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_{10}$$PM_{2.5}$$PM_1$

검색결과 10,799건 처리시간 0.039초

연료별 화력발전시설의 미세먼지(PM10 및 PM2.5) 배출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in Thermal Power Plants Using Different Fuel Types)

  • 박현수;이덕안;양정고;장성국;김환범;김득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34-541
    • /
    • 2018
  • Concentrations of total particulate matter (TPM), $PM_{10}$ and $PM_{2.5}$ were measured at three different sites based on each different fuel type (solid, liquid and gas) used in thermal power plants operating in Yeosu and Gwangyang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during 2017.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TPM, $PM_{10}$, and $PM_{2.5}$ were observed at the solid fuel facility, and these values were $3.356mg/Sm^3$, $2.342mg/Sm^3$ and $1.834mg/Sm^3$, respectively. The ratio of $PM_{2.5}$ to TPM was the highest value of 54.6% in solid fuel case, and the lowest was 35.7% found in liquid fuel case. As a result of analyzing 9 kinds of metal compound with respect to each particle size, the metal concentration of TPM is higher than those of $PM_{10}$ and $PM_{2.5}$ in all fuel types. Total concentrations of metal elements in TPM by fuel difference are $1.2702mg/Sm^3$ in solid fuel, 0.0603 mg/Sm3 in liquid fuel, and $0.0733mg/Sm^3$ in gas fuel, respectively. Relatively higher total metal concentration in gas fuel than in liquid fuel was found; and this could be higher Cr and Al concentrations in use of gas fuel.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emission factors of each facility, in case of solid fuel, TPM emissions per electricity production were found to be 0.7080 kt/PJ, followed by liquid fuel and gas fuel. $PM_{10}$ and $PM_{2.5}$ emissions per hour of electricity production were similar to those of TPM.

황사기간 중 PM2.5, PM10, TSP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The Behaviour of Dust Concentrations During Sand Storm in Seoul Area)

  • 김민영;김광래;이민환;조석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5-324
    • /
    • 2003
  • 서울시에서 설치하여 운영중인 대기질 측정소의 입자상물질을 대표하는 PM$_{2.5}$, PM$_{10}$, TSP와 황사기간 중 고용량고기포집기로 채취한 먼지성분을 분석, 평가하였다. 1990년도부터 2002년 11월까지 서울에서 관측된 황사일수는 2000년 이후 발생빈도가 증가하였으며 황사지속시간도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PM$_{10}$/TSP 비율은 황사시 2000년, 2001년도에 각각 52.9%, 59.4%로 비황사시에 비해 PM$_{10}$의 비율이 약 10% 정도 낮은 것으로 미루어 황사시 10 ${\mu}$m이상의 입경이 큰 입자 영향이 컸던 반면에 2002년 황사시에는 PM$_{10}$의 영향이 오히려 크게 나타나 PM$_{10}$이 TSP 중의 71.4%에 달하였다. 황사가 전체 먼지농도에 미치는 기여율은 2002년도에 PM$_{2.5}$ 11.9%, PM$_{10}$ 23.1%, TSP 19%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여 황사가 전체 면지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흰쥐의 번식과정에 있어서 Progesterone-tube 이식이 혈청내 Progesterone과 $20\alpha$-Dihydroprogesterone 수준변화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Changes of Progesterone and $20\alpha$-Dihydroprogesterone Levels in Serum by Progesterone-tube Implantation during Pregnancy in Rats)

  • 민관식;오석두;윤창현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3-280
    • /
    • 199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nges of progesterone and 20$\alpha$-dihydroprogesterone(OHP) levels in the serum of female rats by progesterone-tube implantation during late pregnancy. One hundred and twenty rats, 10-13 weeks old, were offered for this experiment.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the rats on 18, 20, 21 and 22days of pregnancy. The rats were implanted with silicon tubes filled with pregesterone on day 15 of pregnancy. The progesterone and 20$\alpha$-OHP in serum were assayed by radioimmunoassa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rogesterone levels in rats of control group showed 126.36$\pm$20.19ng/ml on 18days and gradually decreased to 69.3$\pm$11.9, 29.2$\pm$1.8ng/ml 20 and 21 days. 2. The progesterone levels after progesterone-tube implantation showed 120.1$\pm$8.5, 59.01$\pm$3.1, 85.33$\pm$17.9 and 62.9$\pm$6.1ng/ml on 18, 20, 21 and 22days of pregnancy, respectively. 3. The 20$\alpha$-OHP levels in rats of control group showed 68.5$\pm$8.0ng/ml on 18 days and gradually increased to 139.9$\pm$3.7 and 141.4$\pm$6.7ng/ml on 21 and 22days. 4. The 20$\alpha$-OHP levles after progesterone-tube implantation showed 108.5$\pm$32.7 and 106.4$\pm$10.6ng/ml on 18 and 20days and increased to reach the peak level at 21days(225.01$\pm$9.9ng/ml) and rapidly decreased on 22days(85.9$\pm$10.7ng/ml).

