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w) Emulsion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7초

Controlled Release of Cyclosporin A from Liposomes-in-Microspheres as an Oral Delivery System

  • Park, Hee-Jung;Lee, Chang-Moon;Lee, Yong-Bok;Lee, Ki-You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6호
    • /
    • pp.526-529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cyclosporin A-loaded liposome (CyA-Lip) as an oral delivery carrier, with their encapsulation into microspheres based on alginate o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p-m10356. The main advantage of liposomes in the microspheres (LIMs) is to improve the restricted drug release property from liposomes and their stability in the stomach environment. Alginate microspheres containing CyA-Lip were prepared with a spray nozzle; CyA-Liploaded EPS microspheres were also prepared using a w/o emulsion method. The shape of the LIMs was spherical and uniform,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alginate-LIMs ranged from 5 to $10\;{\mu}m$, and that of the EPS-LIMs was about $100\;{\mu}m$. In a release test, release rate of CyA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SIF) from the LIMs was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ed to that in simulated gastric fluid (SGF). In addition, the CyA release rates were slower from formulations containing the liposomes compared to the microspheres without the liposome. Therefore, alginate-and EPS-LIMs have the potential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CyA and as an oral delivery system.

N-아실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제15보) Sodium N-(2-Dodecyl Succinoyl) l-Glutamate의 합성 및 계면성 (N-Acyl Amino Acid Surfactant(15) Synthesis and Properties of Sodium N-(2-Dodecyl Succinoyl) l-Glutamate)

  • 곽광수;윤영균;정노희;김덕권;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59
    • /
    • 2001
  • These N-acyl amino acid surfactants is normally produced by reaction of acid anhydride with sodium ${\ell}-glutamate$ hydrolysates under Schotten-Baumann condition i.e., in alkaline aqueous medium. To avoid using fatty acid chlorides, acylations were also carried out with the fatty acids themselves or with their methyl esters, but unfortunately these methods cannot be used in practice, dodecenyl succinic anhydride, was to be studied for their suitability as acylating agents the production if acylated glutamine hydrolysates. The surface activities including surface tension forming power, forming stability and emulsifying power were measured.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ducts have a good emulsifying power. Thus, there derivatives will be expected to be used an emulsifying agent for O/W type cosmetic emulsion.

제미니형 디에틸렌글리콜 디카르복실레이트 류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Gemini Type's Diethylene Glycol Dicarboxylates)

  • 최은지;전영수;이재덕;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7-265
    • /
    • 2010
  • This study concerned about "Gemini type co-surfactant" which has very interesting properties with new components. They were synthesized by reaction of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nd dicarboxylic acid. The structure could be comfirmed with FT-IR and $^1H$-NMR. Surface active properties such as surface tension, evaluated cmc, cloud point, emulsing power were measured respectively at given conditions. Their surface tensions in the aqueous solution were decreased to 33~35 dyne/cm, which was lower than 39 dyne/cm of SDS, and their cmc values evaluated by surface tension method were $5.0{\times}10^{-1}\sim7.5{\times}10^{-1}$ mol/L. And the emulsifying power was excellent in jojoba oil. All of the synthesized Gemini surfactants possessed good water solubility and their cloud point were $48\sim58^{\circ}C$. As results, Gemini surfactants which were synthesized are expected to be applied as O/W emulsifiers.

매질(matrix)에 따른 지방산화 및 산화방지능 메커니즘 (Lipid oxidation and antioxidant mechanisms in different matrix)

  • 이보라;김미자;이재환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1권2호
    • /
    • pp.127-135
    • /
    • 2018
  • 지방산화는 기본적으로 불포화지방과 산소의 결합이나 이 현상을 제대로 알고 실제 식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방산화에 미치는 모든 인자들의 화학적 관점(one-electron reduction potential, bond dissociation enthalpy) 뿐만 아니라 물리적 현상(interface, antioxidant polar paradox)을 포괄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Invitro실험법에 의해 도출된 산화방지제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나 실제 식품과 bulk oil, 유화형태, 오르가노젤과 같은고체 상태의 다양한 매트릭스에서는 다른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산화방지제의 농도와 다른 물질의 존재에 따라 예상과 다른 활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산화방지제를 활용하여 최종제품의 유통기한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실제 활용될 제품의 매질로 사용해야 한다.

