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M_{2.5}$)

검색결과 17,614건 처리시간 0.042초

강화에서의 $PM_{2.5}$ 특성 (Characteristics of $PM_{2.5}$ in Kanghwa)

  • 최민규;여현구;임종억;조기철;김희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73-583
    • /
    • 200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M(sub)2.5 in the background area, the following pollutant were measured from February 1996 to June 1999 in Kanghwa: PM(sub)2.5 mass, sulfate, nitrate, chloride, ammonium, sodium, calcium, magnesium and potassium. The mean concentration of PM(sub)2.5 mass was 25.8$\pm$1.2$\mu\textrm{g}$/㎥(range 5.18~85.74). This value was higher than the annual PM(sub)2.5 US NAAQS(15$\mu\textrm{g}$/㎥) and the total number of samples higher than the 24-h PM(sub)2.5 US NAAQS(65$\mu\textrm{g}$/㎥) was seven. PM(sub)2.5 masses also showed temporal variations both yearly and seasonally. Total water soluble ions constituted about 45% of PM(sub)2.5 miss, and sulfate, nitrate and ammonium were main components in water soluble ions. Compared with the literature data from other areas, the measured PM(sub)2.5 concentrations were relatively high.

  • PDF

서울 성동구 지역 미세먼지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of Fine Particles in the Sungdong Area, Seoul, Korea)

  • 조용성;이홍석;김윤신;이종태;박진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65-676
    • /
    • 2003
  •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PM$_{2.5}$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0년 10월 1일부터 200l년 9월 26일까지 계절별(봄, 여름, 가을 겨울)로 PM$_{2.5}$ dichotomous air sampler를 이용하여 포집한 후, ICP-MS를 이용하여 검출한계 이상인 13가지의 중금속 성분(Al, As, Ba, Ca, Cd, Cr, Cu, Fe, Mn, Pb, Si, V, Zn)과 IC를 이용하여 5가지의 수용성 이온성분($Na^{+}$, NH$_4$$^{+}$, Cl ̄, NO$_3$$^{-}$ , SO$_4$$^2$ ̄)을 측정/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얻어진 PM$_{2.5}$의 농도와 화학적 성분의 농도를 계절별로 비교하였으며, 중금속 성분의 정성적인 발생원의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1) 조사기간 중 PM$_{2.5}$의 계절별 농도는 겨울(33.91 $\mu\textrm{g}$/㎥) > 봄(28.79 $\mu\textrm{g}$/㎥) > 가을(18.62 $\mu\textrm{g}$/㎥) >여름(14.92 $\mu\textrm{g}$/㎥) 순으로 조사되어 주로 겨울철에 대기중 PM$_{2.5}$의 농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M$_{10}$에 대한 PM$_{2.5}$의 기여도는 33.7~83.5 %로 나타났으며, PM$_{2.5}$PM$_{10}$의 평균비는 0.54로 조사되었고, 회귀분석에서 PM$_{10}$=4.20PM$_{2.5}$+.9.91, $R^2$=0.73 (p < 0.05)의 회귀관계식을 나타나 PM$_{2.5}$로 PM$_{10}$을 73%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보였다. 2) PM$_{2.5}$의 중금속 성분은 Si > Fe > Al> Zn >Ca>Ba>V>Pb>As>Cu>Cr>Cd 순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중금속 성분의PM$_{2.5}$PM$_{10}$의 비는 인위적인 발생원에서 기인하는 Cd, Cr, Pb, V, Zn과 같은 중금속 성분의 비율이 높은 조사되었고, 자연적인 발생원에서 기인하는 Al, Ca, Fe, Mn, Si와 같은 중금속 성분의 비율이 낮게 조사되었다 특히 Al, Ca, Fe의 비율이 봄철에 높아 중국에서 발생한 황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3) PM$_{2.5}$ 중 이온 성분의 농도는 NO$_3$ ̄ > SO$_4$$^2$ ̄ > Cl ̄ > NH$_4$$^{+}$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PM$_{2.5}$PM$_{10}$의 비를 조사한 결과, NO$_3$ ̄,SO$_4$$^2$ ̄, Cl ̄의 비율이 높아 PM$_{10}$에 포함되어 있는 PM$_{2.5}$가 산성오염물질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PM$_{2.5}$의 정성적인 발생원을 추정하기 위해 중금속 성분에 대한 주성분 분석의 결과 3개의 주성분으로 나누어 졌으며, 주요 발생원은 자연발생원인 토양성분과 석유연료 연소에서 배출되는 성분으로 추정되어 이 발생원이 중금속 성분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PM$_{2.5}$의 화학적 성분은 지역여건과 기상조건, 계절변동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PM$_{10}$에 비해 인체에 유해한 화학적 성분(중금속, 이온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PM$_{2.5}$에 대한 철저한 관리 및 규제 설정이 요구되며, 측정지점의 특성상 자동차 배기가스와 금속제련 및 가공에 의한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지역여건과 기상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 PM$_{2.5}$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자료축적이 요구되고 발생원에 대한 정량적인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015~2016년 경남지역의 PM2.5의 시·공간적 특성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PM2.5 in Gyeongnam Province during 2015-2016)

