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韓國 西海岸

검색결과 865건 처리시간 0.032초

조력 발전 기술 개발 동향 (A State of the Art Study of Tidal Power Technology Development)

  • 송원오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3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1-8
    • /
    • 1993
  • 한국해양연구소는 1973년 설립이래 서해안 조력발전 사업을 계속 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조력발전사업의 해외동향, 특히 Rance 발전소 가동 실적, 영국의 Severn, Mersey강 하구 조력발전 타당성 검토사업 결과를 근간으로 하여 그간 이룩된 각종 기술의 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국내에서의 조력발전소 건설 타당성 검토는 192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다. 검토대상 지점은 경기도 강화군 남서쪽 동검도 일대의 해역이었으며 강화도 외측 조력발전 개발안이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중략)

  • PDF

국내 해성점토의 침강압밀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edimentation-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for Marine Clay in Korea)

  • 전상현;유남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89-98
    • /
    • 2009
  • 본 연구는 해성점토의 준설매립시 침강 및 자중압밀거동 분석을 위한 침강압밀특성의 평가를 목적으로 국내 해성점토에 대한 침강실험을 실시하고, 기존 자료와 함께 고찰하였다. 침강압밀의 거동은 Yano가 제안한 방법이 국내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특성치를 평가하였다. 침강실험은 남해안 해성점토 4개와 서해안 해성점토 4개에 대하여 초기함수비와 초기높이를 변화하는 조건으로 높이 1m의 Column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남해안 및 서해안 해성점토 각각에 대한 침강-압밀특성을 도출하였다. 초기함수비에 따른 압밀침강계수와 초기침강속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문헌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상관성을 갖는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실질토량고와 압밀침강과정 시작 및 종료시 계면고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으로 남해안 및 서해안 해성점토 각각에 대하여 침강압밀특성치의 범위와 평균 등을 제안하였으며, 대표적인 관계식을 산정하였다. 또한, 남해안 및 서해안의 해성점토가 갖는 침강-압밀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한국 연안산 어류의 흡충류에 관한 연구

  • 이대섭;김영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15-516
    • /
    • 2001
  • 본 연구는 1998년 3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해안 금강하구에 위치한 고군산 열도에서 채집한 조피볼락, 쥐노래미, 문절망둑, 도다리(Pleuronichthys cornutus) 및 수조기(Nibea albiflora)와 서남해의 완도에서 채집한 쥐노래미의 장내에 기생하는 흡충류의 종분류를 조사한 바, 4종의 흡충류가 검출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중략)

  • PDF

한국 서해산 웅어, Coilia nasus 생식소의 성숙과 산란

  • 이봉우;정의영;최기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45-346
    • /
    • 2003
  • 웅어 Coilia nasus는 청어 목 (Clupeifarmes), 멸치 과 (Engraulidae)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압록강, 대동강, 임진강, 한강, 금강, 동진강)의 기수역에 서식하는 황해 특산 식용어 중 하나이다 (김ㆍ강, 1993). 최근 금강 하구댐이 완성되어 농업용수를 위해 수문이 폐쇄되어 기수와 차단되어 본 종의 산란시기에 담수역으로 이주할 수 없게 되었고, 인근지역인 동진강 유역도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막히게 되어 산란장을 잃게 되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