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건물

검색결과 1,046건 처리시간 0.034초

설계VE Idea 연계를 위한 성능기반 건물 부위별 기능분류체계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 Breakdown Structure of Building Element based on Performance for Idea Connection in Design VE)

  • 이인재;현창택;손명진;김대현;김윤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2-22
    • /
    • 2011
  • 건설 분야의 환경변화에 따라 다수의 건설 프로젝트에서 설계경제성 등 검토(설계VE)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수행되었던 VE 기능분석의 경우 체계적인 가능분석 방법론을 통한 아이디어 창출이라기보다는 VE 팀원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시설물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 원인으로는 기존에 수행된 가능분석 자료의 재인용, 시설특성별 구체성이 결여된 포괄적인 기능분석과 추상적인 기능분석 등이 있다. 특히 가능에 요구되는 성능을 명확히 분석 및 정의하지 않음에 따라 건물 부위별로 요구되는 성능과 기능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설계VE 워크숍 제안사례를 토대로 가능과 아이디어 연계현황 및 부위별 아이디어 분류현황 등을 분석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VE 활동의 가장 핵심단계인 기능분석단계 중 기능정의/분류 가능정리 과정에서, 시설물 부위별 기능과 함께 요구성능을 반영하여, 기능과 아이디어의 논리적 연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성능기반 건물 부위별 기능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구조물 동특성의 실험적 해석과 응용기술에 관한 연구 (기계식 주차설비 진동제어) (A Study on Experimental Analysis of Dynamic properites for Structure and its Application)

  • 이홍기;박상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과학연구소, 21 May 1993
    • /
    • pp.40-45
    • /
    • 1993
  • 일반적으로 건물 구조물에 전달되는 기계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기계와 기초사이에 유연한 방진소자를 삽입하여 기계가진력(exciting force)의 전달 률을 줄인다. 또한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와 진동원의 가진주파수가 일치할 경 우, 가진주파수를 변화시키거나, 구조물의 동특성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 한다. 어떠한 방안을 선택하든 효과적이고 정량적인 방진 시스템을 구성하고 구조물의 정확한 진동상태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진동원의 가진특성과 구조 물의 동특성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방진설계를 위해 필요한 진동원의 가진특성은 제조회사의 사양이나 측정을 통하여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다. 복합재료, 다양한 경계조건, 복잡한 대형구조물등은 수치해석을 이 용하여 해석적인 방법으로 동특성을 구할 경우,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기에 는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더우기 현장에서 발생하는 진동문제는 대부분 복 잡하고 시간적으로 시급히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절차를 구성하여 구조물의 동특성을 해석하는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구조물의 동특성은 실험적인 방법을 통하여 구하고 그 외의 필요한 계산들은 해석을 통하여 얻 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실험적 동특성해석은 입력하중에 대한 응답의 크 기와 위상 비를 주파수별로 나타내는 전달함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가진 장치 및 여러 측정/분석 장비가 필요하며, 철교, 교량, 건물의 철골 및 콘크 리트 슬라브등 다양한 중대형의 구조물을 Signal/Noise비가 좋도록 가진 시 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험적 방법의 현장 적응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형충격기(large impact hammer, max, peak force 약 10000N, time duration 약 20ms)를 제작하고 실험/분석 시스템 및 구조물 의 진동제어를 위한 절차를 Fig.1과 같이 구성하고 이를 철근콘크리트 건물 에 설치한 기계식 주차설비의 진동제어에 적용하였다.force response simulation)를 수행하여 임의의 좌표 공간에 대한 진동수준을 해석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진동제어 를 위한 동적인자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장비를 방진할 경우 신뢰성 있는 전달률을 결정할 수 있다. 실험적으로 철교, 교량이나 건물의 철골구조 및 2층 바닥 등 대,중형의 복잡한 구조물에 대항 동특성을 나타내 는 모빌리티를 결정할 경우 충격 가진 실험이 사용되는 실험장비 측면에서 나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이 대체적으로 간편하다. 그러나 이 경우 대상 구조 물을 충분히 가진시킬수 있는 용량의 대형 충격기(large impact hammer)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동적실험은 약 길이 61m, 폭 16m의 4경간 교량에 대 하여 동적실험을 수행하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여기서는 실험실 수준의 평 판모델을 제작하고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진동제어 구조물에 대 한 동적실험 및 FRS를 수행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따름으로써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나 error를 실험실내의 차원에서 파악하여 진동원을 있는 구조 물에 대한 진동제어기술을 보유하고자 한다. 이용한 해마의 부피측정은 해마경화증 환자의 진단에 있어 육안적인 MR 진단이 어려운 제한된 경우에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ofile whereas relaxivity at high field is not affected by τ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τV does not affect low field profile but strongly in fluences on both inflection fie이 and the maximum relaxivity value. The results shows a fluences on both inflection field and the maximum relaxivity value. The results shows

