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_{10}$$PM_{2.5}$$PM_1$

검색결과 10,799건 처리시간 0.044초

2006~2007년 천안시 대기 에어로졸의 입경별 농도 및 이온성분 특성 (Size-segregated mass and ion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aerosols in Cheonan City between 2006 and 2007)

  • 이형배;오세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49-1353
    • /
    • 2008
  • 충청남도, 천안시 대기 에어로졸의 입경별 농도 및 이온성분 특성을 분석하고자, 2006년 3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천안시 상명대학교에서 Cascade Impactor를 장착한 High Volume Air Sampler를 이용하여 대기 시료를 채취 분석하였다. 입경별 에어로졸의 일평균농도는 TSP, PM10, PM2.5, PM1이 각각 61.7, 55.2, 43.7, $33.2{\mu}g/m^3$였으며, 직경이 $1{\sim}3{\mu}m$인 영역을 경계로 조대영역과 미세영역으로 나누어지는 전형적인 도심지 특성을 나타냈다. 이 중 미세영역입자인 PM2.5이 전체 에어로졸의 70.8%를 차지하였다. 이들 에어로졸 입자의 성분 분석 결과 양이온은 ${NH_{4}}^+$, $Na^+$, $K^+$, $Ca^{2+}$, $Mg^{2+}$이, 음이온은 ${SO_{4}}^{2-}$, ${NO_{3}}^-$, $Cl^-$가 주요 성분이었으며, 이들 수용성 이온이 차지하는 비율은 조대입자에서 37.4%, 미세입자에서 46.2%였다.

Fowl의 근위점막이 실험동물의 혈액학적 변화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 I. 닭의 혈액상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f the Effect on Fowl Gizzard Mucouse Membrane Powder Treatment on the Blood Pattern in tory Animals - I. Effects of the Blood Picture in Fowl)

  • 이한기;박옥윤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8권11호
    • /
    • pp.48-53
    • /
    • 1982
  • 본 실험은 닭의 근위점막 분말의 투여가 동물의 혈액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근위점막(계내금)을 1일 사료섭취량의 $1\%$구(T.), $2\%$$(T_2)$, $3\%$$(T_3)$ 및 대조구(무처리구)에서 Babcock B-380의 성계 60수를 공시하여 8주간 Cage에서 사육한 후 혈액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처리구별 적혈구치는 $T_3$$(2.57{\pm}0.26\times10^6/mm^3)$, $T_2$$(2.23{\pm}0.10\times10^6/mm^3)$, $T_1$$(2.38{\pm}0.40\times10^6/mm^3)$ 및 C구$(2.17{\pm}0.10\times10^6/mm^3)$의 순이었고 그 평균치는 $2.34{\pm}0.21\times10^6/mm^3$로서, 대체로 처리구(첨가구)가 대조구(무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2. 각 처리구별 Hemoglobin함량은 $T_3$$(9.13{\pm}0.14gm/100ml)$, $T_2$$(7.78{\pm}0.40gm/100ml)$$T_1$$(7.44{\pm}0.48gm/100ml)$의 순이었고 그 평균치는 $8.06{\pm}0.28gm/100ml$ 로서, 처리구와 대조구간에 유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p<0.01). 3. 각 처리구별 백혈구치는 C구$(1.81{\pm}0.63\times10^4/mm^3)$, $T_1$$(1.69{\pm}0.12\times10^4/mm^3) $, $T_2$$(1.61{\pm}0.16\times10^4/mm^3)$$T_3$$(1.56{\pm}0.20_10^4/mm^3)$의 순이었고 그 평균치는 $1.67{\pm}0.23\times10^4/mm^3$으로서,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 밸혈구백분비는 Lymphocytes $60.98{\pm}1.76\%$, Heterophils $22.75{\pm}2.27\%$, Eosinophils $3.17{\pm}0.95\%$, Basophils $2.17{\pm}0.85\%$ 및 Monocytes $10.84{\pm}2.02\%$였다. 5. 적혈구의 크기는 $12.01{\pm}0.74\mu\times6.82{\pm}0.10\mu\times3.57{\pm}0.08\mu$(장경$\times$단경$\times$두께)였다.

