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_{10}$$PM_{2.5}$$PM_1$

검색결과 10,795건 처리시간 0.051초

자주식(自走式)퇴비교반기 개발을 위한 제조방법별 양송이 퇴비배지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mushroom compost produced by different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a self-propelled compost turner)

  • 유병기;이성현;이찬중;김영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0-154
    • /
    • 2017
  • 야외발효 양송이 퇴비배지를 저비용 고효율로 제조하기 위하여 자주식교반기를 개발하여 굴삭기와 퇴비혼합기, 자주식교반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퇴비의 균일도와 기계류의 특징과 성능을 비교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의 재료는 볏짚과 계분을 건물기준 3:1로 혼합하고 사용하고 마지막 교반이 끝난 후 퇴비더미 단면의 내부 온도 분포, 배지의 함수율과 건물에 대한 회분비율 및 균일도를 조사하였다. 퇴비가 제조된 후 관행, 배지혼합기, 자주식교반기에서 함수율은 $69.9{\pm}0.54$, $72.1{\pm}0.15$, $74.5{\pm}0.82%$였고, 제조된 각각의 퇴비에서 볏짚의 길이를 측정했을 때 $47.5{\pm}15.4cm$, $24.9{\pm}10.1cm$, $31.0{\pm}10.6cm$로 나타났다. 부숙도의 기준으로 표시한 건물 중 회분은 $25.0{\pm}6.2%$, $33.6{\pm}4.2%$, $28.2{\pm}1.1%$였다. 볏짚의 길이 부숙도의 편차 등은 퇴비혼합기와 자주식교반기에서는 회전날개의 타격 선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자주식교반기는 9 m/s, 퇴비혼합기는 21.5 m/s 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장 균일하게 양송이 퇴비배지를 만드는 기계는 자주식교반기로 판단되었다.

식초, 겨자, 잎채소를 첨가한 김치의 품질특성 (The Qualiti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Vinegar, Mustard and Leaf Vegetables)

  • 박희옥;손춘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41-849
    • /
    • 2013
  • 본 연구는 무, 마늘, 생강 등 모든 부재료가 모두 즙액으로 된 양념액과 식초와 겨자 추출액을 사용하여 김치가 양념액에 잠기도록 제조하여 미생물의 증식 억제 및 가식기간 연장 그리고 김치의 맛을 향상시키고자 시도되었으며, 더불어 김치에 색과 맛과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들깻잎, 엔다이브잎, 청겨자잎을 절인배추에 첨가하고, $25^{\circ}C$에 9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품질을 연구하였다. 식초와 겨자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김치 국물의 pH는 제조 후 1일에 $5.40{\pm}0.01$이었으나 식초와 겨자 추출액이 첨가된 실험군은 pH가 $4.51{\pm}0.01{\sim}4.52{\pm}0.01$으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숙성이 진행되면서 대조군의 pH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식초와 겨자 추출액을 첨가한 실험군들의 pH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김치 조직도 김치 국물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대조군이 실험군들에 비해 초기 산도가 낮았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 현상이 뚜렷하여 김치 제조 후 1일에 $0.28{\pm}0.03$이었으나, 3일이 지나자 $0.95{\pm}0.04$이 되었다. 반면, 실험군들에서는 제조 후 1일에 $0.42{\pm}0.01{\sim}0.43{\pm}0.02$으로 대조군보다 높았고, 3일까지는 변화가 거의 없다가 5일 후부터는 대조군과 유사해지기 시작했다. 김치 조직의 산도는 전반적으로 김치 국물보다 낮게 나타났고, 산도의 변화 양상은 김치 국물과 유사하였다. 김치 국물의 염도는 대조군과 실험군들 모두 제조 1일 후에 가장 높아 $2.67{\pm}0.06{\sim}2.80{\pm}0.10%$이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김치 조직의 염도도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김치 국물보다 낮았다. 젖산균수는 대조군의 경우 김치 제조 후 1일 후에 $8.17{\pm}4.01{\times}10^8cfu/g$으로 실험군들의 $2.70{\pm}2.08{\times}10^7{\sim}3.63{\pm}2.80{\times}10^7cfu/g$보다 많았으며, 3일 후에는 더욱 차이가 나서 대조군은 $3.13{\pm}1.94{\times}10^{11}cfu/g$, 실험군들은 $2.47{\pm}2.23{\times}10^9{\sim}8.03{\pm}3.71{\times}10^9cfu/g$이었다. 그러나 김치 제조 7일이 지나자 대조군과 실험군들 간에 젖산균수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 제조 후 1일의 김치의 색의 경우 대조군의 경우 $2.4{\pm}0.5$이었으나, 식초와 겨자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들은 $2.9{\pm}0.7{\sim}3.9{\pm}0.7$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좋다고 하였으며, 냄새도 실험군들이 대조군보다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맛과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내, 대조군보다 실험군들이 모든 항목에서 더 좋다는 유의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p<0.05). 대조군의 pH가 $4.09{\pm}0.01$로 적숙기가 지난 것으로 나타난 김치 제조 후 3일 째인 경우 실험군들은 모두 pH가 $4.55{\pm}0.01{\sim}4.57{\pm}0.01$로 여전히 김치 적숙기의 pH에는 도달하지 않았으나, 관능검사의 모든 항목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기호도에서는 들깻잎을 첨가한 실험군 B가 $5.0{\pm}0.0$으로 '가장 좋다'는 점수를 받았으며, 그리고 순서대로 식초와 겨자 추출액 만을 넣은 실험군 A, 엔다이브잎과 청겨자잎을 넣은 실험군 C과 D이었으며, 대조군이 $1.1{\pm}0.4$로 가장 나쁘다고 하였다. 김치 제조 5일 째의 경우에도 모든 항목에서 실험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좋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부재료인 양념을 모두 즙액상태로 만들어 제조한 액체양념액 김치의 제조할 수 있었으며, 여기에 식초와 겨자를 첨가하므로 초기 미생물의 증식 억제와 함께 가식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었고, 김치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깻잎, 엔다이브, 청겨자잎 등 잎채소의 사용으로 잎채소로부터 오는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 그리고 항산화 활성물질을 섭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깻잎을 첨가한 김치의 경우에는 기호가 매우 높았다.

