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相克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3초

진사탁(陳士鐸)의 장부오행병리(臟腑五行病理)와 잡병오행병리(雜病五行病理) -진사탁적장부오행병리급잡병오행병리(陳士鐸的臟腑五行病理及雜病五行病理)-

  • 이병직;윤창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1호통권28호
    • /
    • pp.121-136
    • /
    • 2005
  • 통적연구진사탁적장부오행병리급잡병오행병리적운용연구(通適硏究陳士鐸的臟腑五行病理及雜病五行病理的運用硏究), 득출이하결론(得出以下結論) : 진사탁인위진관폐금극간목(陳士鐸認爲盡管肺金克肝木), 단시약간중지화왕성(但是若肝中之火旺盛), 칙폐무법극간차치간화극토사장토수손(則肺無法克肝且致肝火克土使將土受損), 종이사비위무법생금이치폐금갱가쇠약(從而使脾胃無法生金而致肺金更加衰弱), 폐불능생수이수무법극화(肺不能生水而水無法克火), 도치상중하삼초지화균과왕(導致上中下三焦之火均過旺). 타인위간희소설(他認爲肝喜疏泄), 당약울체회사기극비위(?若鬱滯會使其克脾胃), 비위수극칙토극수(脾胃受克則土克水), 이신수손무법생목(而腎受損無法生木), 사간울갱심심화무법화생(使肝鬱更甚心火無法化生), 차폐역무법극목(且肺亦無法克木). 차시(此時), 응이해울법내치료(應以解鬱法來治療). 타인위수연토극수(他認爲雖然土克水), 단시토생수여금생수적관계갱위밀절(但是土生水與金生水的關係更爲密切), 이폐여신우위밀절차유상생적관계(而肺與腎尤爲密切且有相生的關係), 고지유신중지수충족(故只有腎中之水充足), 방가수화기제(方可水火旣濟). 타인위심위군화시유형지화(他認爲心爲君火是有形之火), 가용수극지(可用水克之), 이신중지화위무형지화(而腎中之火爲無形之火), 차가양수(且可養水). 타인위명문지화가생비토(他認爲命門之火可生脾土), 단약과왕칙무법생비토반이극토(但若過旺則無法生脾土反而克土). 차시(此時), 여기직접보신수(與其直接補腎水), 불여보폐금사금생수(不如補肺金使金生水), 차위보수적근본지법(此爲補水的根本之法). 진사탁재설명오장적병리기제시인위(陳士鐸在說明五臟的病理機制時認爲), 오장지화과왕칙회사상생관계변성상극관계(五臟之火過旺則會使相生關係變成相克關係), 이적의적화칙능유지정상적상생관계(而適宜的火則能維持正常的相生關係), 차즉사화불족역가유지상생(且卽使火不足亦可維持相生). 진사탁인위제료외감(陳士鐸認爲除了外感), 기호소유적잡병도이장부오행적상생(幾乎所有的雜病都以臟腑五行的相生), 상극(相克), 이급상관적관계위중심내설명료기병리(以及相關的關係爲中心來說明了其病理), 저일점성위료기학술사상적중요특점(這一點成爲了其學術思想的重要特點).

  • PDF

『태극도통감』의 도상을 통해 본 대순사상의 '선·후천' 개념 (The Concept of 'the Former World and the Later World' in Daesoon Thought as Introduced via the Diagrams of The Comprehensive Mirror of Taegeukdo)