  • PDF

비글(Beagle)종 개 정액의 성상 및 보존성 (The Semen Property and Preservation in Beagle Dogs)

  • 박병권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3권1호
    • /
    • pp.25-28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volume, pH, sperm motility and sperm concentration of the semen collected from Beagle dogs (age $24{\sim}48$ months, weight $10{\sim}15\;kg$) by using the method of digital manipulation of the penis, and the effect of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time on motility of fresh semen. Multiple ejaculates were collected from 4 male Beagles. The average volume, pH, motility and sperm concentration of the second fraction (contained with small volume of the third fraction) per ejaculation were $2.94{\pm}0.24(SD)\;ml$, $6.43{\pm}0.42(SD)$, $97.04{\pm}3.50(SD)%$ and $1.67{\pm}0.23(SD){\times}10^8\;cells/ml$, respectively. Average semen volume per ejaculate, semen pH, sperm motility and sperm concentration of the first fraction from the ejaculate were $1.24{\pm}0.20(SD)\;ml$, $6.03{\pm}0.26(SD)$, $1l.30{\pm}4.02(SD)%$ and $7.25{\pm}1.02(SD){\times}10^5\;cells/ml$. Those of second fraction were $2.52{\pm}0.32(SD)\;ml$, $6.32{\pm}0.31(SD)$, $96.25{\pm}3.52(SD)%$ and $2.35{\pm}0.35(SD){\times}10^8\;cells/ml$. Those of third fraction were $2.71{\pm}0.27\;(SD)\;ml$, $6.52{\pm}0.20(SD)$, $95.65{\pm}2.78(SD)%$ and $5.72{\pm}0.29(SD){\times}10^7\;cells/ml$. Motility of semen was higher at $17^{\circ}C$ preservation temperature than $5^{\circ}C$ or $36^{\circ}C$ during preservation period. When preservation temperature was $17^{\circ}C$, motility was $96.54{\pm}2.05(SD)%$ at 1 h, $90.20{\pm}3.90(SD)%$ at 6 h, $89.05{\pm}2.01(SD)%$ at 12 h, $78.21{\pm}3.50(SD)%$ at 18 h, $45.24{\pm}6.25\;(SD)%$ at 24 h and $30.75{\pm}17.24(SD)%$ at 30 h, respectively.

노출선별 꼬막, Tegillarca granosa 치패의 출현과 분포 (Spats Appearance and Distribution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in Each Tidal Time and Line)

  • 문태석;정민민;양문호;위종환;이정호;신연식;신윤경;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9-12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자연산 종패를 활용한 꼬막 양식을 위해서 먼저 자연산 치패의 발생시기 및 노출선별 분포와 성장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치패 발생 및 성장을 유도하기에 적합한 양식장 조성과 치패의 채집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당년생 꼬막치패의 노출선별 분포와 성장을 조사한 결과, 꼬막 치패는 노출선 $2{\sim}3$ 시간대에 주로 분포하며, 성장도 노출선 $1{\sim}3$ 시간대에서 높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반면 노출선 $5{\sim}6$ 시간대에서는 당년생 꼬막 치폐를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월별 관찰된 치패의 각장 성장을 분석하여 보면 12월에 각장 $4.7{\pm}1.0 mm$의 치패는 1월 $5.2{\pm}1.2 mm$, 5월 $5.4{\pm}0.9 mm$, 6월 $8.5{\pm}0.8mm$, 7월 $12.6{\pm}1.1 mm$, 8월 $16.0{\pm}2.1 mm$, 9월 $18.6{\pm}1.4 mm$ 그리고 10월에는 $20.3{\pm}1.3 mm$ 까지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다음 해 10월에는 자연어장에서 생산된 새로운 치패군의 가입이 관찰되었다.

