute qualities, which will reach potential areas that the green walls can be widely applied in. As a result of a factor analysis, the viewers classified into the 3 factors as is pleasant, gorgeous and rich about the stimulus. Preferred key factor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emotional image language, were; cool, tidy, comfortable and beautiful. The common factors in preferred design stimulus, in order of importance are color>elements>image/form/plants. Specific levels of design factors according to relevance are contrast>furniture> modern>central/creeper foliage plants. In the meantime, this study is leading the process of quantitative measurement of green-walls to a new design direction and it is critical to consistently experimenting to back up the theory with solid evidence.

본 연구는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실내 벽면녹화 공간화의 영역확대와 복합적이고 다 학문적 관점으로써 관람자 선호요인을 파악하여 실내 공간디자인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실내 벽면녹화의 사례를 자극물로 선정하여 관람자 선호시점에 대한 요인의 상호 상관 관계성을 구체적이고 개별적 특성으로 추출해냄으로써 폭 넓게 확산되고 있는 실내 벽면녹화 공간영역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관람자들은 자극물에 대해 '쾌적한, 멋진, 풍요로운'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인지하고,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형용사 이미지 언어는 '시원한, 깔끔한, 자연스러운, 편안한, 아름다운' 이다. 자극물에 대한 선호디자인 요소의 공통되는 중요도는 색채>구성요소>이미지 형태 식물특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디자인 수준별 요소는 대비조>가구>모던 중심형 넝쿨성 관엽식물 순으로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는 실내 벽면녹화디자인의 정량적 측정에 관련한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방향제시의 기회를 갖는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