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_0$ variation

검색결과 613건 처리시간 0.035초

In Vivo Measurement of Site-Specific Peritoneal Solute Transport Using a Fiber-Optic-based Fluorescence Photobleaching Technique

  • Lee, Donghee;Kim, Jeong Chul;Shin, Eunkyoung;Ju, Kyung Don;Oh, Kook-Hwan;Kim, Hee Chan;Kang, Eungtaek;Kim, Jung Kyun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3호
    • /
    • pp.228-236
    • /
    • 2015
  • Fluorescence recovery after photobleaching (FRAP) is a well-established method commonly used to measure the diffusion of fluorescent solutes and biomolecules in living cells or tissues. Here a fiber-optic-based FRAP (f-FRAP) system was developed, and validated using macromolecules in water and agarose gel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We applied f-FRAP to measure the site-specific diffusion of fluorescein (NaFluo) in peritoneal membranes (PMs) on the liver, cecum, and kidney of a living rat during peritoneal dialysis. Diffusion of fluorescein in PM varied in a time-dependent manner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 ($D_{PM\;on\;Liver}/D_{NaFluo}=0.199{\pm}0.085$, $D_{PM\;on\;Cecum}/D_{NaFluo}=0.292{\pm}0.151$, $D_{PM\;on\;Kidney}/D_{NaFluo}=0.218{\pm}0.110$). The proposed method allows direct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three-dimensional diffusion in local PM in vivo, which was previously inaccessible by peritoneal function test methods such as peritoneal equilibration test (PET) and standardized PM assessment (SPA). f-FRAP is promising for local and dynamic assessments of peritoneal pathophysiology and the mass transport properties of PMs, presumed to be affected by variation of tissue structures over different organs and functional changes of the PM with years of peritoneal dialysis.

희귀수종(稀貴樹種) 모감주나무 자생집단(自生集團)의 잎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 식생특성(植生特性) 및 유전변이(遺傳變異)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Vegetation and Genetic Variation in the Endemic Populations of a Rare Tree Species,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 이석우;김선창;김원우;한상돈;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167-176
    • /
    • 1997
  • 희귀수종인 모감주나무(Koelreuteria paniculata Laxm.) 6개 자생 집단에 대해서 잎의 형태적 특성 및 식생개황을 조사하였으며, 동위효소 분석에 의한 유전변이를 조사하였다. Nested design에 의한 분산분석 결과 8가지 잎의 형태적 특성 모두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대부분 형질의 경우 총 분산 가운데 집단간 차지하는 비율이 집단내 개체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분석 결과 각 집단별로 출현한 수종 수는 많지 않았으며, 대부분 집단이 인위적 교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수종, 특히 지리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수종들과 비교할 때 유전변이는 매우 적고(A/L= 1.1, P=9.5%, $H_o=0.021$, $H_e=0.035$) 집단간 분화($F_{ST}=0.114$)는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전적 부동 및 근친교배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모감주나무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제주도 개가시나무의 유전구조와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Quercus gilva in Je-ju Island)

  • 김고운;장경수;임형우;김은혜;이계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151-157
    • /
    • 2018
  • 본 연구는 제주도에 생육하고 있는 개가시나무(Quercus gilva Blume)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여 보전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데이터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주도 내 5집단 80개체를 대상으로 ISSR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6개의 ISS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72개의 증폭산물을 관찰하였으며 그 중 67개의 증폭산물이 다형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수준에서의 다형적 유전자좌의 비율은 93%로 나타났으며, S.I. (Shannon's information index)=0.237, h (Nei's genetic diversity)=0.156로 나타났다. AMOVA 분석 결과 $F_{st}$는 0.169의 값을 보여 집단 간 분화가 큼을 나타냈다. 전체 유전변이의 17%가 집단 간 차이, 나머지 83%는 집단 내 개체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 집단 간의 변이보다 집단 내 변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개가시나무 서식지의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 생육환경의 개선을 통한 치수의 생장력 강화, 현지 외 유전자원 보전 및 현지 외 개체군과의 환경적 유전적 차이 비교를 통한 보전방안을 마련해야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STP 표지를 이용한 국내 소나무 집단의 유전변이 (Genetic Variation of Pinus densiflora Populations in South Korea Based on ESTP Markers)

