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gallocatechin gallate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43초

비색분석법에 의한 Epigallocatechin Gallate의 항암효과평가 (Antitumor Evaluation of Epigallocatechin Gallate by Colorimetric Methods)

  • 백순옥;김일광;백승화;한두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11-415
    • /
    • 1998
  • 인체 피부흑색종 세포에 대한 epigallocatechin gallate의 세포독성작용을 평가하고, 광학현미경적 관찰을 실시하여 인체 피부흑색종 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세포독성은 비색정량분석법, NR정량분석법과 SRB정량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런 결과는 epigallocatechin gallate에 항암활성을 보여준다.

  • PDF

혈관내피세포의 세포사멸작용에 대한 (-)Epigallocatechin Gallate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on Apoptosis in Human Vascular Endothelial Cells)

  • 최연정;최정숙;이세희;이용진;강정숙;강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72-67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free radicals의 산화적인 손상에 의한 세포사멸에 있어서 녹차성분의 하나인 (-)epigallocatechin gallate의 억제효과를 규명하였다. 우선 radicals 소거작용에 있어서 (-)epigallocatechin gallate는 탁월한 항산화력을 발휘하였다. 혈관손상과 직결되는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하여 hydroxyl radical의 $H_2O$$_2$에 의한 산화적인 손상을 유발시켜 세포생존율을 조사하였는데, (-)epigallocatechin gallate는 100 $\mu\textrm{m}$ 이하의 농도에서는 그 자체 독성이 없었고 $H_2O$$_2$의 산화적 독성효과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flavone인 apigenin은 고농도에서 독성을 가지며 radical 소거활성이 미약하고 $H_2O$$_2$의 산화독성은 경감시키지 못하였다. 다양한 세포사멸 검출법을 이용하여 세포 및 세포핵의 형태학적 양상을 조사한 결과, 0.25mM $H_2O$$_2$에 의한 24시간 이내의 세포죽음은 세포사멸현상에 의하여 초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세포사멸과정을 겪고 있는 혈관내피세포에 50 $\mu\textrm{m}$ (-)epigallocatechin gallate를 처리한 경우에 세포핵의 응축이나 DNA fragmentation은 사라지고 세포사멸작용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예상한 바와 같이 apigenin의 flavone은 세포사멸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Epigallocatechin gallate는 녹차에 함유된 catechins의 하나로서 free radicals의 산화적 손상에 의한 세포사멸에 있어서 탁월한 방어적 인 세포생리학적인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혈관노화 및 혈관손상과 함께 유발되는 세포사멸성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기능성 식품 신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Inhibitory Effect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Quercetin o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Induced Secretion of Metalloproteinase-2 and Metalloproteinase-9

  • Kang Sang-Wook;Choi Yean-Jung;Choi Jung-Suk;Kwon Hyang-Mi;Bae Ji-Young;Park Eun-Hee;Ji Geun-Eog;Kang Il-Jun;Kang Young-He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3호
    • /
    • pp.145-151
    • /
    • 2006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degradation undet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quercetin on phorbol-12-myristate 13-acetate (PMA)-induced secretion of MMP-2 and MMP-9, whe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were treated with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quercetin at supraphysiological concentrations of $25{\mu}mol/L$.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by MIT assay in response to a treatment with PMA in the presence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quercetin. Western blot analysis and gelatin zymography revealed that exposure of HUVEC to PMA enhanced the levels and gelatinolytic activities of pro and active forms of MMP-2 and active form of MMP-9. (-)Epigallocatechin gallate attenuated PMA-stimulated secretion of active forms of MMP-2 and MMP-9 concomitantly with a loss of activities of these enzymes, which was related to the decreased mRNA levels of MMP. Quercetin was more potent than (-)epigallocatechin gallate in alleviating MMP-9 protein secretion and activity with a decrease in MMP-9 mRNA accumulation. Taken togeth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epigallocatechin gallte and quercetin exhibited inhibitory effects on MMP activity and may qualify as chemopreventive and cardiovascular protective agents.

