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9D%8C%EC%8B%9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2초

지게차 사용 사업장에서 디젤엔진배출물질 노출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osure Indices for Diesel Engine Exhaust in Forklift Operating Areas)

  • 김상일;박지영;이경민;김승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8-47
    • /
    • 2016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posure levels of forklift operators to diesel engine exhaust(DEE) using black carbon(BC), elemental carbon(EC), and nitrogen dioxide($NO_2$) as indicators. Methods: A total of eight forklift operators in six collection companies were assessed over a period of two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2015. BC was measured using a real-time monitor and respirable EC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NIOSH method 5040. $NO_2$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passive badge-type sampler. Results: The geometric mean of BC, EC and $NO_2$ were $3.1-19.1{\mu}g/m^3$, $2.1-23.8{\mu}g/m^3$, and 12.5-166.6 ppb at all companies. When forklifts were operating both outside and inside, BC concentrations increased 2.0-5.6 times. The highest increase was observed when forklifts were operating indoors. The increase in BC concentrations varied by company(company A: 2.0 times, B: 3.2 times, C: 5.6 times, D: 2.1 times, E: 5.1 times, F: 2.6 times). The geometric mean of BC, EC, and $NO_2$ for the forklift operators was $9.6{\mu}g/m^3$, $7.9{\mu}g/m^3$, and 48.9 ppb, respectively. The geometric mean of BC, EC, and $NO_2$ for manufacturing workers was $9.3{\mu}g/m^3$, $0.9{\mu}g/m^3$, and 85.2 ppb, respectively. The mean BC and EC exposure levels for the forklift operator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for manufacturing workers, but $NO_2$ levels for manufacturing workers were higher than those for the forklift operators(p>0.0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iesel exhaust emissions standard, forklift weight and forklift manufacture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worker exposure. Conclusions: In the DEE work environment, workers who perform tasks within the workplace as well as inside forklifts as operators are likely to be exposed to a lack of ventilation. Further study of forklift operators' exposure to DEE indicators should be conducted to include a wider range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situations, such as collection procedures, seasonal situations, types of fuel used, and number of forklifts.

방선균으로부터 Phospholipase D 생산균주의 탐색 (Screenin of Phospholipase D Producing Actinomycetes)

  • 손동화;심재용;윤석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3-339
    • /
    • 1994
  • In order to screen microorganisms producing phospholipase D (PLD) [EC 3.1.4.4], culture broths of about 900 strains of soil bacteria were subjected to examine for the PLD activity. When the hydrolytic activity of PLD (H-activity) in the supernatant was determined, 64 strains produced PLD more than 0.3 unit/ml and all of them were actinomycetes. Among 26 culture broths tested, 6 ones had transphosphatidylation activity (T-activity) of 30~68%. When the strains except one were cultivated on 3 different media at 30$\circ$C for 3 days under aerobic condition, strain # 1090 on medium B (yeast extract 1%, peptone 1%, glucose 1.5%, glycerol 1%, CaCO$_{3}$ 0.4%, and pH 7.2) produced PLD with much higher H- and T-activity, which were 8.3 units/ml and 76.3%, respectively. Subsequently, time course of PLD production of the strain # 1090 during cultivation with aeration of 1 v/v/m and agitation of 400 rpm at 30$\circ$C for 5 days on medium B in jar fermentor was investigated. H-activty of PLD reached almost maximum (about 9 units/ml) after 32 hours and maximal T-activity was found to be about 80%.