  • 안지영;홍경낙;이제완;홍용표;강호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79-289
    • /
    • 2015
  • 소나무의 유전다양성과 유전구조를 추정하기 위해 9개의 ESTP 표지를 13개 소나무 집단에 적용하였다. 소나무 집단의 유전다양성은 관찰된 대립유전자 수(A)가 2.2개, 유효 대립유전자 수(Ae)가 1.8개, 다형적 유전자좌 비율(P)이 98.8%, 이형접합도 관찰치(Ho)가 0.391, 이형접합도 기대치(He)가 0.402로 나타났다. 안강과 강릉 집단을 제외한 11개 집단이 하디-바인베르그 평형을 만족하였다. 집단간 유전분화도(FST)는 0.057으로, 동위효소나 nSSR 표지분석 결과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군집분석에서 집단의 유전적 거리와 지리적 분포간에 뚜렷한 연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집단의 유전분화와 지리적 인접성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Mantel 검증, r = 0.017, P = 0.344). 유전자좌에 대한 FST-outli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빈도주의 방법에서는 FST 값이 신뢰하한 이하인 3개 유전자좌와 신뢰상한 이상인 3개 유전자좌가 특이값으로 추정되었고, 베이즈 방법에서는 3개 유전자좌들만 특이값으로 확인되었다. 두 방법에서 공히 특이값으로 판정된 3개 유전자좌(sams2+AluⅠ, sams2+RsaⅠ, PtNCS_p14A9+HaeⅢ)중 sams2 표지에서 유래된 2개 유전자좌는 balancing selection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Heritability and Repeatability Estimates for Reproductive Traits of Japanese Black Cows

  • Oyama, K.;Katsuta, T.;Anada, K.;Mukai, 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2호
    • /
    • pp.1680-1685
    • /
    • 2002
  • Reproductive data collected from more than 20,000 Japanese Black cows of Hyogo and Shimane Prefectures were analyzed. Averages of age at first calving, gestation length, days open and calving interval were 25.1 mo, 289 d, 112 d and 401 d, respectively. Variance components were obtained by REML procedure and the heritability estimate of age at first calving was 0.22. In gestation length the heritability estimate was 0.40 and no permanent environmental effect was estimated. Estimated variance components of calving interval were similar to those of days open and the heritability and repeatability of calving interval were 0.05 and 0.09, respectively. Random farm effect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10% of phenotypic variations in all traits. Genetic and farm correlations between age at first calving and calving interval were 0.27 and 0.39,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emporary environment was an important source of variation for calving intervals of Japanese Black.

Evaluation of Beef Carcass and Palatability Traits and Prediction of Tenderness in A Cross of Bos Indicus × Bos Taurus Cattle

  • Kim, Jong Joo;Taylor, Jerr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1호
    • /
    • pp.1621-1627
    • /
    • 2001
  • Steers and heifers (N=490) were produced between 1991 and 1996 by reciprocal fiillsib backcross and $F_1$ crosses from Angus and Brahman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carcass and palatability traits between Bos indicus and Bos taurus inheritance. Carcasses of 3/4Angus were heavier, fatter (p<0.05), more tender and higher in other palatability attributes (p<0.01) than those of 3/4Brahman. Reciprocal effects of parental cross breeds were found on some traits. Within 3/4Brahman inheritance group, Brahman sired progeny produced heavier and fatter carcasses with better palatability (p<0.05) than progeny with Brahman as a dam breed. Estimates of heritability were intermediate to high in most carcass and palatability traits. Genetic correlations of tenderness with marbling score (MARB), sarcomere length (SARC), fragmentation index (FRAG) and calpastatin activity (CALP) were moderate to high, suggesting potential use of the tenderness-influencing factors as indirect selection criteria to improve palatability attributes. MARB and SARC that were best predictors of tenderness explained 3.07 to 5.85% and 4.32 to 8.24% of variation in tendernes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tenderness-influencing factor to dominantly explain large portion of variation in tenderness.

지역간 입원 이용 변이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Small Area Variations of Hospital Services Utilization in Korea)

  • 조우현;이선희;박은철;손명세;김세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3호
    • /
    • pp.609-626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variations in hospital services utilization across small geographic areas in Korea existed, and if so, what factors are responsible for the variation. The claims data of the fiscal year 1992 obtained from the regional health insurance societies were used for the study.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xtremal Quotients (EQ) of hospital expenditure per capita and hospital days per capita were 2.69 and 2.73,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were 0.14, both, respectively. The EQ and the CV of admission rate were also 2.71, 0.15. The EQ and the CV of expenditure per admission were 1.73, 0.10 and those of hospital days per admission were 1.29, 0.06. All these stat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is result provides strong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small area variations. 2. Comparing patterns of variation among areas, the area which showed higher utilization amounts is Chansungp'o. Koje area, whereas the areas which showed lower utilization amounts are Yongju, Changhung, Miryang, Mokp'o, Koch'ang area. 3. Multivariate analytic methods were used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the variation across areas. In terms of the health resource availability variables, beds per capita or physicians per capita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ll utilization indices. As for the health service market structure variables, the proportion of health care institutions operating for less than f year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expenditure per capita, hospital days per capita and expenditure per admission.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the private health care institutions also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otal utilization amount and admission rate and the proportion of physicians under age 40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xpenditure per capita and expenditure per admission. With regard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roportion of medicaid popul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hospital days per capita, and percentage of paved road was positively related to hospital days per admission. As a conclusion, wide variations existed across small areas in Korea and supply fact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explaining the variation.