강원지방유우의 번식장해 발생실태 및 혈액학치에 관한 조사연구 II. 번식장해유우의 혈액학치에 관하여 (Studies on the Occurrence of Reproductive Disorder and Hematological Values of Dairy Cattle being raised in Kangweon District II. Hematology of Infertile Holstein Cows)

  • 고광두;김정익;김현기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6-161
    • /
    • 1988
  • Holstein cows being raised in the Kangweon district were examined on the values of hematology in infertile cow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Erythrocyte count was 6.23$\pm$1.49$\times$106/㎣ 2. Hemoglobin was 10.6$\pm$2.00g/100ml 3. Hematocrit was 29.68$\pm$3.27ml/100ml 4. Mean corpuscular volume was 49.4$\pm$12.1$\mu$3 5. Mean corpuscular hemoglobin was 17.3$\pm$3.73pg 6.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was 35.7$\pm$6.37% 7. Thrombocytes were 324.06$\pm$88.11$\times$103/㎣ 8. Total leukocytes was 8.70$\pm$2.23$\times$103/㎣ 9. Neutrophils, lymphocytes, monicytes, eosiniohils and basophis were 34.44$\pm$6.39, 53.82$\pm$5.84, 2.17$\pm$2.18, 9.10$\pm$3.85 and 0.50$\pm$1.80%, respectively.

  • PDF

Effects of caloric restriction with varying energy density and aerobic exercise on weight change and satiety in young female adults

  • Song, Sae-Won;Bae, Yoon-Jung;Lee, Dae-Tae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5호
    • /
    • pp.414-420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combined effects of caloric restriction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and satiety in slightly overweight women by varying food density and aerobic exercise. Twenty-three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for a four-week weight management program: the high-energy density diet plus exercise (HDE: n = 12, $22{\pm}2$ yrs, $65{\pm}7$ kg, $164{\pm}5$ cm, $35{\pm}4%$ fat) and low-energy density diet plus exercise (LDE: n = 11, $22{\pm}1$ yrs, $67{\pm}7$ kg, $161{\pm}2$ cm, $35{\pm}4%$ fat) groups. Subjects maintained a low-calorie diet (1,500 kcal/day) during the program. Isocaloric ($483{\pm}26$ for HDE, $487{\pm}27$ kcal for LDE) but different weight ($365{\pm}68$ for HDE, $814{\pm}202$ g for LDE) of lunch was provided. After lunch, they biked at 60% of maximum capacity for 40 minutes, five times per week. The hunger level was scaled (1: extremely hungry; 9: extremely full) at 17:30 each da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subjects'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nd fasting blood samples were drawn. The daily energy intake was $1,551{\pm}259$ for HDE and $1,404{\pm}150$ kcal for LDE (P > 0.05). After four weeks, the subjects' weights and % fat decreased for both LDE (-1.9 kg and -1.5%, P < 0.05) and HDE (-1.6 kg and -1.4%, respectively, P < 0.05). The hunger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HDE ($2.46{\pm}0.28$) than for LDE ($3.10{\pm}0.26$) (P < 0.05). The results suggest that a low-energy density diet is more likely to be tolerated than a high-energy density diet for a weight management program combining a low-calorie diet and exercise, mainly because of a reduced hunger sensation.