  • PDF

Thelephoric acid and Kynapcin-9 in Mushroom Polyozellus multiflex Inhibit Prolyl Endopeptidase In Vitro

  • Kwak, Ju-Yeon;Rhee, In-Koo;Lee, Kyung-Bok;Hwang, Ji-Sook;Yoo, Ick-Dong;Song, Ky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6호
    • /
    • pp.798-803
    • /
    • 1999
  • Prolyl endopeptidase [PEP; EC 3.4.21.26], a serine protease which is known to cleave peptide bonds on the carboxy side of a proline residu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gradation of proline-containing neuropeptides that have been suggested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memory processes. An abnormal increase in the level of PEP, which can lead to generation of $A{\beta}$, is also suggested to be involved in Alzheimer's type senile dementia. In the course of screening PEP inhibitors from Basidiomycetes, the mushroom Polyozellus multiplex exhibited a hig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EP. Two activ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by consecutive purification, using silica gel, Sephadex LH-20, and Lobar RP-18 chromatography.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thelephoric acid and 12-acety1-2,3,7,8-tetrahydroxy-[12H]-12-hydroxymethylbenzobis[I.2b,3.4b'] benzofuran-11-one (kynapcin-9) by spectral data including UV, IR, MS, HR-MS, $^1H-,{\;}^{13}C-$, and 2D-NMR. The $IC_{50}$ values of the thelephoric acid and kynapcin-9 were 0.157 ppm (446nM) and 0.087 ppm (212nM) and their inhibitor constants ($K_i$) were 0.73ppm ($2.09{\;}\mu\textrm{m}$) and 0.060 ppm (146 nM), respectively. Furthermore, they were non-competitive with a substrate in Dixon plots.

  • PDF

NF-κB Activation and PPAR Transactivational Effects of a New Aliphatic Acid Amide from Pericarps of Zanthoxylum piperitum

  • Yang, Seo Young;Tai, Bui Huu;Song, Seok Bean;Li, Wei;Yan, Xi Tao;Sun, Ya Nan;Nguyen, Phuong Thao;Kim, Young 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8호
    • /
    • pp.2361-2366
    • /
    • 2014
  • A new aliphatic acid amide, ZP-amide F (1), and eight known compounds, including bungeanumamide A (2), tumuramide C (3), ZP-amide A (4), ZP-amide B (5), ZP-amide D (6), hyperin (7), quercitrin (8), and (-)-sesamin (9), were isolated from pericarps of Zanthoxylum piperitum. The effects of these compounds on $TNF{\alpha}$-induced NF-${\kappa}B$ activation and transactivational activity of PPARs, including $PPAR{\alpha}$, $PPAR{\beta}({\delta})$ and $PPAR{\gamma}$ subtypes, were evaluated. Compounds 7 and 9 exhibited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TNF{\alpha}$-induced NF-${\kappa}B$ activation with $IC_{50}$ values of 5.50 and $8.10{\mu}M$, respectively. Aliphatic acid amide compounds 3, 4 and 6 displayed enhanced effects on PPAR transactivational activity with $EC_{50}$ values of 47.12, 19.13 and $12.02{\mu}M$, respectively. Among them, compound 4 demonstrated an increase in $PPAR{\alpha}$ transactivational activity, compound 3 showed a moderate increase on all PPAR subtypes, whereas compound 6 displayed weak PPAR transactivational activity.

홀스타인 젖소 분뇨의 특성과 비료성분 및 오염물질 부하량 추정 (Characteristics of Manure and Estimation of Nutrient and Pollutant of Holstein Dairy Cattle)