비만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위험요인 (Risk Factors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 Childhood Obesity)

  • 윤은실;박용훈;최광해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0권2호
    • /
    • pp.179-184
    • /
    • 2007
  • 목 적: 비만 인구 증가와 함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비만아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발생의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는 실정이어서, 비만아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영남대학교 병원 소아 비만 클리닉을 방문한 비만아 8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ALT 40 IU/L 이하 (Group 1), 41 IU/L 이상(Group 2)로 나누었으며, 간염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원인에 의한 간염은 배제 시켰으며 나이와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비만도, 체지방률을 비교하고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연령,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비만도, 체지방율의 평균을 비교하였을 때 1군에서는 연령이 $10.5{\pm}1.6$세, 2군은 $10.7{\pm}2.0$세였으며, 총콜레스테롤은 1군에서 $183.0{\pm}29.1$ mg/dL, 2군에서 $183.7{\pm}31.3$ mg/dL였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1군, 2군 각각 $53.0{\pm}10.2$ mg/dL, $55.7{\pm}13.0$ mg/dL,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1군에서 $113.4{\pm}30.2$ mg/dL, 2군에서 $113.0{\pm}30.0$ mg/dL, 중성지방은 1군에서 $99.4{\pm}62.9$ mg/dL, 2군에서 $114.2{\pm}47.3$ mg/dL, 비만도는 1군에서 $44.7{\pm}12.2%$, 2군에서 $47.9{\pm}15.1%$, 체지방률은 각각 $32.7{\pm}5.0%$, $34.0{\pm}4.8%$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이상지혈증의 분포는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성지방은 110 mg/dL 이상인 경우가 1군에서 13명(28.9%), 2군에서 21명(53.8%)으로 2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value=0.023). 결 론: 비만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 중성지방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도시 및 농촌 일부지역의 강하분진과 여과액중의 이온농도 (Dustfalls and Various Ion Concentrations in Their Filtrates in an Urban and in a Rural Districts)

  • 홍연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8권1호
    • /
    • pp.59-71
    • /
    • 1985
  • During a period from February 1st to November 30th in 1983, measurements were made twice a month on dustfalls and concentrations of various cations ana anions in their filtrates in an urban (Heuksuk-dong, Seoul) and in a rural (Ansung) districts. Standard British Deposit Gauge method was applied for collection of dustfalls and ion chromatographic method using Ion Chromatograph 10 (Dionex, U.S.A.) for determination of cation and anion concentration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nnual mean values of dustfalls were $8.30{\pm}5.09tons/km^2/month$ in an urban and $6.20{\pm}0.82tons/km^2/month$ in a rural districts. And annual mean values of pH of filtrates of the collected samples were $5.3{\pm}0.76$ in an urban and $6.0{\pm}0.82$ in a rural districts. 2. Annual mean concentrations of common cations and anions in their filtrates were as follows: urban rural (unit: ppm) $$Na^{+}\;1.7{\pm}1.30\;1.9{\pm}1.86$$ $$NH^{+}_{4}\;2.4{\pm}1.60\;1.3{\pm}1.59$$ $$K^{+}\;0.7{\pm}0.47\;1.5{\pm}3.79$$ $$Ca^{++}\;5.3{\pm}0.95\;3.4{\pm}2.58$$ $$Mg^{++}\;0.7{\pm}0.89\;0.5{\pm}0.83$$ $$Cl^{-}\;2.0{\pm}1.31\;4.0{\pm}2.35$$ $$NO^{-}_{3}\;4.0{\pm}2.35\;2.7{\pm}1.31$$ $$So^{--}_{4}\;16.9{\pm}17.40\;6.8{\pm}8.00$$ Some of anions such as $Br^{-},\;{PO_4}^{-3}\;and\;{NO_2}^{-}$ were scarecely detected and $F^{-}$ was measured at very low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1 to 0.5 ppm in Feb., Oct. and Nov. in an urban and in Feb. in a rural districts. 3. By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4 replications for dustfalls, pH and concentrations of various ion by district and month of a yea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dustfalls (p<0.01), pH (p<0.01) and concentrations of various ion (p<0.01) by month of a year, and in dustfalls (p<0.05) and concentrations of various ion such as ${NH_4}^{+},\;Ca^{++},\;{NO_{3}}^{-}\;and\;{SO_4}^{--}$ (p<0.01) by district.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H in Spring (Feb., Mar and Apr.) (p<0.01) and in ${SO_4}^{--}$ in Autumn (Aug., Sept., Oct. and Nov.) (p<0.05) between the two districts.