  • PDF

콩 종간교잡에서 주요형질의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Agronomic Characters in Interspecific Cross in Soybean)

  • 이정동;권택화;조호영;황영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1-8
    • /
    • 2002
  • 재배종과 야생종의 인공교잡 분리세대에서 주요형질들의 변이와 유전력을 조사하여 야생종을 이용한 콩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두 인공교배의 $F_2$ 집단에서 100립중을 제외한 나머지 조사 형질들은 초월분리를 보였다. $F_1$$F_2$의 평균 개화일수는 양친의 중간정도로 정규분포를 보였다. 백립중의 $F_1$ 평균은 은하콩, 소백나물콩 두 조합 각각 6.2, 5.7g으로 소립종 쪽으로 치우쳤으며, 입중의 분포는 소립종 쪽으로 치우친 정규분포를 보였다. $F_2$의 평균수량은 양친의 중간정도이었다. $F_1$의 덩굴성은 두 조합 각각 6.4, 6.6이었으며 $F_2$ 평균은 은하콩 조합이 6.0으로 덩굴성 쪽으로 치우쳐 덩굴성이 부분적인 우성을 보였으나, 소백나물콩 조합에서는 4.6으로 은하콩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경장, 개화일수, 개체당 협수, 수량, 도복, 덩굴성 등은 높은 광의의 유전력을 보였으며 100립중은 협의의 유전력이 은하콩 조합에서 52.3%, 소백나물콩 조합에서 65.6%로 평가되어 초기세대에서의 선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각 환경이 구강안면 통증환자의 음성 파라미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uditory Condition on Voice Parameter of Orofacial Pain Patient)

  • 이주영;백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427-432
    • /
    • 2005
  • 본 연구는 구강안면통증 환자의 음성적 특징과 청각 환경에 따른 음성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구강안면통증 환자 29명과 정상인 31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일반 음성과 청각 조건(소음, 음악)에서의 음성 파라미터들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구강안면통증 환자는 정상인의 음성과 비교해 낮은 F0(Hz) 값과 높은 jitter(%), shimmer(%)값을 가져 정상인에 비해 낮고 불안정한 음성 특징(feature)을 나타내었다. 2. 구강안면통증 환자의 음성은 소음 환경과 비교해 음악 환경에서 낮은 F0(Hz)값과 shimmer(%)값을 가져 보다 이완되고 안정된 음성 특징을 나타내었다. 3. 정상인의 음성은 소음 환경에서 높은 F0(Hz)값을 가졌으나 음악, 소음 환경에 따른 특징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구강안면통증 환자는 정상인의 음성과 비교해 특징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외부적인 청각 환경에도 다른 반응 양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구강안면통증 환자들의 기능적 장애를 보다 효율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음악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 환경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산 시판 닭 가슴살의 품질 특성 (Quality of Commercial Broiler Breast Meat Retailed in Korea)

  • 양인용;임푸름;강진수;곽한섭;정윤화;김미숙;이영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93-169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각기 다른 브랜드 6종의 닭 가슴살 제품에 대해 이화학 검사, 조직감 검사 및 관능평가를 통하여 품질 비교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일반 성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pH, 색상, 조리손실률에서 제품 간 큰 편차가 나타났다. 특히 연도 측정에서는 연도가 높은 제품군(A, B, C, D)과 연도가 낮은 제품군(E, F)으로 구분이 되어 제품의 숙성기간 또는 제품군별 냉동 방식에 따라 연도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묘사분석 결과 저작경도와 저작응집성에서 제품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고 두 특성 모두 F 제품에서 가장 높은 강도를 보였다. 소비자 기호도 조사 결과 연도 및 수분감이 가장 낮은 제품에서 기호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 연도 특성이 닭 가슴살의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라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 사용된 닭 가슴살 제품은 제품별 사육부터 가공, 유통과정에 있어서 여러 가지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고 이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으므로 제품 품질 차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정확하게 독립적으로 구분하기는 불가능하나 현재 국내에 시판 유통되는 닭 가슴살 제품의 품질 간 큰 차이가 존재하고 소비자들의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냄으로써 국내 가금육 제조업체들이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최적화된 닭 가슴살 제품을 생산 및 관리하는 데 본 연구 결과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