  • 이봉호
    • 대순사상논총
    • /
    • 제47집
    • /
    • pp.65-103
    • /
    • 2023
  • 대순사상의 핵심 경전인 『전경』에는 선천과 후천을 상극의 시대와 상생의 시대로 구분한다. 이러한 선천과 후천 개념은 『태극도통감』에서는 역학의 도상으로 나타난다. 역학에서 선천과 후천은 송대 도서역의 주요한 개념이다. 역학의 도상에서 「복희8괘차서도」, 「복희8괘방위도」, 「복희64괘차서도」, 「복희64괘방위도」는 선천에 해당하고, 「문왕8괘차서도」, 「문왕8괘방위도」 등은 후천에 해당한다. 『태극도통감』에서는 이 역학의 도상들을 대순사상에 따라 재해석한다. 「문왕시대 팔괘도」는 역학에서 「문왕팔괘도」에 해당한다. 이 도상은 「설괘전」 제5장의 경문에 따라 그려진 도상이다. 이 도상은 곤(坤)을 중심으로 한 "지존시대(地尊時代)"에 해당한다. 역학의 「복희팔괘방위도」는 대순사상에서 「복희시대 팔괘방위도」에 해당한다. 이 도상에서 가장 큰 특징은 동서남북 정방위에서 남북 방위에 배당된 괘가 천지비괘라는 것이다. 이는 비괘(否卦)가 음양의 교류와 소통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괘상을 의미한다. 당연히 이는 음양의 상극을 상징한다. 이를 대순사상에서는 "천존시대(天尊時代)"라고 표현한다. 『태극도통감』의 「정역시대 팔괘도」의 도상의 가장 큰 특징은 동서남북 정방위에서 남북 방위에 배당된 괘가 지천태괘(地天泰卦)이다. 이는 감리괘가 정방위에서 벗어나 있어 오행에서 상극이 해소된 도상이다. 그래서 이 도상은 "어떠한 상극의 이치도 없는(全無相克之理)" 세상이자 "인존시대(人尊時代)"를 상징한다. 『전경』의 내용에 따르면, 상제께서 선천의 상극을 바로 잡는 삼계공사를 행하시고, 이 삼계공사의 결과로 후천 세계의 상생 도가 구현된다. 상제의 삼계공사는 신명계에서 행한 일이지만, 이는 후천 세계에서는 상생의 도가 구현되는 선경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후천의 세계를 도상으로 구현한 것이 『태극도통감』의 「정역시대 팔괘도」이다.

해원상생과 정신분석의 욕망이론 - 애도를 중심으로 - (Haewon Sangsaeng and the Theory of Desire in Psychoanalysis: a Comparison Focused on Mourning)

  • 김석
    • 대순사상논총
    • /
    • 제28집
    • /
    • pp.73-102
    • /
    • 2017
  • 본 논문은 정신분석이 말하는 욕망이론의 입장에서 대순사상 종지의 하나인 해원상생의 실천적 의미를 이해하면서 두 사상의 공통성과 상보성을 찾으려는 시도이다. 대순사상과 정신분석 이론은 둘 다 욕망에 중요성을 부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대순사상의 해원이념은 애도를 통해 욕망을 복원하고 상호 주체성 구조 속에서 그것을 실현할 것을 강조하는 정신분석 이론과 통한다. 물론 종교이론인 대순사상이 말하는 욕망의 의미는 다의적이고, 욕망의 지향점도 치료 담론인 정신분석과 다르다. 하지만 대순사상은 인간이 경험하는 고통과 불행이 욕망을 제대로 풀지 못하는 상극 때문에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서로 억제하고 누르면서 고통을 만들고 있는 상태가 바로 상극이며, 해원을 통해 상극을 벗어나 상생의 세상 후천에 도달한다. 마찬가지로 정신분석은 애도를 통해 대상의 상실을 수용하면서 욕망이 다시 작동한다고 본다. 상생과 천지공사 같은 사회, 우주적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순사상은 상호주체성의 구조에서 욕망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정신분석과 통하는 점이 있다. 대순사상과 정신분석의 사회적 실천 방향은 둘 다 보편성의 실현을 목표로 삼는다. 상호주체성 구조는 욕망의 인정과 인정의 욕망을 실천의 방향으로 제시한다. 욕망이란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개인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데 머물 것이 아니라 공동의 선을 향해 함께 나아가야 한다.

