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lpha-galactosidase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초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의 배양학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 Producing Antibacterial Substance)

  • 목종수;송기철;김영목;장동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9-254
    • /
    • 2002
  • 발효식품의 제조에 유용한 starter 개발 및 probiotics로서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 균주를 이용한 skim milk medium에서의 산생성, 단백질 분해활성, lactose 분해활성 및 유사구균과 혼합발효 그리고 병원성 세균에 대한 살균력 등을 검토하였다. L. amylovorus IMC-1은 10% skim milk에 yeast extract를 첨가하여 12시간 배양하였을 때 산도 0.8%이었고, 72시간째에는 2.7%로 우수한 산 생성력을 보였다. IMC-1 균주의 ${\beta}-galactosidase$ 활성은 균체 1 mg당 약 $39{\mu}M/minute$로 매우 강한 반면, $phospho-{\beta}-galactosidase$의 활성은 매우 낮았다. 또한 이 균주는 10% skim milk에서 배양 12시간째 $6\;{\mu}g/mL$, 72시간째에 $69\;{\mu}g/mL$의 유리 tyrosine을 생산하여 단백질 분해활성이 낮았다. 전기영동상의 band pattern으로부터 casein중 ${\alpha}-casein$을 주로 이용하며, ${\beta}-casein$은 거의 이용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10% skim milk에서 IMC-1 균주 및 St. thermophilus NIAI 510의 단독 또는 혼합배양을 실시한 결과, 혼합배양, IMC-1 균주 및 St. thermophilus 순으로 산 생성력이 높았으며, 유산구균 단독배양 및 혼합배양에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치즈 향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0% skim milk medium에서 혼합배양에 의한 최적의 유산발효 시간은 산 생성력 및 공존 균수 등을 고려할 때, yeast extract 0.1% 첨가시에는 16시간, 0.5% 첨가시에는 12시간 배양하는 것이었다. IMC-1이 생산한 항균성 물질은 Escherichia coli O157을 배양 24시간째 2 log정도 감소시켰고, 48시간 배양 후에는 피검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Shigella flexneri는 배양 4시간째 2 log이상 감소하였고, 6시간 배양 후에는 검출되지 않아 항균성 물질은 강한 살균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돼지 동결정액의 배양에 따른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의 변화 (Changes of Glycosidase Activity and Fertilizing Ability in Vitro by Incubation of Frozen-Thawed Spermatozoa in the Pig)

  • 황인선;정희태;양부근;김정익;박춘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161
    • /
    • 2003
  • 본 연구는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배양에 의한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를 평가하기 위하여 chlortetracycfine fluorescence분석법을 이용하여, glycosidase가 체외수정능력과 정자침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돼지난자의 투명대내에서 발견된 당잔기에 대한 정자의 glyco-sidase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lpha$-L-fucosidase, $\alpha$-D-mannosidase, $\beta$-D-galactosidase 및 N-acetyl-$\beta$-D-glucosaminidase ($\beta$-GlcNAc'ase)의 activity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glycosidase activity는 동결정자의 응해 후 배양하지 않았을 때보다 2시간 배양했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beta$-GlcNAc'ase의 activity 는 정자 배양 유무에 관계없이 다른 glycosidase 처리시보다 최소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체반응이 유기된 정자의 비율은 glycosidase ($\alpha$-D-mannosidase; P<0.05)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자를 배양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배양된 정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배양시간에 따른 정자의 존성에 대해 glycosidase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투명대내 정자의 접착과 입에 대한 또 다른 실험에서, 서로 다른 glyco-sidase가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수정된 정자가 배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자의 침입율은 낮아졌다 $\beta$-GlcNAc'ase; P<0.05). 투명대내의 정자접착정도는 glycosidase의 첨가시에 무첨가시보다 접착정도가 더 높았으며, 가장 높은 접착율은 $\beta$-GlcNAc'ase 첨가시 나타났다. 또한 모든 glycosidase 처리시 2시간 배양한 정자보다는 배양하지 않은 정자에서 투명대에 대한 접착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alpha$-D-mannosidase의 처리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본 연구의 결과, $\beta$-GlcNAc'ase가 주로 돼지정자의 원형질막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배양된 정자에 의한 투명대 접착정도와 침입율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glycosidase activity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 KI69의 생리적 특성 및 항당뇨 효과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diabetic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KI69)