  • PDF

흑삼을 함유한 한방소재 화장품의 주름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Containing Black Ginseng)

  • 강신정;김애정;이명숙;이연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325-3329
    • /
    • 2010
  • 맥문동, 차가버섯, 감초, 보기보혈(백출, 백복령, 당귀, 숙지황, 천궁, 작약)의 한방약재에 ginsenoside Rg3가 강화된 흑삼을 첨가한 토너와 로션을 제조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균연령 42.5세의 한국인 중년여성 6명을 대상으로 토너사용 후 로션사용으로 매일 2회씩(아침, 저녁) 4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한 다음, 실험 4주 후에 눈가 주름의 모사판을 제작하여 영상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책임자가 시료의 피부 안전성을 관찰하기 위해 육안 검사도 함께 수행하였다. 눈꼬리 주름 모사판 영상분석 결과, 토너와 로션 사용 4주 후 주름 R1은 $3.15{\pm}0.35$에서 $2.28{\pm}0.22$, R2는 $2.99{\pm}0.37$에서 $2.13{\pm}0.21$, R3는 $2.09{\pm}0.31$에서 $1.56{\pm}0.18$, R4는$0.37{\pm}0.05$에서 $0.29{\pm}0.03$, R5는 $0.89{\pm}0.1$에서 $0.75{\pm}0.06$로 유의하게 감소하여(P<0.05), 본 시료는 주름개선에 효과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효 아이스플랜트(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추출물의 triglyceride, cholesterol 합성저해 및 tyrosinase 활성억제 효과 (Effect of Fermented Ice Plant Extract on the Inhibition of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 남상해;김선정;고건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88-696
    • /
    • 2019
  • 본 연구는 수분함유량이 많아 장기간의 보관이 어려운 아이스플랜트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발효하였을 경우, triglyceride, cholesterol 합성 및 tyrosinase 활성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기산의 함량은 발효 후에는 lactic acid가 $23.672{\pm}3.74mg/g$으로 가장 많았으며 mal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의 순이었다. 발효 전 후의 cyclitol 화합물의 변화를 보면, D-pinitol은 각각 $6.670{\pm}0.187mg/g$$5.541{\pm}0.088mg/g$으로 감소하였으나, myo-inositol은 $0.653{\pm}0.022mg/g$$3.848{\pm}0.216mg/g$, D-chiro-inositol은 $3.848{\pm}0.216mg/g$$4.945{\pm}0.098mg/g$으로 증가하였다. HepG2 세포 내 중성지방의 감소율은 발효 전 후에 각각 $3.04{\pm}1.70{\sim}35.73{\pm}5.06%$$5.13{\pm}0.90{\sim}53.32{\pm}1.79%$로서 발효 후 저해효과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극성이 큰 n-butanol과 aqueous 분획에서는 각각 $25.93{\pm}1.47{\sim}35.73{\pm}5.06%$$26.26{\pm}2.07{\sim}53.32{\pm}1.79%$로서 발효 후에 비교적 큰 폭으로 중성지방의 축적을 저해하였다. HepG2 세포 내 콜레스테롤의 감소율도 발효 전 후에 각각 $4.02{\pm}1.50{\sim}56.34{\pm}5.55%$$6.56{\pm}1.46{\sim}64.52{\pm}5.50%$ 정도로서 발효 후에 콜레스테롤의 합성 저해효과가 약간 크게 나타났다. 특히 처리농도가 $100{\mu}g/ml$ 이상에서 n-hexane, chloroform 및 ethylacetate 분획에서는 발효 전 후에 각각 $8.15{\pm}0.60{\sim}9.16{\pm}0.71%$$9.81{\pm}1.26{\sim}12.96{\pm}0.97%$로서 저해효과가 크지 않았으나, n-butanol과 aqueous 분획에서는 발효 전 후에 각각 $28.68{\pm}0.86{\sim}56.34{\pm}5.55%$$28.32{\pm}2.87{\sim}64.52{\pm}5.50%$로서 비교적 큰 폭으로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저해하였다. Tyrosinase 활성억제효과도 발효 후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기질로서 L-tyrosine을 사용하였을 경우, 극성이 큰 aqueous 분획에서 발효 전 후에 각각 $60.58{\pm}4.035$$63.35{\pm}4.35%$로서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양성대조군(arbutin, $100{\mu}g/ml$)의 72%에 달하는 활성이었다. 또한 기질로서 L-DOPA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aqueous 분획에서 발효 전 후에 각각 $56.85{\pm}1.57%$$59.38{\pm}1.74%$로서 저해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양성대조군(kojic acid, $100{\mu}g/ml$)의 88% 이상의 높은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발효 아이스플랜트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합성억제 효과, tyrosinase 활성억제효과는 대체로 발효 전에 비하여 다소 향상되었다. 특히 극성이 큰 용매의 분획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효 등의 다양한 가공방법이 개발되어 저장성과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자치어의 갑상선 분화 및 갑상선호르몬의 변화 (Differentiation of Thyroid Gland and Changes of Thyroid Hormone Concentration during Early Development of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덕영;정의영;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39-45
    • /
    • 2001
  • 조피볼락 갑상선 여포의 원시세포는 모체내 부화자어의 구강 아래쪽에 존재하는 때의 원형 여포 안에 존재하였다. 갑상선 여포는 구강 연골조직 아래쪽 제 1, 2,3 도입새동맥 부근에 흩어져 존재하고, 출산 직후에는 1${\sim}$3개 정도로 분화되어 있었다. 갑상선 여포의 수는 출산 직후(전장 6.3 mm)에 개체당 1.6${\pm}$0.8개였으며, 치어기로 전환하는 30일째에는 17.0${\pm}$2.1개, 50일째(전장 13.2 mm)에는 32.5${\pm}$6.9개로 그 수가 매우 많아졌다. 갑상선 여포의 직경은 출산 직후에 18.1${\pm}$0.6 ${\mu}$m였던 것이 출산후 30일째 30.5${\pm}$2.2 ${\mu}$m, 50일째 41.5${\pm}$1.7 ${\mu}$m로 그 크기가 증대되었다. 갑상선 여포세포의 높이는 출산직후 4.1${\pm}$0.2 ${\mu}$m, 20일째 5.7${\pm}$0.2 ${\mu}$m, 50일째 6.0${\pm}$0.2 ${\mu}$m로 성장하였다. 자치어의 전어체 내 갑상선호르몬을 분석한 결과, 난황을 가진 출산 직후에 호르몬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난황이 완전 흡수되는 5일째에는 그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다가, 20일${\sim}$30일에 급격히 상승하여 50일째 최고치를 나타냈다. L-thyroxine (T$_4$)에 대한 3,5,3'-triiodo-L-thyronine (T$_3$) 농도는 출산 직후를 제외하고, 전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 PDF