불과민속 -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속신과 신앙행위

  • 정연학
    • 방재와보험
    • /
    • 통권108호
    • /
    • pp.36-41
    • /
    • 2005
  • 예로부터 이어져온 불과 관련되 주술적 액막이 풍속에는 재물과 인명을 앗아가는 화재관련 재난을 피하기 위한 개인 또는 집단 형태의 간절한 기원과 믿음이 담겨있다. 소금이나 물과 같이 불과 상극인 상징물을 이용하거나 마을 단위의 제를 올려 화기를 막고자 했던 풍수적 자연관과 속신을 통해 화재에 대한 나름대로 방비책을 세우고자 했던 다양한 노력의 면면을 엿볼 수 있다.

  • PDF

"소문(素問).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에 나오는 오미상(五味傷)에 대한 태소본(太素本)과 왕빙본의 비교(比較) 연구(硏究) "소문(素問).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중관우오미상태소본화왕빙본적비교연구

  • 이상협;김중한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4호통권31호
    • /
    • pp.60-66
    • /
    • 2005
  • 통과대(通過對)${\ulcorner}$소문(素問).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lrcorner}$중출현적오미상내용적연구(中出現的五味傷內容的硏究), 가지오미양오장(可知五味養五臟), 단태과역회상급오장(但太過亦會傷及五臟), 왕빙본원문적오개단락중, 담급오미화오장간적상생상극적규율성(談及五味和五臟間的相生相剋的規律性), 가병무일관성(可幷無一貫性), 여차상반(與此相反), 태소본적원문대체유기일관성(太素本的原文大體有其一貫性). 대어(對於)‘미과어산(味過於酸)’, 왕빙본적‘비기(脾氣)’재태소본상시(在太素本上是)‘폐기(肺氣)’, 근이차문장관찰(僅以此文章觀察), 무론종왕빙본혹태소본해석, 도가해석위오행적상극화상모(都可解釋爲五行的相剋和相侮), 소이종이론상도설득통(所以從理論上都說得通). 대어(對於)‘미과어함(味過於鹹)’, 왕빙본인위‘단기(短肌), 심기억(心氣抑)’, 이수반모토화수극화론점진행료설명(以水反侮土和水剋火論點進行了說明), 이태소본파(而太素本把)‘단기기억(短肌氣抑)’간작위비기억(看作爲脾氣抑), 해석성수반모토(解釋成水反侮土). 왕빙본적‘미과어감(味過於甘)’ 재태소본상시(在太素本上是)‘고(苦)’, 이왕빙본적‘미과어고(味過於苦)’, 재태소본상시(在太素本上是)'감(甘)', 오미각이(五味各異). 왕빙본적‘미과어고(味過於苦), 비기불유(脾氣不濡)’중적(中的)‘불(不)’자(字), 재태소본몰유(在太素本沒有). 왕빙본적‘정신내앙(精神乃央)’중적(中的)‘앙(央)’자(字), 재태소본상시(在太素本上是)‘영(英)’자(字), 양자도해석위시정신공능상출현적이상(素兩者都解釋爲是精神功能上出現的異常).

  • PDF

공압근육을 사용한 발목근력보조로봇의 개발 (Development of Ankle Power Assistive Robot using Pneumatic Muscle)

  • 김창순;김정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8호
    • /
    • pp.771-782
    • /
    • 2017
  • 본 논문은 노약자들의 발목근력보조를 위한 착용형 로봇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기존 착용형 로봇들은 보행 시 필요한 근력을 보조하기 위해 대부분 모터와 감속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모터와 감속기의 조합은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감속기 치차의 마찰때문에 실제 사람의 근육과 달리 강성과 토크를 동시에 제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터/감속기 조합보다 가볍고 안전하며 근력을 보조하는 힘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Mckibben 공압 근육을 사용하였다. 발목의 피칭 모션에 이용되는 종아리 가자미근 및 앞정강근의 힘을 한 쌍의 공압 근육을 사용한 상극구동으로 보조하였으며, 상극구동제어를 위해 상극구동 모델 파라미터들을 실험적으로 도출하였다. 사용자의 보행의지를 판단하고자 발바닥에 부착된 압력변위센서로 압력과 압력중심위치를 측정하여 발바닥의 하중과 발목토크를 계산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공압 근육 관절의 강성과 토크를 동시에 제어하였다. 최종적으로, 트레드밀에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여 발목근력보조로봇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오수혈(五腧穴)의 오행배합(五行配合)에 관(關)한 연구(硏究)