Liquid Crystal Emulsions Containing High Content Ceramides for Improved Skin Barrier Functions

  • Lee, Jun Bae;Noh, Minjoo;Kim, Su Ji;Jang, Jihui
    • Korea Journal of Cosmetic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9-29
    • /
    • 2019
  • In this work, we fabricated liquid crystal (LC) emulsions with fatty alcohol in order to stabilize high content ceramide in cosmetic formulation. We investigated the role of fatty alcohol and surfactant in the formation of higher order structure.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y play a crucial role to form higher order structure. SAXS study shows that ceramide can be incorporated up to 3% in cosmetic formulation with higher order structure and its stability was maintained up to 12 weeks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WAXS study, the higher order structure can suppress the re-crystallization of ceramide in cosmetic formulation. Finally, we performed in vivo skin barrier recovery test for the damaged skin. LC emulsions with ceramide and O/W emulsions show significant effect in skin barrier recovery at D 1, D 2 and D 6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dition. While only LC emulsions show significant skin recovery effect at D 14. We expect that LC emulsions are the promising skin carrier to stabilize ceramide and LC emulsions with ceramide can improve the skin barrier function.

수소첨가레시친을 이용한 액정 젤의 형성과 보습효과 (Formation of Liquid Crystalline with Hydrogenated Lecithin and Its Effectiveness)

  • Kim, In-Young;Lee, Joo-Dong;Ryoo, Hee-Chang;Zhoh, Choon-Ko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9-165
    • /
    • 2004
  • 이 연구는 O/W 에멀젼에서 주성분으로 수소첨가 레시친(이하 HL)을 사용한 액정젤(이하 LCG)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가장 적절한 LCG의 조성에 대한 안정성 시험과는 다음과 같다. 액정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조성은 다음과 같다. 유화제로 4.0wt%의 HL과 부스터로 4.0wt%의 세토스테아릴알코올(CA)를 사용하였다. 액정 젤의 형성에 보습제는 글리세린 2.0wt%, 1,3-부틸렌글리콜(1,3-BG) 3.0wt%, 에몰리엔트는 사이크로메치몬 4.0wt%,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ININ) 3.0wt%, 카프릭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CCTG) 3.0wt%, 마카데미아넛오일(MNO) 3.0wt%을 사용하였다. 최적의 LCG의 형성조건은 pH=4.0-11.0 범위에서 잘 형성되었으며, 피부안전성을 고려하여 6.0$\pm$1.0 범위로 설정하였다. 가장 안정한 경도는 32dyne/$\textrm{cm}^2$이었다. LCG으 입자크기는 1-20$\mu\textrm{m}$ 범위이었으며, 가장 잘 형성되는 입자 크기는 1-6$\mu\textrm{m}$에서 가장 잘 형성되었다. 편광현미경을 통하여 액정의 형성 및 모양을 관찰하였으며, 액정의 둘레 주위에 다중라멜라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피검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부보습효과를 임상측정한 결과 placebo크림에 비하여 36.6%가 증가하였다. 그 이유는 액정의 주위의 친수그룹이 폴리올들을 많이 흡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예측하였다. 이 LEG형성 이론을 근거로 하여 의약 및 화장품 산업에 크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항균활성을 갖는 천연물 개발과 화장품 응용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Plant Extracts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 이지영;이정노;이강태;이건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71-179
    • /
    • 2012
  • 본 연구는 항균 활성을 지니는 식물추출물을 찾고 화장품에서 방부제로서 적용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을 통해 3가지 식물 추출물, 함박꽃나무(천녀목란, Magnolia sieboldii), 오배자(Rhus chinensis), 메타세콰이어(Metasequioa glyptostroboides)가 항균활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 물질의 최소저해농도(MIC)를 측정한 결과 메타세콰이어는 0.3 ~ 0.35 %, 함박꽃나무는 0.35 ~ 0.4 % 농도에서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고 오배자는 0.45 ~ 0.5 % 농도에서 세균의 생장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출물 내의 항균 활성을 지니는 성분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메타세콰이어에서 분리한 caryophyllene oxide와 caryophyllene, 함박꽃나무에서 분리한 costunolide와 dehydrocostus lactone, 오배자에서 분리한 ethyl gallate, ethyl-3-gallate 등이 항균활성을 지닌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O/W 에멀션 제형에서 식물 추출물을 넣고 방부력을 확인한 결과 혼합사용 시 세균과 곰팡이 모두에 대한 방부효과 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함박꽃나무, 오배자, 메타세콰이어 추출물의 혼합물은 기존의 화학 방부제를 대체할 천연 방부제로서 화장품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젤라틴-신남산 접합체가 코팅된 알긴산나트륨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 및 방출 특성 (The Preparation and Release Property of Alginate Microspheres Coated Gelatin-cinnamic Acid)