  • 김슬기;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223-236
    • /
    • 2019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비만 억제능력이 있는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각각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와 단쇄지방산 생산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한 결과, KI69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KI69 균주는 α-amylase억제활성 91.17±2.23%, α-glucosidase 억제활성 98.71±4.23%, 단쇄지방산인 프로피온산, 에세트산, 브티르산이 MRS broth에서 각각 8.78±1.12 ppm, 1.34±0.07%(w/v), 0.876±0.003 g/kg이 나타났으며, 동정결과 L. plantarum으로 판명되었고, L. plantarum KI69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KI69는 답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내었고, 효소활성은 β-galactosidase, β-glucosidase와 N-acetyl-β-glucosaminidase에 대해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vancomycin에 내성이 있는 반면 penicillin-G와rifampicin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cous aureus에 대해 각각 15.44%, 50.79%, 58.62%와 37.85%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 부착성은 대조구인 L. rhamnosus GG보다 우수하였다.

Effects of Non-starch Polysaccharide-degrading Enzymes on Nutrient Digesti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Profiles of Growing Pigs Fed a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 Ao, X.;Meng, Q.W.;Yan, L.;Kim, H.J.;Hong, S.M.;Cho, J.H.;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2호
    • /
    • pp.1632-1638
    • /
    • 2010
  • Two experiments with growing pig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distinct multienzyme preparations on nutrient digesti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profiles. In Exp. 1, a total of 96 pigs ($29.7{\pm}0.69\;kg$) were utilized in a 42-day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trial using four dietary treatments: CON (control diet), ENDO (control+0.10% Endopower), NSPase1 (control+0.10% NSPase) and NSPase2 (control+0.20% NSPase). Endopower was a commercial multienzyme preparation which contained ${\alpha}$-galactosidase, galactomannase, xylanase and ${\beta}$-glucanase. NSPase mainly contained ${\alpha}$-1,6-${\beta}$-galactosidase, ${\beta}$-1,4-mannanase and ${\beta}$-1,4-mannosidase. There were six replication pens per treatment with four pigs per pen. Pigs fed NSPase1 diet had a higher ADG (p<0.05) and G:F (p<0.05)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performance among the multienzyme treatments (p>0.05). Compared with CON, apparent digestibility of DM was increased (p<0.05) by ENDO treatment. N digestibility was improved (p<0.05) in response to multienzyme treatment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lood urea nitrogen (BUN) was higher (p<0.05) in ENDO treatment than in CON and NSPase1 treatment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hile the glucose level improved (p<0.05) due to ENDO and NSPase2 treatments. In Exp. 2, four ileal-cannulated, growing barrows ($20.17{\pm}1.31\;kg$) were housed in individual metabolism crates and randomly assigned to 1of 4 treatments (same as Exp. 1) with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Enzyme supplementations improved the majority of apparent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ies (p<0.05). It is conclud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NSPase1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s well as N digestibility and partially improved apparent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fed a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Sporolactobacillus sp. M201 균주에 의한 $\beta$-Mannanase와 $\beta$-Mannosidase의 생산 (Production of $\beta$-Mannanase and $\beta$-Mannosidase from Sporolactobacillus sp. M201.)