  • PDF

PV 시스템이 적용된 농어촌 주택 표준모델의 에너지 경제성 분석 (Energy Economic Analysis of Standard Rural House Model with PV System)

  • 이찬규;김우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540-1547
    • /
    • 2013
  • 국가 에너지 소비의 25%를 차지하는 건물에너지의 저감과 귀농인구의 증가에 따른 저에너지 친환경 주택모델의 수요 충족을 위해 EnergyPlus를 사용하여 PV 시스템이 적용된 농어촌 주택 표준모델의 건물에너지요구량을 기반으로 경제성 분석을 하였다. 2가지 타입의 PV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발전된 전력을 건물의 냉방기기와 전기기기, 그리고 난방기기에 사용하였다. 계산에 사용된 주택의 연간 건물에너지요구량은 난방이 냉방에 비해 7배 크게 나타났다. Case1과 Case2로 나누어 PV 시스템의 경제성분석을 실시한 결과, Case1은 냉난방 및 전기기기에 발전된 전력을 사용하고 판매하는 것이, Case2는 냉방과 전기기기에만 전력을 사용하고 전량 판매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향후 전력 판매가격과 가스가격이 변동되면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초기투자비용은 Case1이 약 13년, Case2는 약 11년이 지나면 회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se2가 초기설치비용이 비싸지만 회수기간이 지나면 Case1보다 약 3배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어 수명연한인 25년 이상 사용 시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Sclerotium cepivorum의 균사생장 및 균핵 생성에 대한 수분압의 영향 (Effect of Water Potential on Mycelial Growth and Production of Sclerotia of Sclerotium cepivorum)

  • 이용훈;이두구;이왕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0-204
    • /
    • 1997
  • 마늘 흑색 썩음균핵병인Sclerotium cepivorum에 대한 수분압과 온도의 영향을 얄아보기 위하여 PDA와 PDB에 NaCI, KCI, 설탕 및 polyethylene glyool 6,000으로 수분압을 조절한 수 15, 20, $25^{\circ}C$에서 균사생장 및 균핵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균사신장은 -1,970에서 -2,240 J/Kg까지는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았으나, =2,240 J/Kg 이하에서는 균사신장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450에서 -2,240 J/Kg까지의 수분압에서는 기본배지에서보다 건물중이 약간 증가하였다. 수분압 감소에 따른 건물중에의 영향은 균사신장에서 보다는 작았다. PEG를 이용해 수분압 조절했을 경우 균사신장과 건물중 모두 다른 용질을 사용했을 경우보다 크게 감소했다. 균사신장은 -1,000 J/Kg에서, 건물중은 -2,240 J/Kg에서 약 50%가 각각 감소했다. 수분압 감소에 따른 균핵 형성에 대한 영향은 균사생장에서 보다 더욱 컸다. -450에서 -910 J/Kg 사이에서 균핵형성이 50% 이상 줄었으며, -2,240 J/Kg 이하에서는 균핵이 형성되지 못했다. 균사신장과 균핵형성은 기본배지에서는 $20^{\circ}C$dptj 양호하였으나, 수분압이 감소하면서 $25^{\circ}C$에서 더 좋은 경향을ㄹ 보였다. NaCl, KCI 설탕 및 PEG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균시생장과 균핵 형성은 비슷한 경향의 증감을 보였다.

  • PDF

비료성분(肥料成分)·수심(水深) 및 광제한(光制限)에 따른 올챙고랭이(Scirpus juncoides Roxb.)의 종간경합(種間競合)에 관한 연구(硏究) (Competition between Bulrush(Scirpus juncoides Roxb.) and Rice under the Different Fertilizer, Water Depth, and Light Restriction)