  • 이주협;마진열;김진철
    • 공업화학
    • /
    • 제24권5호
    • /
    • pp.471-475
    • /
    • 2013
  • 이 연구는 젤라틴-신남산 접합체를 알긴산나트륨 마이크로스피어에 코팅하여 광 민감성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여 광 민감성을 관찰하였다. 광 민감성 마이크로스피어는 W/O (water-in-oil) 에멀젼법을 이용하여 알긴산나트륨 마이크로스피어를 만든 후 젤라틴-신남산 접합체를 알긴산나트륨 마이크로스피어 표면에 코팅시켜 제조하였다. 젤라틴-신남산 접합체의 합성은 젤라틴의 아미노 그룹과 신남산의 카복실 그룹 사이의 아미드화반응으로 결합하였다. 알긴산나트륨 마이크로스피어 표면의 젤라틴-신남산 접합체의 코팅은 SEM-EDS의 결과로 확인하였다. 또한 형성된 접합체에 결합된 신남산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알긴산나트륨 1 g당 젤라틴-신남산 접합체가 0.13 g이 코팅된 것을 확인했다. 코팅된 마이크로스피어를 SEM을 통해 마이크로스피어의 크기가 $10{\mu}m$인 것을 확인했다. 광 민감성의 관찰을 위해 365 nm와 254 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이량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이량화 정도가 49%와 28%였다. 마이크로스피어의 방출경향을 관찰하기 위해 모델약물로 FITC-dextran을 사용하여 알긴산나트륨 마이크로스피어에 봉입하여 방출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약 42%의 FITC-dextran이 방출되었다. 결과적으로 젤라틴-신남산 접합체가 코팅된 마이크로스피어는 광 반응성을 가지는 약물전달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리카의 표면 처리와 교반 속도가 폴리카프로락톤 마이크로캡슐의 향유 방출 거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urface Treatment of SiO$_2$ and Stirring Rate on Fragrant Oil Release Behavior of Poly($\varepsilon$-caprolactone) Microcapsules)

  • 박수진;양영준;이재락;서동학
    • 폴리머
    • /
    • 제27권5호
    • /
    • pp.464-469
    • /
    • 2003
  • 실리카의 표면 처리가 마이크로캡슐의 향유 방출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표면 산-염기 처리 용액으로서 30 wt%, 20 wt% 그리고 10 wt%의 HCl과 NaOH 용액을 사용하였다. 실리카의 표면 산도 및 표면 염기도를 Boehm의 선택 중화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흡착 표면적과 총 기공부피는 BET법을 이용한 $N_2$ 기체의 흡착을 통해 알아보았다 액중건조법을 사용하여 향유가 흡착된 실리카를 심물질로 하는 PCL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으며, 다공성의 실리카에 향유를 흡착시키기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였다.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입도는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FT-IR측정을 통하여 심물질이 함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캡슐의 향유 방출 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UV/vis. 흡광광도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용출된 향유의 양을 정량하였다. 실험 결과, 교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입자 크기가 35 $\mu$m에서 21 $\mu$m로 감소하였으며, 실리카의 산처리를 통해 비표면적이 78.1에서 121.1 m$^2$/g으로 증가함에 따라 향유의 흡착량이 약 20% 증가하고 염기처리를 통해 실리카의 염기도가 78에서 134 meq./g으로 증가하여 향유와 실리카의 산-염기 상호작용의 증가로 인해 향유의 시간에 따른 방출 속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OMC Nano-emulsion을 포집하고 있는 Nano-TiO$_2$-Paste의 합성과 화장품의 응용 (Inorganic-organic nano-hybrid; Preparation of Nano-sized TiO$_2$ Paste Trapped OMC Nano-emulsion and it's Application for Cosmetics)

