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作目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초

개방화 시대의 국내 미곡생산과 기술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

  • 이은웅;허문회;박래경;오윤진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4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29-40
    • /
    • 1994
  • 지난 7년간을 끌어오던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이 우리나라 농민을 비롯한 온 국민의 심각한 우려와 관심하에 마침내 1993년 12월 15일에 스위스 제네바의 GATT 다자간 회의에서 타결되었고 1994년 4월 16일 모로코 마라케시의 협상국 각료 회의에서 최종 서명됨과 동시에 세계무역기구(WTO)가 발족됨으로서 활을 비롯한 15개 작목의 비교역적 기초농산물마저도 예외없이 국제적 관방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현실하에서 국민 기본식량의 안전보장, 국토의 생태환경보전, 전통문화 및 경제사회문화의 안여적 발전등에 기본역할을 하고 있는 벼농사를 지키기 위해서는 금후 2004년까지 10년의 유예기간을 통하여 국산미 품질의 상섬화 및 다양화, 성력화 및 생산비 저감재배, 안전적 재배기술 혁신에 의한 생산성의 극대화, 가공 및 유통의 개선등으로 국제 영향력을 획기적으로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보에서는 국내산 쌀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찰 정질의 고유화 및 다양화와 성력화의 비용 및 생산성 제고에 대하여 품종개량 및 재배기술면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 PDF

배추수확기 개발(IV) -시작기 제작 및 성능시험- (Development of Chinese Cabbage harvester(IV) -Manufacture and Performance Test of The Prototype Harvester -)

  • 홍종태;최용;김영근;전현종;박원규;황헌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4-120
    • /
    • 2002
  • 배추는 발효식품인 김치의 주원료가 되는 중요한 채소로서 고추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농가소득 작목의 하나이다. 배추재배는 2000년 말 51,801㏊로 총채소 재배면적의 약13%를 차지하고 있다. 수확작업은 배추재배 중 가장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여 전체 노동투하 시간의 16.1-19.4%를 차지하고 있고, 주산지재배로 수확시기에 노동피크를 이루며 인력수확 시 부피가 크고 무거워 경노동화를 위한 결구 배추수확기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피러나 수확작업에 대한 기계화 요구도가 높은 반면에 배추는 조직이 연약하여 손상되기 쉽고 재배양식이 다양하며, 동일포장 내에서도 지면요철이 있고, 배추크기의 차이로 기계수확 장애요인이 많아 기계화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작목별 비료투입에 따른 경제적 효과 추정 (The Economic Effects of Chemical Fertilizer in Big Data)

  • 이상호;송경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19-628
    • /
    • 2018
  • This study analyze the economic effect of chemical fertilizer. We used the input and output data, and the analysis variables include production output nitrogen, phosphoric acid, potassium, seeds, and labor.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spring potatoes, potassium increases to a certain level of output, but over a certain stage, the output decreases as the input increases. Optimal use of potassium in the calculation of spring potatoes can achieve the effect of reducing input costs and increasing output simultaneously. Second, radish In autumn, nitrogen increases to a certain level, but over a certain stage it represents a reverse U-shaped relationship in which output decreases as input increases. This means that reducing the amount of fertilizer input increases the output. This means that soil-related agricultural big data can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of nutrients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in agricultural land.

국내 유통 혼합잡곡 제품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Available Mixed Grains in Korea)

  • 김미정;고지연;이경하;김현주;이석기;박혜영;심은영;오세관;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40
    • /
    • 2017
  • 혼합잡곡의 작목별 구성비, 수분특성, 호화특성 등의 품질특성과 페놀성분 함량, radical 소거활성 등의 항산화특성을 검정하여 추후 기능성 강화 잡곡 혼합비율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혼합잡곡 37제품을 구입하여 혼합비율을 조사한 결과, 5~25가지의 작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15개 작목이 혼합된 제품이 13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혼합잡곡 제품의 수분결합력, 용해도 및 팽윤력은 각각 99.83~122.83, 6.91~39.26 및 7.76~86.92%의 범위로 나타났다. 최고점도, 최저점도, 강하점도, 최종점도, 치반점도는 각각 $31.53{\pm}20.17$, $25.24{\pm}13.22$, $6.29{\pm}7.43$, $50.27{\pm}25.84$$18.74{\pm}8.68RVU$로 나타났다. 혼합잡곡 제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817.14{\sim}2,524.29{\mu}g\;GAE/g$의 범위로 나타났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6.36{\sim}1,099.09{\mu}g\;CE/g$의 범위로 나타났다. 혼합잡곡 제품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31.91~151.70 mg TE/100 g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28.09~119.92 mg TE/100 g의 범위로 나타났다. 페놀 성분 함량과 radical 소거활성이 높은 제품들은 현미, 유색미, 보리, 콩 등 작목의 함유량이 높은 제품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1. 중부지방(수원)을 중심으로 (Selection of Promising Forage Crops and Variety for Forage Production in Paddy Field 1. Middle region(Suwon))