  • 박원식;김화영;최용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2-237
    • /
    • 1998
  • ${eta}$-Mannan polymer 분해 효소를 다랑 생산하는 균주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하고 분리균의 형태적 내지는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Sporolactobacillus sp. M201로 동정하였다. Sporolactobacillus sp. M20l 분리균은 locust bean gum을 탄소원으로 사용, 배양했을 때 세포외 ${eta}$-mannanase그리고 세포내 ${eta}$-mannosidase와 ${alpha}$-galactosidase을 다량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효소 생산 최적 배지와 최적 배양 조건은 ${eta}$-mannanase 생산에는 2.0% locust bean gum, 0.5% peptone, 0.2% KH$_2$PO$_4$, 80 mg/l MgSO$_4$ 및 8 mg/l ZnSO$_4$ 배지 (pH 6.0)와 37$^{\circ}C$이었고 그리고 ${eta}$-mannosidase 생산은 질소원으로 peptone 대신 0.5% yeast extract를 첨가한 상기 배지(pH 5.0)와 3$0^{\circ}C$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높았다. 이상의 각 효소의 최적 생산 조건에서 각각 30시간과 24시간 진탕배양 했을때 ${eta}$-mannanase(10.6 units/ml)와 ${eta}$-mannosidase(1.35 units/ml)의 최고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 PDF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이 mouse의 NMu2Li 간세포와 C2C12 골격근세포에서 PPARs 조절의 분자기전에 미치는 영향 (A Molecular Study of Sopungsungi-won(Shufengshunqiyuan) about Regulation of PPARs in Mouse NMu2Li Liver Cells and C2C12 Skeletal Muscle Myogenic Progenital Cells)

  • 오영진;신순식;윤미정;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7-164
    • /
    • 2009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pungsungi-won(Shu!engshunqiyuan) (SSEx1, SSEx2) to treat the metabolic syndrome by the molecular mechanism of regulation of PPAR and modulation of mitochondrial MCAD, VLCAD mRNA expression. Methods : Mouse NMu2Li liver cells and C2C12 skeletal muscle myogenic progenital cells were transiently transfected with expression plasmids for PPAR(PPAR${\alpha}$, PPAR${\delta}$), a luciferase reporter gene construct containing 3 copies of the PPRE from the rat acyl-CoA oxidase gene and ${\beta}$-galactosidase gene. Cells were treated with several concentrated kinds of SSEx1, SSEx2 at the initial time of culture and analyzed PPAR${\alpha}$, PPAR${\delta}$ reporter gene activity using spectrophotometer (405 nm).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SSEx1, SSEx2 and measured mRNA levels of mitochondrial MCAD, VLCAD. Representative RT-PCR bands are shown. Results : 1. SSEx1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PAR${\alpha}$ reporter gene activities at 0.1 ${\mu}$g/ml (p${\mu}$g/ml (p<0.05), SSEx2 at 0.1 ${\mu}$g/ml (p${\mu}$g/ml (p<0.05) significantly in NMu2Li liver cell lines. 2. SSEx1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PAR${\alpha}$ reporter gene activities at 1 ${\mu}$g/ml (p${\mu}$g/ml (p${\alpha}$ reporter gene activities in C2C12 skeletal muscle cells. 4. SSEx1 increased the modulation of mitochondrial MCAD mRNA expression (p<0.05) significantly in NMu2Li liver cell lines. 5. SSEx1, SSEx2 both increased the modulation of mitochondrial MCAD mRNA expression (p<0.05) significantly in C2C12 skeletal muscle cell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 the SSEx1, SSEx2 can be used as therapeutic agent for metabolic syndrome and it's molecular mechanisms of PPAR more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PPAR${\alpha}$ then PPAR${\delta}$ reporter gene activities and it's total RNA more contribute to the modulation of mitochondrial MCAD then VLCAD mRNA expression.