  • Byung Gyu, Park;Jong Heon, Kim;Jin Hee, Im;Kyoung Chul, Lee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1-187
    • /
    • 2004
  • 화장품에서 유기 화합물인 OMC(octyl methoxy cinnamate)와 무기 소재인 TiO$_2$가 자외선 차단제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OMC는 skin trouble이 있고, TiO$_2$는 첨가량에 비해서 자외선 차단 효율이 OMC보다 낮고 입자의 크기효과에 의해 백탁 현상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성분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OMC를 나노에멀젼시키고, 이 나노에멀젼-OMC를 나노-TiO$_2$ 미립자로 포접하여 자외선 차단효과를 극대화 하면서, 피부에 OMC가 직접적으로 적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계면활성제를 boundary로 하는 유기/무기 hybrid nano-material에서 TiO$_2$ 미립자와 OMC-에멀젼이 나노 크기가 되면 백탁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투명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노-에멀젼 OMC를 TiO$_2$로 포집하는 과정에서 hydrophilic character를 갖는 레시친으로 TiO$_2$를 안정화하여 보습성을 더욱 향상시켰다. 합성한 inorganic-organic hybrid nano-material는 TEM을 이용하여 나노 미립자의 morphologies를 규명하였고, UV-Visible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자외선 흡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X-ray diffractometer를 이용하여 나노-에멀젼 OMC를 포집하고 있는 TiO$_2$ 미립자가 갖는 특성인 pore의 크기와 구조를 측정하였다. 화장품적인 응용으로서 SPF analyzer 측정결과 기존의 powder-OMC에 비하여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OMC의 피부 침투도 훨씬 줄일 수 있어 OMC의 피부 부작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pm$0.06 $\mu$g/g 범위였다. 4. 날결명자 분말첨가군 각 조직에 축적된 카드뮴 함량이 제일 낮았던 C4를 Cl과 비교한 결과 뇌, 심장, 비장, 간, 폐, 고환, 신장, 대퇴부근육, 다리뼈에 각각 49.03, 22.56, 36.02, 35.75, 41.75, 36.20, 37.00, 22.77, 56.67 %의 감소를 보였으며, 각 장기의 함량은 뇌<다리뼈<대퇴부 근육<고환<폐<심장<비장<신장<간 순 이었다. 5. 카드뮴 총 섭취량으로 장기 및 조직의 카드뮴 평균함량에 대한 축적율은 카드뮴만 섭취한 군(Cl) 의 경우 7.14%이었으며, 결명자 분말 첨가군인 C2, C3, C4군의 경우 각각 4.91, 4.81, 4.50 %이었다. 6. 체모의 카드뮴 함량은 Cl군이 가장 높았고, 결명자 첨가군들의 카드뮴 함량은 6주째까지 모든 시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6주 이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7. 분변 중 카드뮴 함량은 C4군이 가장 높았고, 결명자 첨가군들의 카드뮴 함량은 C3군과 C4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들에서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6주째에 카드뮴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가 6주 이후에 다시 카드뮴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erefore the guidelines for iron supplementation and nutritional education to improve their iron status should be provided.한 질소제거를 N-balance로부터 구해보면, R3 반응조의 경우가 가장 높은 제거율(40.9%)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Bncillus 균주는 호기적 탈질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Bncillus 균주를 이용한 B3 공정은 탈질에 이용되는 탄소량이 거의 없고, 적은 alkalinity 소모에 의한 경제적 이익 등 장점을 가진 공정으로 보여 진다.수록 푹신한 감이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