  • 손장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45-1055
    • /
    • 2017
  • Characterization of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PM_{2.5}$ in Gyeongnam (GN) province during 2015-2016 was investigated to assess the air quality in this area in terms of fine particles. Yearly mean concentrations of $PM_{2.5}$ ranged from 19.1 to $29.5{\mu}gm^{-3}$. High concentrations of $PM_{2.5}$ were observed in spring ($21.2-30.3{\mu}gm^{-3}$) and winter ($20.2-30.3{\mu}gm^{-3}$). Low concentrations of $PM_{2.5}$ were generally observed in fall ($16.2-23.2{\mu}gm^{-3}$). $PM_{2.5}$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he morning (10 AM). The fractions of $PM_{2.5}$ in $PM_{10}$ were 0.51-0.62 and two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0.779-0.830), suggesting common sources (fossil fuel combustion, mobile sources, etc). CO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M_{2.5}$ in highly urbanized areas such as the city of Changwon (CW, r=0.711), compared to other air pollutants ($SO_2$, $NO_2$, and $O_3$), suggesting dominance of industrial combustion sources.

부산지역 PM2.5와 PM10 입자조성에 관한 연구 (A Comparison of PM2.5 and PM10 particles in Pusan Area)

  • 진보경;김창환;최금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44
    • /
    • 2000
  • 최근 대기중 입자상 물질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고 있으며, TSP에서 PM10으로 기준이 강화되는 등 미세입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호흡범주의 입자에 대한 규제를 목적으로 PM2.5에 대한규제가 미국등 몇 개국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PM2.5에 대한 각종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SP 나 PM10 에 대한 각각의 연구들은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PM2.5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하며 PM10 과 PM2.5 의 상호비교를 고찰한 논문도 그리 많지 않다. (중략)

  • PDF

부산지역 최근 4년간(2015~2018년) PM10과 PM2.5농도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 (Spaciotemporal Variation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 for 2015 to 2018 in Busan)

  • 전병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49-760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diurnal, seasonal, and weekly roadside and residential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in Busan, as well as relationship with meteorological phenomenon. Annual mean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in Busan were 44.2 ㎍/㎥ and 25.3 ㎍/㎥, respectively. The PM2.5/PM10 concentration ratio was 0.58. Diurnal variations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in Busa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peaks and times at which the peaks occurred. Roadside PM10 concentration was highest on Saturday and lowest on Friday. Residential PM10 concentration was highest on Monday and lowest on Friday. Residential PM2.5 concentration was highest on Monday and Tuesday and lowest on Friday.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were highest on Asian dust and haze,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understanding the spaciotemporal variation of fine particles could provide insights into establishing a strategy to control urban air quality.

유연탄 발전소에서의 PM 및 PM2.5 배출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M and PM2.5 from Bituminous Coal Combustion Power Plants)

  • 윤영식;김정훈;;손승욱;박광규;박경일;서용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1-160
    • /
    • 2010
  • Particles emitted from three coal-fired power plants burning bituminous and sub-bituminous coals were examined for PM and size fractions PM>2.5 and PM2.5. The ratio of PM2.5/PM was ranged from 10 to 62%, and PM emission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coal feed, which was 7.23~15.66 kg/h. The emission range of PM2.5 from three power plants was 1.24~4.48 kg/h (dry), which was function of the mixed rate of viscous sub-bituminous coal in feed. Of course such effect should be examined by further tests in details. Based on the consumed coal and thermal load, the emission factors averaged were shown as 59.03 g-PM/ton-coal, 14.79 g-PM2.5/ton-coal and 22.51 g-PM/MWh, 5.54 g-PM2.5/MWh, respectively.

2006-2008년 봄철 부산 지역 PM10과 PM2.5의 질량농도 및 금속성분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the Metallic Elements and the Mass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Observed in Busan, Korea in Springtime of 2006-2008)

  • 전병일;황용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4-24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봄철에 $PM_{10}$$PM_{2.5}$를 채취하여 질량농도와 금속원소의 화학적 특성, 기상인자와의 관계 분석, 황사 및 비황사시의 미세먼지 특성 그리고 이동경로에 따른 농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기간동안의 $PM_{10}$, $PM_{2.5}$, $PM_{10-2.5}$평균농도는 각각 $126.2{\pm}89.8$, $85.5{\pm}41.6$, $40.7{\pm}54.9{\mu}g/m^3$이었으며 $PM_{2.5}/PM_{10}$$PM_{10-2.5}/PM_{2.5}$ 비는 각각 0.70, 0.48이었다. 우리나라의 북서쪽인 북경을 포함한 지역과 서쪽인 상해를 포함한 지역에서 공기덩어리가 이류 할 때 가장 높은 미세먼지농도를 나타내었다.