  • 최동윤;최홍림;곽정훈;김재환;최희철;권두중;강희설;양창범;안희권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137-146
    • /
    • 2007
  • 2005년 말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농림업 생산액은 총 36.3조원으로 이중 축산업 생산액은 11.8조원으로 전체 생산액의 32.5%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율을 점유하고 있으며(농림부, 2006), 유제품의 소비량도 꾸준히 증가하여 1인당 63.6kg의 우유․유제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농촌경제연구원, 2005). 이 같은 성장은 축산농가들이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그동안 보여준 각고의 노력과 꾸준한 투자의 결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제는 축산물이 국민의 식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가축사육두수는 1970년대부터 해마다 계속 증가하여 2005년 말 현재 한우 1,819천두, 젖소 479천두, 돼지 8,962천두, 닭 109,628천수가 사육되고 있으며 사육농가의 전업화로 인하여 농가수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반면에 농가당 사육두수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농림부, 2005). 농가당 평균 가축사육두수는 한우 8.8두, 젖소 51.7두, 돼지 671.4두, 닭 813.0수이며, 이중 부업이 아닌 전업농으로 볼 수 있는 한우 50두 이상의 사육농가가 전체 한우농가의 2.9%, 젖소 50두 이상 사육농가가 46.8%, 돼지 1,000두 이상의 농가가 21.6%, 닭 30,000수 이상의 농가가 1.0%를 차지하고 있어, 젖소가 다른 축종에 비해 전업농의 규모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농림부, 2005). 따라서 매년 축산농가로부터 발생되는 분뇨의 양도 증가되고 있으며, 1990년초부터는 가축분뇨가 작물의 비료원으로 쓰이는 순기능보다는 환경오염의 한 요인으로 지목되면서 토양, 수질 및 대기오염이라는 역기능이 더 부각됨에 따라 도시근교의 낙농가, 초지나 사료작물포를 확보하지 못한 목장, 상수원 보호구역내에 위치한 목장에서는 분뇨처리에 고심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특히 체격이 크고 방목지 및 운동장 등의 야외에서 사육되는 경우가 많은 젖소는 다른 가축에 비해 분뇨배설량이 많을 뿐 아니라, 운동장 등 축사 외부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주변으로부터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지목을 받아 왔다. 또한 조사료 생산기반인 동시에 생산된 분뇨를 환원해야 할 경지면적이 협소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젖소의 규모확대는 가축분뇨의 토양에 대한 부하를 높이게 되었고, 하천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와같은 대내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낙농가들은 목장의 규모에 관계없이, 분뇨를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이 목장관리에 필수적인 사항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가축분뇨는 2, 3차 산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는 그 성격 자체가 판이하게 달라 제도적 접근 방식도 나라와 환경에 따라 현격하게 다르다. 미국과 EC의 경우는 가축분뇨 자체를 환경보전재(Natural Resource)로 규정하고 적정한 사용방법을 정립하여 계도(Guide) 하므로서 환경을 보전하는 적극적인 환경보전 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는 방류수의 수질을 규제하는 소극적 환경보전 제도로 출발했으나 1993년부터는 환경보전형 농업(축산)으로 정책방향을 전환하여 실행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미 1981년부터 가축분뇨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제도(법)가 시행되어 왔으나 법의 시행으로부터 25년이 경과한 현재까지도 가축분뇨에 의한 환경오염은 사회로부터 계속 지탄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가축분뇨의 처리방식은 축종이나 농가 경영여건별로 크게 다르나, 궁극적으로는 경작지에 퇴비․액비 형태로 살포하여 이용하거나 또는 정화하여 방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젖소분뇨 또는 슬러리 처리에 필요한 시설 또는 활용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젖소로부터 배출되는 분뇨의 특성뿐만 아니라 오염물질 및 비료성분 배출량 추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젖소분뇨를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국가단위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뿌리로부터 분리한 shizukanol들의 생물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shizukanols isolated from Chloranthus japonicus roots)