  • PDF

패브리병(Fabry) 진단을 위한 혈장 중 Globotriaosylceramide (Gb3)의 탠덤매스 분석법 개발과 임상 응용 (Determination of plasma C16-C24 globotriaosylceramide (Gb3) isoforms by tandem mass spectrometry for diagnosis of Fabry disease)

  • 윤혜란;조경희;유한욱;최진호;이동환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4권1호
    • /
    • pp.45-52
    • /
    • 2007
  • 목 적 : 패브리병은 X-linked 지질 축적 질환으로 ${\alpha}$-galactosidase A (${\alpha}$-Gal A)의 결손으로 인해 스핑고당지질인 Gb3의 세포내 축적을 일으키는 병이다. 혈장 중 Gb3 측정은 패브리병 환자의 효소대체요법 후의 모니터링이나 진단에 임상적 의의가 크므로 ESI-MS/MS를 이용한 시료 전처리를 위한 노동력이 덜 들면서 간단, 신속, 고감도로 정량할 수 있는 혈장 중 Gb3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 법 : 혈장을 디옥산으로 50배 희석하여 vortex-mix 및 원심분리를 거쳐 Gb3의 추출 및 분리를 수행한다. 이 때 내부표준액인 C17:0 Gb3를 혈장에 처음부터 첨가한다. 희석과 원심분리된 혈장은 가드컬럼을 통하여 ESI-MS/MS의 다중성분 모니터링 모드에서 분석하여 내부표준액에 대한 8종 Gb3 isoform의 피크면적비를 이용하여 정량한다. 결 과 : 혈장의 바탕성분 하에서 8종의 Gb3 isoform이 완전히 잘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장 중의 8종의 Gb3 isoform 중 50% 이상 차지하는 종류는 C16:0 Gb3 임이 확인되었다. Gb3 isoform이 직선성을 이루는 농도 범위는 0.001-1.0 ${\mu}g$/mL이었다. 검출한계(S/N=3)는 C16:0 Gb3의 경우 0.001 ${\mu}g$/mL 이었고 정량한계는 0.01 ${\mu}g$/mL 이었으며 회수율의 일내재현성(정확도 87-108%와 정밀도 7% 이하)과 일간재현성(정확도 87-110%와 정밀도 13% 이하)은 매우 양호 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Gb3 분석법은 신속, 정확, 간편하게 패브리병의 1차 스크리닝이나 효소대체요법 전후의 모니터링 및 진단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표고버섯 수확 후 배지의 이화학적, 영양적, 효소적 특성 (Physico-chemical, Nutritional, and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Shiitake Spent Mushroom Substrate (SMS))

  • 성화정;표수진;김종식;박종이;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339-1346
    • /
    • 2018
  • 국내 식용버섯 생산은 인공배지에 의존하고 있으며, 버섯 수확후의 폐 배지는 년간 200만톤 이상이 부생되고 있다. SMS에는 다량의 버섯 균사체와 자실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당량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물질이 잔존하고 있으나, 현재 특별한 용도없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고버섯 SMS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무접종 살균배지, 1차 SMS 및 3차 SMS의 이화학적, 영양적 및 효소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3차 SMS에서는 대부분의 목질부가 표고버섯 균사체에 의해 분해되어, 미접종 살균배지 및 1차 SMS보다 높은 함량의 조단백, 조지질, 회분 함량을 나타내어 우수한 영양성을 나타내었으며, 미접종 살균배지보다 칼슘은 2.95배, 마그네슘 및 나트륨은 2.35배, 인은 2.1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유해 중금속인 비소와 카드늄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3차 SMS의 경우 pH, brix와 산도는 각각 4.6, 20.0 및 1.4로 나타나, 1차 SMS 보다 가용성 물질 및 유기산의 증가가 월등함을 확인하였다. 무접종 배지와 수확횟수에 따른 SMS 분말 및 추출물의 색차는 유의적으로 변화되어 쉽게 구분가능하였다. 한편 APIZYM kit을 이용한 SMS의 효소 활성 평가결과, 평가한 19종의 효소 모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esterase (C4), leucine arylamidase, valine arylamidase, cystine arylamidase, trypsin, ${\alpha}$-chymotrypsin, acid phosphatase, naphtol-AS-BI-phosphohydrolase, ${\alpha}$-galactosidase, ${\beta}$-galactosidase, ${\beta}$-glucuronidase, ${\alpha}$-glucosidase, ${\beta}$-glucosidase, N-acetyl-${\beta}$-glucosaminidase, ${\alpha}$-mannosidase 및 ${\alpha}$-fucosidase는 매우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표고버섯 SMS를 이용한 축산, 수산 사료 개발 및 환경정화, 고분자 분해 산업, 생물 전환 산업에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Anabaena cylindrica 분해세균 AK-07의 동정과 분해 관련 효소활성 조사 (Identification of Alga-lytic Bacterium AK-07 and Its Enzyme Activities Associated with Degradability of Cyanobacterium Anabaena cylindrica)