  • 윤창열;이정태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3-80
    • /
    • 2011
  • 通過對五腧穴的五行配合的研究, 得出如下結論. 对陰經五腧穴的井滎腧經合配以木火土金水, 是出于五腧穴的脈氣之出溜注行入之流动, 显现为木火土金水之五行屬性的缘故; 而对陽經五腧穴配以金水木火土, 则是出于陰經和陽經各自的五腧穴形成夫妻关系的缘故, 即 陰經五腧穴的井滎腧經合分别属于乙木, 丁火, 己土, 辛金和癸火, 故按夫妻相合之原理, 阳经便应配以庚金, 壬水, 甲木, 丙火和戊土, 最终成为金水木火土之五行属性. 陰經和陽經的五腧穴之天干配合原理中, 不仅凝聚着母子相生原理和夫妻相克原理, 还包含着相生中复有相克, 相克中复有相生的原理. 陰經五腧穴之始井穴之所以木作为其起始, 而陽經之始井穴则以金作为其起始, 其中蕴涵着臟腑为體, 經脈为用的陰體陽用及陽體陰用之原理. 陰經和陽經的五腧穴的五行屬性中, 隐含着十分丰富多样的金火交易之原理. 始于四肢末端, 合入肘膝关节的五腧穴的流走方式中, 包含着陽受氣於四末, 进而返本還元的陽氣回歸之原理. 在五臟为五腧穴, 在六腑则为六腧穴的原因, 乃是缘于六腑陽經各多出一个三焦原氣聚会的原穴之故. 对于原穴的五行屬性, 內經之诸多注释家都配以木性, 但从五運化为六氣时多出一个少陽相火, 五臟对应的六腑则多出一个三焦相火之原理来看, 原穴之五行屬性当配以火性方为妥当.

『도헌』의 법률적 구성과 제도적 장치 연구 - 대한민국헌법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Legal Composition and Institutional Systems of The Dao Constitution: Focusing o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 김영진
    • 대순사상논총
    • /
    • 제40집
    • /
    • pp.77-11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헌법에 구현된 법체계의 기본원리를 기준으로 『도헌』의 사상적 배경과 법률적 구성, 그리고 제도적 장치의 권력분립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도헌』의 사상적 배경은 대순진리이다. 대순진리에는 선천의 상극적인 신의 의지로 인해 상극적인 자연법, 상극적인 자연 상태, 상극적인 인간으로 이루어진 진멸할 위기의 세상을 상제가 상생의 자연법, 상생의 자연 상태, 상생의 인간으로 개벽하는 우주 자연의 질서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설명되어 있다. 패러다임의 전환 시기 상제는 인간에게 상생적 인간이 되도록 신의 의지를 밝혔다. 따라서 『도헌』은 인간에게 부여된 상제의 의지를 도인의 사명으로 받아들여 실행하기 위한 '도인의 권리와 의무'에 기초한 근본규범이다. 『도헌』의 법률적 구성은 본문, 부록으로 되어 있고, 본문은 총칙, 도인의 권리와 의무, 연원, 제도적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도적 장치에는 중앙본부의 체계, 중앙종의회, 포정원, 정원, 종무원, 사업, 재정, 감사원, 도헌 개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헌』의 법률적 구성은 헌법의 법률 구성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헌법이 '최대권리 최소의 무의 원칙'이 적용된 데 반해 『도헌』에는 도인의 사명 완수를 위해 권리보다 의무가 더 많이 규정되어 있다. 『도헌』의 제도적 장치에는 권력분립의 원리가 적용되어 있다. 『도헌』상 중앙본부의 조직 형태는 도전의 별세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도전의 별세 이전 중앙본부의 조직 형태는 입헌군주제와 유사하다. 『도헌』 상 도전의 별세 이후 중앙본부의 조직 형태는 의원내각제와 유사하다. 그리고 중앙본부의 기능 간 권력분립은 입법권(중앙종의회), 행정권(종무원), 사법권(감사원) 등 삼권분립의 원리이다. 중앙정부의 기능 내 권력분립은 첫째, 중앙종의회와 종무원 간에는 입법부 우위형(의회정부제), 둘째, 중앙종의회와 감사원 간에는 입법부 우위형(의회정부제), 셋째, 종무원과 감사원 간에는 사법부 우위형이다. 그리고 중앙본부와 방면 조직 간에는 수직적 권력분립의 원리가 작용하고 있다.