  • 박미란;김혜영;최경자;이선우;장경수;김진석;홍경식;박노중;조광연;김진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38-346
    • /
    • 2004
  •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뿌리 조직의 메탄을 추출물은 벼 도열병(Magnaporthe grisea), 벼 잎집무늬마름병(Corticium sasaki), 토마토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토마토 역병(Phytophthora infestans) 및 밀 붉은녹병(Puccinia recondita) 등의 다양한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였다. 이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3개의 항균물질을 분리하였고 이들은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하여 shizukanol B, C 및 D로 동정되었다. 이들 세 개의 물질들 중에서 shizukanol C가 실험한 식물병원균들의 균사생육 저해 활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12.5{\mu}g/m\ell$ 이상의 농도에서 벼 도열병균과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C. acutatum)의 균사 생육을 완전히 억제하였고, $3.13{\mu}g/m\ell$ 이상의 농도에서는 토마토 역병균의 균사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세 가지 물질은 또한 in vivo에서 벼 도열병과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 특히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다른 한편으로 세 가지 물질들은 밀과 보리 잎에 약해를 유발하였고, 또한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의 생장을 억제하였으며, shizukanol B, C, D의 50% 생육억제 농도는 각각 $30.0{\mu}g/m\ell$, $49.9{\mu}g/m\ell$$154{\mu}g/m\ell$였다. 그리고 shizukanol C는 시험한 5종류의 해충중에서 벼멸구(Nilaparavata lugens),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및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에 대해서 $1,000{\mu}g/m\ell$ 수준에서 6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돈분퇴비의 시용이 배추재배지 토양의 미생물상 및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Soil Microbial Flora and Chemical Properties as Influenced by the Application of Pig Manure Compost)

  • 원항연;권장식;서장선;최우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6-83
    • /
    • 1999
  • 가축분 퇴비가 토양의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농업과학기술원 시험포장에 시용량($8Mg\;ha^{-1}$, CM-8구: $29Mg\;ha^{-1}$, CM-29구: $57Mg\;ha^{-1}$, CM-57구)을 달리하여 돈분퇴비를 시비하고 봄배추를 재배하면서 생육시기별로 토양을 채취하여 미생물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생물의 생균수는 무비구(대조구)에 비하여 화학비료구(NPK구)에서 세균, 방선균, 사상균수는 높았으나 세균 중에서 Bacillus속과 형광성 Pseudomonas속 균수는 현저히 낮았다. 반면에 퇴비 구에서는 Bacillus속을 제외한 모든 미생물이 시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퇴비 $57Mg\;ha^{-1}$ 시용구(CM-57)에서는 세균 사상균, 방선균, 형광성 Pseudomonas속 균수가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4, 2.3, 3.2, 3.1배 높았다. 퇴비구에 있어서 세균(Bacillus속 포함)의 경우 배추의 생육초기에 정점에 도달하였으나, 형광성 Pseudomonas속은 생육후기에 사상균과 방선균은 수확기에 최고의 밀도를 보였다. 한편 토양미생물의 근권효과는 형광성 Pseudomonas속이 가장 컸다. 재배토양의 화학성분은 pH를 제외한 모든 항복에서 퇴비시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NPK구의 경우 EC와 K함량은 $0.89dS\;m^{-1}$$1.64cmol^+kg^{-1}$로 각각 대조구에 비하여 3.4 및 5.0배로서 모든 처리구 가운데 가장 높았다. 배추의 수량은 대조구가 $44Mg\;ha^{-1}$이었으나 퇴비구에서는 시용량에 비례하여 증수되어 CM-57구에서 $163Mg\;ha^{-1}$으로 처리구 중 가장 많은 수량을 거두었고 NPK구에서는 이보다 적은 $143Mg\;ha^{-1}$이었다.

  • PDF

항공여객운송에서의 지연보상과 도착시각의 의미 - EU 사법재판소 2014. 9. 14. 판결(ECLI:EU:C:2014:2141)을 중심으로 - (The Scope and the Meaning of 'Time of Arrival' in Carriage of Passengers by Air : Focused on the Germanwings GmbH v. Ronny Henning, Case C-452/13 (2014).)