심방실 중격 결손증에서의 하행대동맥, 폐동맥 지수 (Descending Aorta Index and Pulmonary Index in Infants Comparison between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s, At ial Septal Defects and Ventricular Septal Defects)

  • 안재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8호
    • /
    • pp.591-594
    • /
    • 1993
  • To clarify the apparent hypoplasia of the descending aorta in infants with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AVSD] patients, we reviewed the catheterization data and angiograms of 34 consecutive patients with AVSD less than 1 year of age who underwent repair at our institution since 1985. We compared them to 10 patients with Atrial Septal Defect[ASD] and 10 patients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VSD] who were matched for age, size and Qp/Qs. The Descending Aorta Index [DAI] of the AVSD group was not different from the VSD or ASD groups, [147.9$\pm$ 34.8 mm2/m2 versus 158.6$\pm$ 31.5 mm2/m2 and 153.2$\pm$ 43.1 mm2/m2].However, the Pulmonary Artery Index [PAI] of the AVSD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other groups [684.3$\pm$ 170.7 mm2/m2 versus 454.1$\pm$ 109.1 mm2/m2 and 534.9$\pm$ 148.4 mm2/m2][p<0.05], as was the ratio of PAI/DAI in the AVSD group [4.99$\pm$ 1.77 versus 2.89$\pm$ 0.81 and 3.6$\pm$ 0.92][p<0.05]. Despite similar Qp/Qs ratios, both the mean PA pressure and the Rp/Rs in the AVSD group was higher than the VSD and ASD groups: 43.1$\pm$ 15.6 mmHg versus 29$\pm$ 11.6 mmHg and 24$\pm$ 18.1 mmHg [p<0.05], and 0.27$\pm$ 0.22 versus 0.14$\pm$ 0.03 and 0.11$\pm$ 0.05 [p<0.05] respectively. The apparent hypoplasia of the descending aorta in infants with AVSD is an illusion created by the abnormally large pulmonary arteries, which are significantly larger than in patients with ASDs or VSDs.