  • PDF

토지이용 유형과 기상 요인을 고려한 PM2.5 발생 패턴 분석 - 창원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PM2.5 Pattern Considering Land Use Types and Meteorological Factors - Focused on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

  • 송봉근;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7
    • /
    • 2022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 국가산업단지 인근에 설치된 21개의 PM2.5 간이 측정기에서2020년 6월부터 2021년 5월까지 1년 동안 측정된 자료를 활용하여 PM2.5의 발생 패턴을 분석하였다. PM2.5의 발생 패턴은 측정지점 주변의 토지이용현황과 기온 및 풍속의 기상적인 요인을 고려하였다. PM2.5 농도는 계절별로는 겨울철인 11월부터 3월까지, 시간대별로는 새벽과 이른 아침인 1시부터 9시까지가 높았다. PM2.5는 공업지역에 인접할수록 농도가 높았으나, 주거지역과 공공시설지역은 농도가 낮았다. 기상적인 요인에서는 높은 기온과 풍속일수록 PM2.5의 농도는 낮았기 때문에 기상 상태는 PM2.5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원국가산업단지 인근의 PM2.5 발생 패턴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향후 도시지역의 PM2.5를 포함한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도시 및 환경계획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융복합적 기술이 적용된 성문위기구들의 삽관용이성 비교 (Comparison of Three Supraglottic Airway Devices in Neutral and Cervical Neck Collar Position)

  • 탁양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69-375
    • /
    • 2016
  • 본 연구는 환자의 경추보호대 착용 여부에 따른 후두마스크기도기(LMA)와 I-gel, Streamlined Liner of the Pharynx Airway(SLIPA) 등 3가지 성문위기구의 삽관 용이성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응급의료현장에서 활동 중인 119 구급대원 39명에게 3가지 성문위기구에 대한 짧은 교육을 시행한 후 삽관시간과 삽관시도횟수를 측정하였다. 삽관시간은 중립위와 경추보호대 착용 시 모두 I-gel($10.5{\pm}2.2$, $11.4{\pm}5.7$), SLIPA($12.3 {\pm}5.1$, $12.0{\pm}6.8$), LMA($17.2{\pm}3.2$, $18.5{\pm}5.5$) 순으로 빨랐다 (p<0.05). 각 기도기별 중립위와 경추보호대 착용 시 삽관시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I-gel과 SLIPA가 LMA보다 중립위와 경추보호대 착용 시 모두에서 삽관시간이 더 빠른 결과를 보였다.

서울시 미세입자(PM2.5)의 호흡기질환 사망과의 연관성 연구 (Respiratory Health Effects of Fine Particles(PM2.5) in Seoul)

  • 강충민;박성균;선우영;강병욱;이학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54-563
    • /
    • 2006
  • Numerous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hown stronger associations between $PM_{2.5}$ and both mortality and morbidity than $PM_{10}$. The association of $PM_{2.5}$ with respiratory mortality was examined in Seoul, during the period of $1996{\sim}2002$. Because $PM_{2.5}$ data were available for only 10% of this time period, a prediction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to estimate $PM_{2.5}$ concentration. Death count due to respiratory-related diseases(total respiratory mortality; ICD-10, J00-J98) and death counts(cause-specific mortality) due to pneumonia(ICD-10, J12-J18), COPD(ICD-10, J40-J44) and asthma(ICD-10, J45-J46)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veraged daily mortality was 5.6 for total respiratory mortality and 1.1 to 1.6 for cause-specific mortality. Generalized additive Poisson models controlling for confounders were used to evaluate the acute effects of particle exposures on total respiratory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An IQR increase in 5-day moving average of $PM_{2.5}(22.6{\mu}g/m^3)$ was associated with an 8.2%(95% CI: 4.5 to 12.1%) increase in total respiratory mortality The association of $PM_{2.5}$ was stronger for the elderly ($\geq$65 years old, 10.1%, 95% CI: 5.8 to 14.5%) and for males(8.9%, 95% CI: 2.1 to 11.3%). A $10{\mu}g/m^3$ increase in 5-day moving average of $PM_{2.5}$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total respiratory mortality in winter(9.5%, 95% CI: 6.6 to 12.4%), followed by spring(3.1%, 95% CI: -1.2 to 7.5%), which was a different pattern with the finding in North American cities. However, our results ar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ose observed in recent epidemiological studies, and suggest that $PM_{2.5}$ has a stronger effect on respiratory mortality in Seoul.