  • 서지민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7-290
    • /
    • 2018
  • 항공여객운송에서 항공기 지연 또는 연착은 여객 당사자들에게 상당한 시간적 비용적 문제들을 초래한다. 예상치 못한 항공기 연착에 의해 당사자에게 발생하는 2차, 3차 손해 등을 생각할 때, 여객에 대한 적절한 구제와 보상은 당연히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항공사들은 항공기 지연이 있을 경우, 여객에게 적절한 보상절차를 마련해 두고 있고, 이는 각 국가의 항공 관련 행정절차상 제도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항공기 연착과 관련해서는 도착시각의 확정과 그 범위설정이 실제로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항공기가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시각을 언제로 볼 것이냐 하는 문제인데, 예를 들어, 항공기가 활주로 도착한 경우를 도착시각으로 볼 것인지, 승객의 하차수속을 위해 항공기가 주기장에 정차한 경우를 도착시각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실제로 승객이 하차를 위해 문이 열리는 순간을 도착시각으로 볼 것인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여기서 활주로 도착이나 주기장 도착 등 각각의 경우 그 시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항공사의 보상유무가 달라지기도 한다. 즉, 최종목적지에서 항공기의 '도착시각'(time of arrival)을 정확하게 언제로 볼 것인가가 실무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4년 9월 14일 EU 사법재판소에서는 Germanwings GmbH v. Ronny Henning 판결을 통해, 항공기의 도착시각에 관한 법리해석을 판단한 바가 있다. 본 판결에서 재판소는 여객의 하차를 전제로 한 항공기 정지 후 항공기문이 열리는 시각을 항공기 도착시각으로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항공기 도착시각에 대해서는 본 판결이 EU 사법재판소 차원으로는 최초의 판결이었고, 이에 실무적으로 상당한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아직 국내에 이 판결이 구체적으로 소개된 바가 없는 것으로 보이는 바, 본 논문에서는 이 판결을 소개하여 항공기 도착시각에 대한 해석기준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본 사안의 사실관계를 살펴본 후, 제1심, 항소심 및 EU 사법재판소의 판단을 정리해 보았다. 나아가 EU 사법재판소에서 파악한 항공기의 도착시각에 대해 재판소의 법리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본 판결이 항공여객운송실무상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분석해 보았다. 나아가 본 판결이 갖는 몇 가지 문제점들도 함께 생각해 보았다.

산림훼손토양 복원을 위한 부숙토 개발 연구 (The Study of Solid Waste Compost Development for Reclaiming Damage Soil in Forest)

  • 나승주;장기운;양희영;전한기;이종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2호
    • /
    • pp.107-120
    • /
    • 2005
  • 산림훼손토양 복원 유기성소재로 부숙토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수슬러지와 제지슬러지의 혼합에 따른 부숙토 제조과정중의 온도변화는 외부온도가 낮았던 초기 5일간은 변화가 없었으나 5일차에 1차 뒤집기 이후 A, C처리구는 각각 10, 9일차에 $50^{\circ}C$ 이상으로 온도가 증가된 후 15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숙화 18일에 2차 뒤집기 이후 온도변화는 $10^{\circ}C$이하로 주발효 종료시점으로 판단되었고 이후 후숙기간 동안 온도는 점차 낮아져 30일차에는 안정화되었다. 수분함량은 모든 처리구가 9일차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부자재의 혼합이 적은 A, B처리구는 수분감소량이 1일차와 36일차에 비슷하였다. pH 변화는 5에서 10일 사이 약 pH 1 감소를 하였으나 10일 전후를 기준으로 다시 상승하여 36일차에는 1일차와 비교하여 약 pH 0.4 내외의 감소를 보였다. 총탄소 함량은 4~7% 감소하였으며 총질소는 0.5%이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C/N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8 이내 감소하였다. 암모니아태 질소는 500mg/kg 이내 감소하고 질산태 질소는 173mg/kg 이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이온치환용량(CEC)은 모든 처리구에서 $30cmol^+/kg$ 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숙토 제조과정 중 중금속의 함량은 초기와 최종에서 큰 변화는 없었으며 공정규격 가 등급에 적합하였다. 부숙도 판정에서 C처리구가 원형여지크로마토 그래피에서 완숙은 아니지만 부숙이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식물독성 실험에서도 배추와 잔디에서 각각 64, 66의 G.I값을 나타내어 처리구 중 가장 높은 부숙도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