천간과 지지의 상조(相助)와 상극(相剋)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tual Aid and Mutual Contention of the Ten Celestial Stems and Twelve Earthly Branches)

  • 우연화;김만태
    • 대순사상논총
    • /
    • 제42집
    • /
    • pp.109-141
    • /
    • 2022
  • 빛과 어두움이 공존하는 것처럼 만물이 가진 두 가지 측면을 음양(陰陽)이라 한다. 초기의 음양 개념은 단순히 자연현상을 나타내는 표현에 불과하였으나 점차 우주 만물의 생성변화를 설명하는 중심개념이 되었다. 명리학(命理學) 또한 음양론을 기초로 하여 하늘과 땅을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로 나누어 이들의 상호관계를 살피는 것을 중요시한다. 본고는 주요 원전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천간과 지지의 상조(相助)와 상극(相剋) 관계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천간과 지지가 상조하는 개념에는 통근(通根)과 투간(透干)이 있다. 통근이란 천간에 있는 글자가 지지의 글자에 뿌리를 내렸다는 의미이며, 천간의 통근처(通根處)는 같은 오행의 삼합(三合)과 방합(方合)이 되는 지지이다. 통근력(通根力)을 보는 방법은 첫째, 통근한 자리로 보는데 일간(日干)은 월(月) > 일(日) >시(時> 년(年) 자리 순이며, 다른 천간은 월지>앉은 자리(천간의 바로 아래에 있는 지지 글자) > 가까운 자리(앉은 자리 좌우의 지지 글자) 순이다. 둘째, 통근한 지지 특성으로 보는데 록왕지(祿旺支)·장생지(長生支) > 여기(餘氣) >묘고(墓庫) 지지의 순이다. 투간(透干)은 통근과 그 주체가 바뀐 개념으로 지지의 기운이 천간에 발현된 것을 말하며, 지지에 감춰둔 오행이 밖으로 드러나서 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천간과 지지가 상극하는 개념에는 개두(蓋頭)와 절각(截脚)이 있다. 개두에 대하여 천간만을 위주로 보고 판단하는 시각과 천간이 지지를 극(剋)하는 관계로 보는 시각이 있어 다소 이견이 있지만 대다수는 천간이 지지를 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개두의 상대 개념인 절각은 지지가 천간을 극하여 천간의 기운을 약화시키는 것으로서, 이 둘은 조화롭지 못한 명조(命造)를 만들 가능성이 크다.

유연한 수학적 사고에 의한 개념의 동치성 비교 - 사례 연구 -

  • 이병수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381-389
    • /
    • 2011
  • The flexible mathematical thinking - the ability to generate and connect various representations of concepts - is useful in understanding mathematical structure and variation in problem solving. In particular, the flexible mathematical thinking with the inventive mathematical thinking, the original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mathematical invention is a core concept, which must be emphasized in all branches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ed a case of flexible mathematical thinking with an inven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hown by his student via real analysis courses. The case is on the proofs of the equivalences of three different definitions on the concept of limit superior shown in three different real analysis books. Proving the equivalences of the three definitions, the student tried to keep the flexible mathematical thinking stead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