  • 김정동;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36권2호통권103호
    • /
    • pp.108-116
    • /
    • 2003
  • 부영양화 현상을 나타내는 석촌호수와 팔당호의 표층수와 저니로부터 178개의 균주를 분리한 후, Anabaena cylindrica lawn 상에서 plaque를 형성하는 9개의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남조류 생장 억제 능력이 가장 우수한 AK-07를 선발하였다. AK-07의 특성과 16S rDNA의 염기 서열 분석을 기초로 하여 유연관계를 조사한 결과, 형태적, 생리적 생화학적 특징들은 Acinetobacter속의 특성들과 유사하였으며, 165 rDNA의 염기 서열 분석한 결과는 Acinetobacter johnsonii와 99.5%의 유사성을 나타내어, Acinetobacter johnsonii AK-07로 명명하였다. 남조류 분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AK-07를 A. cylindrica와 혼합 배양시 접종 2일 후에 남조류의 분해가 관찰되었고, 접종 10일 후에는 남조류가 완전히 사멸하였으며, AK-07의 세포 수는 $8\;{\times}\;10^8\;cfu\;ml^{-1}$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배양 상등액을 A. cylindrica와 혼합 배양 하였을 때에는 남조류의 분해는 관찰 되지 않았다. 따라서 AK-07는 남조류를 직접 접촉하여 분해하는 것으로 사료되어, AK-07에 세포에 존재하는 효소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Pretense와 glycanases중에서 ${\beta}$-Xylosidase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Alginase, Laminarinase, Lipase, ${\beta}$-Galactosidase 및 ${\beta}$-Glucosidase의 활성도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A. johnsonii AK-07은 A. cylindrica의 polysaccharides나 peptidoglycans를 monosaccharides이나 저분자 유기물로 분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Propertie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trains with High Fibrinolytic Activities

  • Jeong, Woo-Ju;Lee, Ae-Ran;Chun, Ji-Yeon;Cha, Jae-Ho;Song, Young-Sun;Kim, Jeong-H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3호
    • /
    • pp.252-259
    • /
    • 2009
  • We previously isolated Bacillus strains with high fibrinolytic activities (FAs) from cheonggukjang prepared by traditional ways. To test their potential as starters for cheonggukjang, soybean was fermented for 72 hr at $37^{\circ}C$ with each isolate and a control lab strain: B. subtilis CH3-25 (BS3-25), B. amyloliquefaciens CH51 (BA51), B. amyloliquefaciens CH86-1 (BA86-1), and B. subtilis 168 (BS168, control, lab strain). Viable cell numbers of all cheonggukjang samples rapidly increased and reached about $10^9$ CFU/g after 6 hr. During 72 hr, the initial pH of 6.3 rapidly increased to 8.1$\sim$8.2 for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S3-25 or BA86-1, and 7.3 for those with BA51 or BS168. FAs and protease activities (acid, neutral, and alkaline) rapidly increased in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S3-25, BA51, or BA86-1 during the first 12 hr. On the other hand, those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S168 slightly increased during the first 36 hr.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acid and neutral protease activities in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A51 or BA86-1 during the 24 hr. Rapid increases of $\beta$-glucosidase activity corresponded well with rapid increases of $\alpha$-amylase and $\alpha$-galactosidase activities in addition to increases in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TPCs (total phenolic contents). The highest increase in the TPCs was observed in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A86-1 while the least was that fermented with BS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