  • 허상만;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7-182
    • /
    • 1989
  • 1. 비료성분별(肥料成分別)의 올챙고랭이 종간경합특성(種間競合特性)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 증가(增加)로 두 식물종(植物種) 모두 초장(草長), 경수(莖數), 건물중(乾物重)이 증대(增大)되었으나 초장(草長)과 경수증가(莖數增加)는 올챙고랭이보다 벼가 민감하였다. 또한 가리시비량(加里施用量) 증가(增加)로 벼는 전반적인 생장(生長)이 촉진(促進)되었으며, 올챙고랭이는 경수(莖數)와 건물중(乾物重) 형성(形成)에서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수심차이(水深差異)에 따른 올챙고랭이의 종간경합특성(種間競合特性) 두 식물(植物) 모두 밭 조건(條件)보다는 담수심(湛水深)이 깊어질수록 초장(草長)이 커졌으나, 경수(莖數)(분얼수)와 건물중(乾物重)에 있어서는 올챙고랭이의 경우 밭 조건(條件)일수록 벼에 대한 우위성(優位性)이 있었으나 수심(水深) 6~8cm 이상에서는 두 식물종(植物種) 모두 분얼수 및 건물중(乾物重)이 심하게 감소(減少)하였다. 3. 광제한(光制限)에 따른 올챙고랭이의 종간경합특성(種間競合特性) 광제한(光制限)으로 단식(單植)보다 혼식(混植)에서 두 식물(植物) 모두 경수분화(莖數分化)가 비슷한 비율(比率)로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채광역(採光域)의 경엽장(莖葉長)과 경엽중(莖葉重)의 증가폭(增加幅)은 벼보다 올챙고랭이가 컸다. 차광역(遮光域)의 지하부증(地下部重)은 벼보다 올챙고랭이가 단식(單植)보다 혼식(混植)에서 현저히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수확시기와 품종이 춘파연맥의 생육특성 ,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Harvesting Date and Cultivar Effect on the Growth Charateristics , Forage Yield and Quality of Spring Sown Oats)

  • 김종근;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7-256
    • /
    • 1994
  • 본 시험은 수확시기 및 품종이 춘파연맥(Avena sativea L.)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 3월 22일부터 6월 20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수확시기로서 조기(5월 24일), 중기(6월 8일)및 만기(6월 20일)를 주구로 하고, 품종(Speed oat, Cayuse, Foothill, Sv841034, Magnum)을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 배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종에 따른 출수시작일은 조생품종의 경우 파종후 50일, 중, 만생품종은 평균 82일후에 출수가 시작되었다. 2. 연맥의 건물함량은 Speed oat가 조기, 중기 및 만기 수확시 13.6, 18.1 및 19.9%로 높았던 반면 중, 만생품종은 만기 tnghkrtlRK지 14.1~15.6%로 낮았다. 3. CP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생육이 진행된에 따라 평균 19.7%에서 10.0%로 감소되었으며 조기 수확기에서만 중, 만생품종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4. 연맥의 ADF, NDF함량은 중, 만생품종에서 수확이 지연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나 조생품종에서는 만기 수확기에서 오히려 감소하였다. 5. In vitro건물소화율도 중, 만생품종에서 수확이 지연됨에 따라 계속 감소하였으나 조생품종은 만기수확기에서 증가하였다. 6. 매 수확시기별 ha당 평균 건물수량은 4,020kg에서 8,851kg으로 나타나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품종간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7. 평균 조단백질 수량은 모든 수확시기에서 중, 만생품종이 더 높게 나타났다. 조기 및 만기는 수확시는 Sv841034가 838 및 945kg으로 중기 수확시는 Cayuse가 996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IVDDM 수량은 수확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으며 중, 만생품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확시기간의 유의성만 인정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조생 연맥품종은 건초 제조 적기인 5월 하순~6월 상순에 사초의 건물함량이 중생 및 만생 연맥품종보다 높기 때문에 건초생산이 전제가 되는 곳에서는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 PDF

화학비료와 액상분뇨 시용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토양의 NO3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 and Liquid Manure Application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eed Value of Corn for Silage and NO3 of Soil)

  • 이상무;전병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7-244
    • /
    • 2004
  • 본 실험은 석회, 돈분액비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토양의 질산염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토양 전처리, 기비, 추비를 각각 달리처리한(C구: 화학비료 + 화학비료, T1; 석회 + 화학비료 + 화학비료, T2; 돈분액비 + 돈분액비, T3; 석회 + 돈분액비 + 돈분액비, T4; 돈분액비 + 화학비료) 5처리 3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특성(초장, 착수고, 암이삭 비율, 건물율)은 석회로 토양을 교정하고 기비와 추비를 돈분액비로 처리한 T3구가 가장 좋았던 반면, 토양교정 없이 기비 및 추비를 화학비료로만 처리한 대조구(C구)가 낮은 경향치를 보였다. 건물 및 TDN 수량에 있어서도 T3구가 각각 18,611 및 13,746kg/ha로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나타낸 반면 T1구는 13,529 및 9,541kg/ha로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NDF 및 ADF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생육 특성이 떨어지고 수량(건물 및 TDN)이 낮았던 T1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토양 성분중 질산염은 시용 비료에 따라 뚜렷한 경향치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50cm 토양에서는 전 처리구 모두 시험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농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100cm 토양에서는 C, T1 및 T4구는 50cm구와 같은 경향을, T2구와 T3구는 후기에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털곰팡이(Phycomyces blakesleeanus)의 생장기간 중 파장별 단색광 조사에 따른 굴광성 반응과 포자낭병 발생간의 길항관계 (Antagonistic Relationships Between Development of Sporangiophores and Phototropism Depending on Monochromatic Light Wavelengths in Phycomyces blakesleeanus)