요크셔종과 랜드레이스종의 산자수 및 성비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Litter Size and Sex Ratio in Yorkshire and Landrace Pigs)

  • 이경수;김종복;이정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349-356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역에 소재한 민간 종돈장에서 1998년부터 2008년까지 분만한 요크셔종 26,390복과 랜드레이스종 26,713복의 번식성적을 근거로 산자수와 성비에 대한 유전력과 육종가를 추정하고, 각 모형별로 추정된 육종가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요크셔종과 랜드레이스종의 총산자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오차는 각각 $11.35{\pm}0.02$두, $10.97{\pm}0.02$두로 조사되었으며, 생시 생존자돈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오차는 각각 $10.04{\pm}0.02$두, $9.98{\pm}0.02$두로 조사되었다. 또한 생시 생존 자돈수 중에서 암컷이 차지하는 비율로 계산한 성비의 평균치는 요크셔종에서 $45.75{\pm}0.11%$, 그리고 랜드레이스종에서 $45.75{\pm}0.11%$로 조사되어 두 품종 모두 암컷의 비율이 수컷의 비율보다 낮게 나타났다. 모델 l을 적용하여 분석한 총산자수에 대한 유전력은 요크셔종과 랜드레이스종에서 각각 $0.243{\pm}0.009$, $0.241{\pm}0.009$로 추정되어 두 품종에서 모두 다른 모델들(모델 2~모델 5)을 적용하여 추정된 유전력 보다 높게 추정되었다. 모델 3, 4, 5를 적용하여 분석한 총산자수에 대한 유전력과 반복력은 요크셔종에서 각각 $0.096{\pm}0.012{\sim}0.103{\pm}0.013$$0.211{\pm}0.008{\sim}0.215{\pm}0.008$의 범위로 추정되었고, 랜드레이스종에서 각각 $0.108{\pm}0.013{\sim}0.114{\pm}0.013$$0.210{\pm}0.008{\sim}0.214{\pm}0.008$의 범위로 추정되어 두 품종 모두 모델들 간(모델 3~모델 5)의 유전력과 반복력 추정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델 1을 적용하여 분석한 생시 생존 자돈수에 대한 유전력은 요크셔종과 랜드레이스종에서 각각 $0.192{\pm}0.009$ 그리고 $0.209{\pm}0.009$로 다른 모델들을 이용하여 분석된 유전력에 비해 높게 추정되었다. 모델 2를 이용하여 분석한 유전력과 반복력은 요크셔종에서 $0.102{\pm}0.012$$0.170{\pm}0.008$, 랜드레이스종의 경우 $0.091{\pm}0.012$$0.179{\pm}0.008$로 추정되었고, 모델 3, 4, 5를 이용하여 추정한 유전력과 반복력은 요크셔종에서 $0.096{\pm}0.012{\sim}0.099{\pm}0.012$$0.188{\pm}0.008{\sim}0.193{\pm}0.008$의 범위로 추정되었으며, 랜드레이스종의 경우 $0.092{\pm}0.012{\sim}0.098{\pm}0.012$$0.193{\pm}0.008{\sim}0.196{\pm}0.008$의 범위로 추정되어 두 품종 모두 모델 2, 3, 4, 5간의 유전력과 반복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돼지의 산자수와 관련된 유전력은 환경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도 잔차의 분산이 매우 높게 추정되었기 때문에 저도의 유전력과 반복력이 추정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모델별로 추정된 총산자수와 생시 생존 자돈수에 대한 육종가를 기준으로 각 개체의 순위를 정한 후 이 순위간의 상관을 구하였을 때 두 품종 모두 모델 1과 2는 다른 모델과 정의 상관을 보였지만 모델 3, 4, 5 간의 순위 상관 계수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모델 3, 4, 5 간의 육종가 순위 상관은 0.99 이상의 고도의 정의 상판을 나타내어 모델 3, 4, 5를 이용하여 추정된 개체들의 육종가 순위는 모델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델 1~모델 6을 적용하여 추정한 성비에 대한 유전력은 요크셔종과 랜드레이스종에서 각각 $0.002{\pm}0.002{\sim}0.003{\pm}0.002$, $0.001{\pm}0.002{\sim}0.003{\pm}0.002$의 범위로 추정되어 어떤 한 모델을 적용 하더라도 0에 가깝게 추정되었다. 따라서 선발을 통해 성비를 조절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