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ehaviour of Dust Concentrations During Sand Storm in Seoul Area

황사기간 중 PM2.5, PM10, TSP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Min-Young (Seoul Metropolitan Institute of Pubic Health and Environment) ;
  • Kim, Kwang-Rae (Seoul Metropolitan Institute of Pubic Health and Environment) ;
  • Lee, Min-Hwan (Seoul Metropolitan Institute of Pubic Health and Environment) ;
  • Cho, Seog-Ju (Seoul Metropolitan Institute of Pubic Health and Environment)
  • 김민영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김광래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이민환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조석주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were evaluated through the measurement data of PM$_{2.5}$, PM$_{10}$ and TSP instruments located in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stalled and operated by Seoul Metropolitan city. The data of particulate mass on the filter was collected bv a high volume air sampler during the sand storm period. The number of days of sand storm in Seoul showed a different pattern from 1990 to November 2002, We can see a trend of increased occurrence and duration of sand storms. The ratio of PM$_{10}$ to TSP was shown as 52.9% and 59.4% during the sand storm period in 2000 and 2001. respectively. It was indicated that the particles larger than 10${\mu}$m increased by approximately 10% in sand storm periods compared to no sand storm period. While PM$_{10}$ size fraction reached 71.4% in 2002, the contribution of sand storm to total particulate concentration was estimated to be 11.9% for PM$_{2.5}$, 23.1% for PM$_{10}$, 19% for TSP in 2002, respectively and sand storms highly correlated with annual total particulate concentration.

서울시에서 설치하여 운영중인 대기질 측정소의 입자상물질을 대표하는 PM$_{2.5}$, PM$_{10}$, TSP와 황사기간 중 고용량고기포집기로 채취한 먼지성분을 분석, 평가하였다. 1990년도부터 2002년 11월까지 서울에서 관측된 황사일수는 2000년 이후 발생빈도가 증가하였으며 황사지속시간도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PM$_{10}$/TSP 비율은 황사시 2000년, 2001년도에 각각 52.9%, 59.4%로 비황사시에 비해 PM$_{10}$의 비율이 약 10% 정도 낮은 것으로 미루어 황사시 10 ${\mu}$m이상의 입경이 큰 입자 영향이 컸던 반면에 2002년 황사시에는 PM$_{10}$의 영향이 오히려 크게 나타나 PM$_{10}$이 TSP 중의 71.4%에 달하였다. 황사가 전체 먼지농도에 미치는 기여율은 2002년도에 PM$_{2.5}$ 11.9%, PM$_{10}$ 23.1%, TSP 19%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여 황사가 전체 면지농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현, 김민영, 신재영, 최규훈, 강창희, 2002, PM25, PM10, TSP의 시간대별 관측결과에 기초한 황사기간 중 먼지의 분포특성에 대한 고찰: 서울시 4대 관측점을 중심으로 한 2001년 봄철 황사기간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8(5), 419-426
  2. 김기현, 최규훈, 강창희, 2002, 2001년 봄철 서울시 북동부지점에서 관측한 중금속성분의 농도분포. 한국지구과학회지, 23(6), 514-525
  3. 신은상, 최민규, 성우영, 정용삼, 2002, 서울지역의 PM10중 미량원소의 특성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8(5), 636-372
  4. 이승우, 2000, 산유입에 대한 산성 산림토양의 중화반응과 유기물층의 역할. 충남대학교 농학박사학위논문, p75
  5. 인희진, 이은희, 박순웅, 2002, 2002년 봄철에 관측된 황사 사례에 대한 수치모의. 한국대기 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91-92
  6. 전영신, 김지영, 부경온, 김남욱, 2000, 겨울철 황사의 특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5), 487-497
  7. 정용승, 김학성, 박기현, 전종갑, 첸 수젠, 2000, 19997-2000년에 관측된 황사의 농도와 부 하량 및 시정: 위성과 기상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6(5), 583-600
  8. 최성우, 송형도, 2000, 대구지역 부유분진 중 미량금속성분 의 발생원 특성연구, 한국대기환 경학회지, 16(5), 469-476
  9. 田中茂, 田島?典, 橋本芳-, 1986, ?砂現象時による大?aeroso化?組成の?化. 日本化?誌, 5, 713-719
  10. Chung,Y.S., and M.B.Yoon, 1996, On the occurrence of yellow sand and atmospheric loadings. Atmospheric Environment, 30, 2387-2397 https://doi.org/10.1016/1352-2310(95)00251-0
  11. Lin, T.H., 2001, Long-range transport of yellow sand to Taiwan in spring 2000: observed evidcnce and simulalion. Atmospheric Environment, 35, 5873-5882 https://doi.org/10.1016/S1352-2310(01)00392-2
  12. S. Tanaka, T.Onoue, Y. Hasimoto, and T. Otoshi, 1989, The influence of the soil dust transported from Asian Continent by kosa phenomenon on the atmosphere in Japan by using the results of NASN data for lOyears, J. Japan Soc. Air Pollut. 24(2), 119-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