대구지역 대기 중 PM-10과 PM-2.5의 농도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centration of Ambient PM-10 and PM-2.5 in Daegu Area)

  • 도화석;최수진;박민숙;임종기;권종대;김은경;송희봉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0-28
    • /
    • 2014
  • 대구지역의 13개 대기오염측정소 중 PM-10과 PM-2.5를 동시에 측정하는 3개 측정소 즉, 공업지역에 위치한 이현동, 주거지역에 위치한 만촌동, 도로변에 위치한 평리동 측정소를 대상으로 최근 2년간(2011~2012)의 자료를 이용하여 PM-10과 PM-2.5의 농도분포 특성을 연구하였다. PM-10 농도는 이현동($52.5{\mu}g/m^3$)과 평리동($60.9{\mu}g/m^3$) 모두 연평균 기준치인 $50{\mu}g/m^3$을 초과하였고, 만촌동($44.9{\mu}g/m^3$)은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PM-2.5 농도는 세 지점 모두 미국의 EPA 연간기준치($15{\mu}g/m^3$)를 초과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2015년부터 시행되는 PM-2.5의 연평균기준치($25{\mu}g/m^3$)도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계절별 변화를 보면, PM-10은 봄철 > 겨울철 > 가을철 > 여름철 순이었고, PM-2.5는 겨울철 > 봄철 > 가을철 > 여름철 순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월변화 특성을 보면, PM-10과 PM-2.5 모두 겨울철인 2월에 가장 높고 여름철인 9월경에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일변화 특성을 보면, PM-10과 PM-2.5 모두 오전 7시부터 증가하여 10시~11시경에 최고 농도를 기록하고 오후 6시까지 하강하여 저녁과 새벽까지 일정한 농도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주중의 미세먼지 농도는 주말보다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그 변동 폭은 공업지역이 주거지역보다 크게 나타났다. PM-2.5/PM-10 비는 여름철이 높고 봄철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황사발생시 PM-2.5/PM-10 비는 비황사시 0.54~0.64에 비해 0.32~0.42로 매우 낮은 특성을 보였다. 본 자료는 대구지역의 미세먼지(PM-10, PM-2.5)의 현황과 특성에 대한 연구로써 향후 미세먼지의 연구 및 대기오염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황사 발생과 대기 중 PM10, PM2.5, Cd, Pb 농도의 상관성 (Correlation among PM10, PM2.5, Cd, and Pb Concentrations in Ambient Air and Asian Dust Storm Event)

  • 문찬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32-538
    • /
    • 2020
  • Objectives: The study evaluated correlations among monthly PM2.5, PM10, Cd, Pb concentrations and the number of Asian dust days. Methods: Based on data from 'The annual report on air quality in Korea from 1999 to 2017', concentrations of PM10, PM2.5, Cd, Pb, and the number of Asian dust days were recalculated to mean, standard deviation, minimum, and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mong PM2.5, PM10, Cd, Pb, and Asian dust days. Results: Asian dust days were correlated only with PM10 among the four factors of PM10, PM2.5, Cd, and Pb. The four factors of PM10, PM2.5, Cd, and Pb were ver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p<0.01).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PM10 were 0.800 for PM2.5, 0.823 for Cd, and 0.892 for Pb. PM2.5 was also correlated strongly with Cd (0.845) and Pb (0.830). Cd had a correlation with Pb of 0.971. The maximums of PM2.5, PM10, and Pb were shown to exceed the atmospheric environmental standard of Korea, which necessitates national continuous exposure control. Based on exposure data, Asian dust days were thought to be an exposure factor for Cd and Pb. Conclusion: Asian dust might be a factor in Cd and Pb exposure. National exposure controls are required for exposure to PM2.5, PM10, Cd, and Pb.

시·공간적 풍계에 따른 부산지역 고농도 PM2.5의 일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Diurnal Variation of High PM2.5 Concentration by Spatio-Temporal Wind System in Busan, Korea)

  • 김부경;이동인;김정창;이준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69-480
    • /
    • 2012
  • 본 연구는 3년(2005. 12. 1-2008. 11. 30) 동안 부산의 $PM_{2.5}$ 대기오염자동관측소(장림동: 공업지역, 좌동: 주거지역) 측정자료 중 고농도 $PM_{2.5}$(24시간 환경기준 $50{\mu}g/m^3$)에 대한 $PM_{2.5}$$PM_{2.5}/PM_{10}$ 농도비의 일변화 특성과 함께 시 공간적 풍계(풍향 및 풍속)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농도 $PM_{2.5}$는 장림동과 좌동 각각 182일 및 27일이었다. 장림동에서 고농도 $PM_{2.5}$의 시간평균농도 및 $PM_{2.5}/PM_{10}$ 농도비의 일변화는 모든 계절에서 오후에 비해 새벽과 오전 및 야간에 높은 비슷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좌동의 여름 주간에 $PM_{2.5}/PM_{10}$ 농도비가 증가하는 것은 해양조건에서 광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이차 입자상물질 중 $PM_{10}$의 거대입자 농도가 미세입자인 $PM_{2.5}$ 농도보다 더 감소하기 때문이다. 시간대별로 시 공간적 풍계(풍향 및 풍속등급)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농도 $PM_{2.5}$는 장림동에서 공업단지의 산업활동에 의한 오염물질 정체와 주변지역의 오염물질 이동에 의해 발생되었다. 좌동에서는 주로 주거와 상업활동으로 인한 지역적 오염물질 정체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