녹차로부터 EGCG(Epigallocatechin Gallate)의 추출 및 정제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from Green Tea)

  • 강지훈;박영광;정성택;노경호
    • KSBB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517-522
    • /
    • 1999
  • 실험에 사용된 녹차는 전남 보성에서 재배된 것으로 국내시장에서 구입하였다. 녹차 5g을 순수한 물 5$0^{\circ}C$에서 추출한 후 클로로포름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배하였다. 추출액을 크로마토그래픽 컬럼 (4.6$\times$250 mm, 15$\mu\textrm{m}$, Lichrospher 100RP-18)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추출액으로부터 $\mu$-Bondapak $C_18$(3.9$\times$300mm, 10$\mu\textrm{m}$) 컬럼을 이용하여 녹차에 포함된 카테킨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EGC(Epigallocatechin, C(catechin), EC(Epicatechin), EGCG(Epigallocatechin Gallate) and ECG(Epicatechin Gallate)의 순으로 용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는 목적물질인 EGCG를 분리하기 위해 이동상의 조성은 0.1%의 아세트산이 포함된 물/아세토나이트릴, 87/13 %(v/v)이었다. 유량은 1.0 $m\ell$/min, UV 검지기는 280nm로 고정하였다. 위의 실험조건으로 5g의 전남 보성산 녹차로부터 순도 98% 이상의 121.3mg EGCG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Preventive Effects of a Major Component of Green Tea, Epigallocathechin-3-Gallate, on Hepatitis-B Virus DNA Replication

  • Karamese, Murat;Aydogdu, Sabiha;Karamese, Selina Aksak;Altoparlak, Ulku;Gundogdu, Cema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0호
    • /
    • pp.4199-4202
    • /
    • 2015
  • Background: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s one of the major world health problems. Epigallocatechin-3 gallate is the major component of the polyphenolic fraction of green tea and it has an anti-viral, anti-mutagenic, anti-tumorigenic, anti-angiogenic, anti-proliferative, and/or pro-apoptotic effects on mammalian cells. In this study,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of HBV replication by epigallocatechin-3 gallate in the Hep3B2.1-7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Materials and Methods: HBV-replicating Hep3B2.1-7 cel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s of epigallocatechin-3 gallate on HBV DNA replica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HBsAg and HBeAg were determined using ELISA. Quantitative real-time-PCR was appli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expression level of HBV DNA. Results: Cytotoxicity of epigallocathechin-3-gallate was not observed in the hepatic carcinoma cell line when the dose was lower than $100{\mu}M$. The ELISA method demonstrated that epigallocatechin-3 gallate have strong effects on HBsAg and HBeAg levels. Also it was detected by real-time PCR that epigallocatechin-3 gallate could prevent HBV DNA replication. Conclusions: The obtained data pointed out that although the exact mechanism of HBV DNA replication and related diseases remains unclear, epigallocatechin-3 gallate has a potential as an effective anti-HBV agent with low toxicity.

녹차와 목단피의 항산화 성분 (Antioidants of Theae Folium and Moutan Cortex)

  • 부용출;전체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5호
    • /
    • pp.326-331
    • /
    • 1993
  • 산화성 프리 라디칼과 반응함으로써 항산화제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얻을 목적으로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을 프리 라디칼 모델로 사용하여 여러 식물 생약의 에탄올 추출물을 검색하고, 그 결과로 선별된 녹차와 목단피의 추출물에 대해서는 용매에 의한 분획과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여 각각의 유효 성분을 분리, 규명하고 그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녹차의 경우 그 유효 성분이(-)-epigallocatechin$(100\;{\mu}M\;DPPH$의 50%를 환원 시키는데 필요한 농도 즉, $SC_{50}=3.2\;{\mu}g/ml)$과 (-)-epigallocatechin gallate$(SC_{50}=2.6\;{\mu}g/ml)$로 나타났으며, 목단피의 경우는 gallic acid$(SC_{50}=2.0\;{\mu}g/ml)$가 유효 성분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화합물들은 $Fe^{3+}-ADP/ascorbate$계에 의한 microsome 분획에서의 지질 과산화 반응을 잘 억제하였으며, 그 항산화력은 (-)-epigallocatechin(1mg protein/ml의 microsome 분획에 대하여 지질 과산화를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농도 즉, $(IC_{50}=0.2\;{\mu}g/ml)>(-)-epigallocatechin\;gallate(IC_{50}=2.5\;{\mu}g/ml)$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부터 강력한 항산화 물질들을 함유한 녹차와 목단피등의 식물 생약이 각종 프리 라디칼 반응에 의한 생체 손상을 막아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녹차유부 섭취가 실험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Fried Beancurd Containing Powdered Green Tea in Rats)

  • 염윤기;이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546-55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녹차분말이 포함된 녹차유부의 시제품 섭취가 실험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분말이 포함된 유부 제품의 성분을 HPLC로 분석한 결과 녹차의 기능성 성분인 epigallo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 gallate, epigallocatechin gallate 등이 공정단계에서 파괴되지 않고 잘 보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발된 녹차유부 시제품을 실험쥐에 섭취시킨 후 혈청의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과 포도당농도를 측정한 결과 일반 유부를 섭취한 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LDL-cholesterol 농도와 혈당량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 PDF