  • 서성;김원호;김종근;최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7-216
    • /
    • 2004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하기 위한 적정 사료작물 및 품종을 선발하고자 경기 수원 축산연구소에서 보리(3품종), 밀(2), 호밀(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3) 등 4작목 11품종을 공시하여 $1999{\sim}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보리의 출수기는 5월 1일, 유숙기는 5월 15일경,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초장은 87cm, 건물수량은 ha당 $7.30{\sim}9.58$톤, TDN 수량은 $4.75{\sim}6.24$톤이었으며, 알보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밀은 보리에 비해 출수가 1주일 가까이 늦었으나 수량성이 높고 사료가치가 우수하여(TDN $66.5\%$)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건물수량은 $8.17{\sim}10.82$톤, TDN 수량은 $5.33{\sim}7.31$톤이었다. 호밀의 출수기는 4월 $27{\sim}29$일이었으며, 초장이 127cm로 개화이후 도복이 관찰되었고, 공시작목 중 사료가치는 가장 낮았으며, 개화기 기준 건물수량은 10.18톤, TDN 수량은 6.03톤이었다. 중만생 IRG는 출수가 늦어 답리작용으로 권장하기 어려웠으며, 조생 IRG는 5월 7일에 출수되어 개화기 전후(5월 중순경) 수확이 유리하고, 이때 건물수량은 4.48톤, TDN 수량은 2.96톤이었다. 본 시험에서 벼 이앙시기, 건물생산성, 출수기, 사료가치, 도복 등을 종합고려한 유망작목은 호밀과 보리였으며, 5월 중순 벼 이앙시 적작물은 5월 상순에 수확이 가능한 호밀, 5월 하순 벼 이앙시에는 호밀과 보리(알보리)가 추천되었고, 조생 다수성 IRG의 도입이 적극 검토되었다

대관령(大關嶺) 지역에서 작부체계 및 토양관리 방법의 차이가 토양화확성 및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Cropping System and Soil Management on Soi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in the Daekwanryung Upland Soil)

  • 윤세영;김정제;양재의;정영상;최중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2-318
    • /
    • 1999
  • 대관령 고령지 경사지에 시험 포장을 선정하여 작물과 토양관리 방법을 달리 하면서 토양의 화학성 및 미생물상의 변화를 검토하여 다음과 길은 결과를 얻었다. 작물재배시험 후 화학성을 보면 각 성분 공히 등고선과 평행으로 경운한 구가 등고선과 직각으로 경운한 구에 비하여 높았다. 지표의 피복유무가 유기물 및 치환성 칼리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피복하지 않은 처리에서 함량의 감소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을 경작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작물재배구의 일반미생물 및 병원성미생물수를 비교하면 작물 재배구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여 작물의 재배가 토양 미생물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세균 및 방선균수는 옥수수재배에 비하여 감자를 재배함으로써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한데 비하여 사상균수는 두 작목간에 차이가 없었다. 세균수는 화학비료구에 비하여 유기물시용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운의 방향과 미생물수와의 관계를 보면 등고선방향으로 경운한 토양이 등고선과 직각으로 경운한 토양에 비하여 세균, 방선균 및 사상균수 모두 증가하였다. 토양병원성 세균비 일종인 Erwinia sp. 균수는 옥수수에 비하여 감자를 재배함으로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의 시용에 의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중 Fusarium sp. 균수는 화학비료가 사용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작목간, 피복유무 사이에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귀농 귀촌에서 귀농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가족 지지도를 조절효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Satisfaction of Returning to Farming in Farm-returning and Rural-returning : With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actor)