  • 이범규;박애리;김혜정;신동호;최관삼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1호
    • /
    • pp.27-40
    • /
    • 2009
  • 털곰팡이 야생종(DEL)과 5균주의 돌연변이 (A56, C9, C47, C111, G5)를 명소에서 6일간의 생장을 조사한 결과 생육일수에 따른 생 중량의 증가나 건물 중의 증가는 공시한 6균주가 동일한 경향을 보여 돌연변이 균주간의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그러나 생중량과 건물중의 패턴 변화는 큰 차이를 보여 공시 균주 모두 배양 후 3일 이후부터는 건물 중의 증가는 뚜렷하지 않으나 생중량만은 계속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배양 3일 이후에 형성되는 대형포자낭병의 발생과 굴광성이 건물생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오로지 수분유입팽창력 따른 편차생장 때문임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균주 간에서 보이는 파장별 굴광성의 감수성은 A56과 DEL, G5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나 적색광의 파장역에서도 굴광성을 보이는 반면 C9 과 C47은 청색광 영역에서만 약한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C111은 전혀 굴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대형포자낭의 굴광성에 대한 광 감수성과 미소포자낭병의 발생 간에 어떤 길항적인 관계가 성립됨이 확인되었다. 즉 6균주 모두 대형포자낭의 굴광성이 청색광역에서 강하게 나타나다가 적색광역에선 그 반응이 감소되면서 미소포자낭병의 발생이 오히려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이들 대형포자낭의 발생 및 굴광성과 미소포자낭병의 발생 간에는 광파장의 인식인자(광수용체)가 하나의 공통적 기작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강하게 시사했다.

  • PDF

국내개발 및 도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Cutivar)

  • 신정남;고기환;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9-236
    • /
    • 2012
  • 본 시험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동안 경북 성주 계명문화대학 실험목장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조중생종은 품종을 처리로 12처리 3반복, 중만생품종은 품종을 처리로 10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1년차 시험은 2010년 10월 12일에 파종하여 조중생종은 2011년 4월 29일, 중만생종은 동년 5월 4일에 수확하였고, 2년차시험은 2011년 10월 3일에 파종하여 조중생품종은 2012년 5월 5일 중만생종은 동년 5월 12일에 수확하였다. 조중생 품종의 건물수량은 Yeonbong3, Seongnong, Winter Hawk, Pride 및 Kowinnearly 품종이 각각 9,850, 9,778, 9,486, 9,363 및 9,267 kg/ha 순위였으며 이들 품종 간에 수량 차이는 없었으나 다른 7품종 보다 높았다(p<0.05). 중만생 품종의 건물수량은 Tetragold, Hwasan 101, Jumbo, Sungrazer, Master, SelectIV 및 KB Royal이 각각 9,542, 9,492, 9,103, 8,981, 8,903, 8,870 및 8,681 kg/ha 순위였으며 이들 품종 간에 수량 차이는 없었으나, 다른 3품종 보다는 높았다(p<0.05). 내한성은 중만생 품종중에서 Hwasan 101가 다른 품종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조기수확 시 건물수량 측면에서 조중생 품종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위적인 토양 산성화가 소나무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Growth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Artificially Acidified Soils)

  • 이충화;이승우;김은영;김영걸;변재경;원형규;진현오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6호
    • /
    • pp.389-393
    • /
    • 2005
  • 황산용액을 첨가하여 인위적으로 산성화시킨 화강암 풍화 모재의 갈색 산림 토양에 2-1 소나무(Pinus densiflora) 묘목을 이식하고, 1998년 4월 29일부터 9월 22일까지 21주 동안 온실에서 생육시킨 후 건물생장량과 토양 pH, Al, Mn 농도 또는 염기성 양이온 몰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토양내 $H^+$ 부하량의 증가는 토양중 Al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 생장량은 토양의 Al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토양의 (Ca+Mg+K)/Al 몰비와 건물 생장량 사이에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r=0.97, p<0.01)가 있었으며, 몰비가 1.0인 경우에 약50%의 건물 생장량의 감소가 발생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산성 강하물에 의한 토양 산성화가 수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때, 토양의 Al과 같은 유해금속의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Ca+Mg+K)/Al 몰비는 산성 강하물의 삼림생태계 피해예측을 위한 한계 부하량의 평가에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