  • PDF

수용모델을 이용한 서울지역 미세입자 (PM2.5)에 영향을 미치는 배출원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M2.5 Sourc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Seoul Area Using a Chemical Mass Balance Receptor Model)

  • 이학성;강충민;강병욱;이상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29-34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M_{2.5}$ source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Seoul area using a chemical mass balance (CMB) receptor model. This study was also to evaluate the $PM_{2.5}$ source profiles, which were directly measured and developed. Asian Dust Storm usually occurred in the spring, and very high $PM_{2.5}$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the fall among the sampling periods. So the ambient data collected in the spring and fall were evaluated. The CMB model results as well as the $PM_{2.5}$ source profiles were validated using the diagnostic categories, such as: source contribution estimate, t-statistic, R-square, Chi-square, and percent of total mass explained. In the spring months, the magnitude of $PM_{2.5}$ mass contributors was in the following order: Chinese aerosol $(31.7\%)>$ secondary aerosols ($22.3\%$: ammonium sulfate $13.4\%$ and ammonium nitrate $8.9\%)>$ vehicles ($16.1\%$: gasoline vehicle $1.4\%$ and diesel vehicles $14.7\%)>$biomass burning $(15.5\%)>$ geological material $(10.5\%)$. In the fall months, the general trend of the $PM_{2.5}$ mass contributors was the following: biomass burning $(31.1\%)>$ vehicles ($26.9\%$: gasoline vehicle $5.1\%$ and diesel vehicles $21.8\%)>$ secondary aerosols ($23.0\%$: ammonium sulfate $9.1\%$ and ammonium nitrate $13.9\%)>$ Chinese aerosol $(10.7\%)$. The results show that the $PM_{2.5}$ mass in the Seoul area was mainly affected by the Chinese area.

공기청정기의 일부 실내공기 오염물질 제거효율에 관한 연구 (Efficiency of Removal for Indoor air pollutants by Air Cleaners in the Indoor Environments)

  • 이태형;김윤신;홍승철;이철민;김종철;전형진;김중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91-497
    • /
    • 200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M_{10},\;NO_2$, and l-hydroxypyrene(1-OHP) in urine at indoor environments which are 35 houses and 20 hospitals for using air cleaner and non-using air cleaner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Kyoung-gi province from April, 2003 to February, 2004. Moreover, we examined effect of improvement for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effect by concentration of 1-OHP also we investigated removal efficiency by air cleaner for $PM_{10},\;NO_2$, and 1-OHP that were 28.5\%,\;27.4\%,\;and\;42.1\%$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PM_{10},\;NO_2$, and 1-OHP were $19.02\pm18.14{\mu}g/m^3,\;8.66\pm3.06ppb,\;and\;0.19\pm0.18{\mu}g/g$, creatinine when air cleaner was no worked. The concentration for $PM_{10},\;NO_2$. and 1-OHP were $13.60\pm10.79{\mu}g/m^3,\; 6.29\pm2.71ppb,\;and\;0.11\pm0.10{\mu}g/g$ creatinine, respectively. I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refore, it is considered using the air cleaner to remove the partial pollutants in indoor environment and is positive effect for health.

서울시 토지이용과 교통량에 따른 미세먼지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s in comparison with land-use and traffic volume in Seoul, Republic of Korea)

  • 정종철;이상훈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123-138
    • /
    • 2018
  • 서울시의 대기오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동안 환경부는 운영하고 있는 대기오염 측정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다. 측정되는 대기오염 물질 중 미세먼지는 인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데, 우리나라의 오염도는 OECD 국가 중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미세먼지 분포도를 PM10과 PM2.5에 대해 작성하고, 미세먼지 농도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공간적인 요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반경 500m의 원을 포함하는 헥사곤을 기준단위로 하여 서울 전역을 구획화하고 보간법 중 거리반비례기법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출, 퇴근 시간대의 미세먼지 농도분포를 지역별로 분석하고, 토지이용도 및 교통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M10과 PM2.5의 농도분포는 지역별, 시간대별로 각기 다른 패턴을 나타내었고, 토지이용형태 측면에서는 상업지역 및 교통지역의 면적이 미세먼지 농도분포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으며, 녹지의 유무도 농도의 분포 변화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후 세부적인 토지이용도 및 녹지분포도 등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미세먼지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에서의 공간요소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