  • 이지흠;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39-53
    • /
    • 2017
  • 본 연구는 농촌흡인요인, 귀농준비정도, 귀농지 주거환경, 귀농 지원정책이 귀농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가족요인을 조절효과로 반영하여 연구하였다. 이는 농촌으로 이주율이 증가하고, 귀농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는 시점에 농촌흡인요인, 귀농준비정도, 귀농지 주거환경, 귀농 지원정책이 귀농만족도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독립변수로 제시된 농촌흡인요인, 귀농준비정도, 귀농지 주거환경, 귀농 지원정책과 종속변수인 귀농만족도 간에 가족요인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귀농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귀농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237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가족요인 조절효과는 조절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흡인 요인 중 경제적 요인이 높을수록 귀농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귀농준비정도에서는 작목준비가, 귀농지 주거환경에서는 안전성, 귀농지원정책에서는 창농지원이 귀농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요인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경제적 요인, 작목준비, 편리성과 귀농만족도 간에 가족요인의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귀농만족을 높이고 도시로의 재 이주율을 줄이기 위해 귀농정책의 적극적인 지원과 귀농지의 안정성 그리고 귀농흡인 요소에서 경제적인 이익이 증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한국(韓國) 농업지리학(農業地理學)의 연구동향(硏究動向) II ; 농업(農業) 입지연구(立地硏究)의 성과(成果)와 비판(批判) (The Review of Agricultural Geography on Korea, Part Two ; the Outcomes and Critiques of Location Studies.)

  • 서찬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9-80
    • /
    • 1995
  • 본 연구는 해방이후 한국의 농업 지리학 연구 동향의 일환으로 농업 입지 연구의 성과와 의의를 밝히고 비판 한 것이다. 농업지리학 연구의 정수라고 일컬어지는 농업 입지 연구가 한국의 경우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농업 공간의 협소성의에도 한국농업지리학의 후진성과 관련이 있다. 다만 연구건수가 매우 제한적이긴 하나 농작물, 낙농, 작부체계, 농업 노동, 산지 농업, 농업 재해등의 입지 연구에서는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 이들 연구는 한국의 농업공간이 전통사회공간에서 경제공간으로 변화 된지가 비교적 최근인 사설을 반영한 것이 대부분이다. 앞으로의 농업입지 연구는 거시적으로는 국민경제나 세계 경제와 관련된 연구, 미시적으로는 농민이나 농가수준에서의 연구, 지역적으로는 도시와의 관계나 지역농업연구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 PDF

농업인의 연령대별 건강관리 행태에 관한 연구 (Health Care Behaviors according to Ages in Farmers)

  • 이경숙;김효철;김경란;송은영;노상철;오경재;박기수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2-82
    • /
    • 2009
  • 농작업 활동시 건강유해요인 증가에 따라 농부증 및 농업인의 직업성 질환 유병률은 증가하는 실정이므로, 장기추적연구를 통한 실태분석 및 원인구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농업인의 건강수준 평가를 위한 건강검진 항목 선정 및 측정방법 표준화, 농업인 건강 및 농작업 관련 행태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농업인 건강 및 작업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농업인의 성별 연령대별 건강관리행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5월부터 4개월간 18개 지역 남자농업인 550명(44.6%)과 여자농업인 683명(55.4%) 총 1,233명을 대상으로 직접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령대는 50세이하, 51~60세, 61~70세, 71세 이상 4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농업인의 체지량지수(BMI)는 남성의 경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p<.001), 여성의 경우는 다른 그룹에 비해 70세 이상 그룹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5). 2. 대상 농업인들의 주작물을 조사한 결과 시설작목과 특용작물의 경우 남성은 50대, 여성은 40대 그룹이 가장 많은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작목은 60대 그룹이 가장 많았다. 3. 지난 1년간 의료기관 방문 횟수와 의료비를 조사한 결과 남성(p<.001)과 여성(p<.001) 모두 연령대가 높을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규칙적인 운동시행여부를 조사한 결과 여성은 연령대와 운동여부간에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p<.001), 남성은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농부증정도(농부증 없음. 의증. 양성)를 조사한 결과 남성(p<.01)과 여성(p<.001) 모두 연령대와 농부증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농작업 재해 실태 파악과 원인구명을 위한 작업개선방안 제시하고,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국내 농업인의 작업부담을 경감시키고 건강수준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