Anti-Cancer Effects of Green Tea by Either Anti- or Pro-Oxidative Mechanisms

  • Hayakawa, Sumio;Saito, Kieko;Miyoshi, Noriyuki;Ohishi, Tomokazu;Oishi, Yumiko;Miyoshi, Mamoru;Nakamura, Yoriyuk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1649-1654
    • /
    • 2016
  • Tea derived from the leaves and buds of Camellia sinensis (Theaceae) is consumed worldwide. Green tea contains various components with specific health-promoting effects, and is believed to exert protective effects against diseases including cancer, diabetes and hepatitis, as well as obesity. Of the various tea components, the polyphenol catechins have been the subject of extensive investigation and among the catechins, (-)-epigallocatechin gallate has the strongest bioactivity in most cases. Our research group has postulated that hepatocyte nuclear factor-$4{\alph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are targets of green tea constituents including (-)-epigallocatechin gallate for their anti-diabetes, anti-obesity, and anti-hepatitis effects, respectively. Published papers were reviewed to determine whether the observed changes in these factors can be correlated with anti-cancer effects of green tea. Two major action mechanism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have been proposed; one associated with its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the other with its pro-oxidative activity. When reactive oxygen species are assumed to be involved, our findings that (-)-epigallocatechin gallate downregulated hepatocyte nuclear factor-$4{\alph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may explain the anti-cancer effect of green tea as well. Howev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lucidate which determinant directs (-)-epigallocatechin gallate action as an anti-oxidant or a pro-oxidant for favorable activity.

녹차 카테킨류의 pH에 대한 안정성 연구 (Effect of pH on the Stability of Green tea Catechins)

  • 박영현;원은경;손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7-123
    • /
    • 2002
  •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녹차중의 catechin류에 대하여 열수추출 및 HPLC분석을 통하여 함량을 조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pH조건이 녹차 catechin류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시판 중인 전남 보성산 녹차의 catechin류 함량은 (+)-catechin>(-)-EGCg>(-)-EGC>(-)-EC>(-)-ECg순으로 추출되었고 Total catechin류의 함량은 103.72mg/g이었다. 녹차에서 분리·정제되어진 catechin류인 (+)-catechin, (-)-EC, (-)-ECg, (-)-EGCg를 pH 3∼11에 대한 안정성을 흡광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catechin류의 pH에 대한 영향을 최대흡수파장 및 흡광도 변화로 보면 pH가 높을수록 (+)-catechin과 (-)-EC은 흡광도가 증가되었고 (-)-ECg와 (-)-EGCg는 최대흡수파장이 증가되었다. 또한 7일간 실온에서 저장하면서 기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 산성조건에서는 큰 변화가 없지만 알칼리조건에서는 흡광도가 증가되었다. (+)-catechin과 (-)-EC은 알칼리조건에서 흡수파장 400∼430 nm에서 저장기간이 길수록 흡광도가 증가되었다. 이는 녹차의 갈변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녹차 Catechin유도체의 pH 및 저장기간에 대한 영향은 ECg, EGCg에 gallic acid의 결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C, EC의 불안정은 중합반응으로 생각된다. 녹차 catechin류는 대부분 산성에서 저장기간이 길고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리활성이 강한 (-)-EGCg는 산성에서도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차의 기능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pH를 낮게 유지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henolic Components from Camellia sinensis L.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 Shin, Jung-Sook;Chung, Ha-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3호
    • /
    • pp.135-140
    • /
    • 2007
  •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major phenolic components from Camellia sinensis L. were investigated against several pathogenic microorganisms including Gram-positive strains like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13 and Streptococcus pyogens 308A; and Gram-negative strains like Escherichia coli ATCC 25922, Escherichia coli 078, Pseudomonas aeruginosa 9027, and Enterobacter cloacae 1321E. The MIC values demonstrate that both (-)-epicatechin and (-)-epigallocatechin were more considerably toxic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13 than the other two catechins like (-)-epicatechingallate and (-)-epigallocatechin-3-gallate. (-)-Epicatechingallate and (-)-epigallocatechin-3-gallate were most inhibitory against Escherichia coli ATCC 25922. As a result, (-)-epicatechin showed predominant antibacterial activities among tea varieties. The contents of major polyphenolic components such as four catechins, theaflavin, and querceti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fermentation processes. The total contents of four catechins were ranged from 13.81 to 1.33%, with (-)-epigallocatechin-3-gallate being dominant among tea varieties; theaflavin was found the characteristic pigment in fully-fermented black t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