In Vitro Free Radical and ONOO- Scavengers from Sophora flavescens

  • Jung, Hee-Jin;Kang, Sam-Sik;Hyun, Sook-Kyung;Choi, Jae-Su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5호
    • /
    • pp.534-540
    • /
    • 2005
  •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CH$_2Cl_2$-soluble fraction of the roots of Sophora flavescens furnished fiv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 ers: trans-hexadecyl ferulic acid (1) cis-octadecyl ferulic acid (2), trans-hexadecyl sinapic acid (3), (-)-4-hydroxy-3-methoxy-(6aR,11aR)-8, 9-methylenedioxypterocarpan (4) and desmethylanhydroicaritin (8), along with nine known inactive compounds: (-)-maackiain (5), xanthohumol (6), formononetin (7), (2S)-2'-methoxykurarinone (9), (2S)-3${\beta}$,7,4'-trihydroxy-5-methoxy-8-(${\gamma},{\gamma}$- imethylallyl )-flavanone (10), (2S)-7,4'-dihydroxy-5-methoxy-8- (${\gamma},{\gamma}$-dimethylallyl ) -flavanone (11), umbelliferone (12), kuraridin (13), and trifolirhizin (14). Compounds 1-4 and 8 exhibit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at IC$_{50}$ values of 33.01 ${\pm}$ 0.20, 57.06 ${\pm}$ 0.16, 39.84 ${\pm}$ 0.36, 35.83 ${\pm}$ 0.47, and 18.11 ${\pm}$ 0.04${\mu}$M, respectively. L-Ascorbic acid, when used as a positive control, exhibited an IC$_{50}$ value of 7.39 ${\pm}$ 0.01 ${\mu}$M. Compounds 1-4 and 8 also appeared to exert significant scavenging effects on authentic ONOO-, with IC$_{50}$ values of 5.76 ${\pm}$ 1.19, 15.06 ${\pm}$ 1.64, 8.17 ${\pm}$ 4.97, 1.95 ${\pm}$ 0.29 and 4.06 ${\pm}$ 2.41 ${\mu}$M, respectively. Penicillamine (IC$_{50}$= 2.36 ${\pm}$ 0.79${\mu}$M)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addition, compounds 2,4,6,8, and 10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미세먼지 입경농도 분포의 지역별 특성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PM10)

  • 이용기;이기종;이재성;신은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66-67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anagement strategies to lower the level of $PM_{10}$ concentration.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le sizes in three different areas, the residential, the roadside, and the industrial areas. Second, it has examined the size of particles which can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PM_{10}$ concentration level.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for $PM_{10}$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by regions. The highest portion in the observed $PM_{10}$ is near $0.3{\mu}m$. In addition, both near $2.5{\mu}m$ and near $5.0{\mu}m$ are found higher in portion. The fractions of $PM_{1.0}$ and $PM_{2.5}$ in $PM_{10}$ are 68.2% and 75.8% respectively. The fraction of $PM_{1.0}$ in $PM_{2.5}$ is 89.8%. The particle diameter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PM_{10}$ concentration are different by regions. In the residential area, the sizes of near $0.6{\mu}m$ and near $3.3{\mu}m$ particles are found to be the cause for the increase of $PM_{10}$ concentration level. However the particle sizes for the increase of $PM_{10}$ concentration level are $0.8{\mu}m$ and $0.5{\mu}m$ in roadside and industrial area respectively. Therefore, fine particles are found as the key factors to raise $PM_{10}$ concentration level in the two areas, while both fine and coarse particles are in the residential areas. When examined the $PM_{10}$ concentration level change, it was categorized by two different time zones, the high concentration level time and the lower concentration time. In high concentration time, the $PM_{10}$ concentration has increased in the morning in the residential and roadside areas. On the contrary, the level has increased in the evening in the industrial area. In low concentration time, the level of $PM_{10}$ concentration in the roadside area i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rning than the concentration level of other times. There is no significantly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 found in the both residential and industrial areas throughout the day.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부착치패의 하계 중간양성 (Intermediate Culture of the Spat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in Summer)

  • 민광식;김병학;이승주;박기열;김병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5-130
    • /
    • 2004
  • 본 연구는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 관리기법을 확립하기위하여 2004년 7월 28일부터 8월 27일까지 30일간에 걸쳐 중간양성 장소와 양성방법을 서로 달리하여 중간양성장의 환경특성, 부착치패의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중간양성장의 수온범위는 24.1-28.5$^{\circ}C$였으며, 고성 동해 앞바다에서 가장 높았고 마산 진동 앞바다에서 가장 낮았으며, 중간양성기간중 고성 동해 앞바다의 수온이 다른 해역에 비하여 2$^{\circ}C$ 내외의 고온상을 나타내었다. 염분범위는 15.4-33.3 psu로 나타났으며, 8월19일 여수 화양 앞바다에서 집중호우에 의한 영향으로 염분은 15.4 psu로 가장낮았다. 그리고 용존산소는 3.92-12.6 mg/l이였으며, 특히 남해 상주 앞바다를 제외한 나머지 해역에서는 7월 하순 이후 시험 종료 시까지 저층에는 빈 (저) 산소수괴가 확인되었다. 중간양성 해역별 부착치패의 성장은 여수 화양 앞바다에서 평군 각장 10.15 ${\pm}$ 1.12 mm로 가장 빨랐으며, 고성 동해, 거제 사등, 마산 진동의 순이었으나 남해상주 앞바다에서 평군 각장6.98 ${\pm}$ 1.74 mm로 가장 느린 성장을 보여 지역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간양성 해역별 부착치패의 생존율은 남해 상주 앞바다에서 77.0%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해역에서는 32.0-48.5%로 비교적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중간양성 수심을 표층에서 2 m, 5m 그리고 10m로 서로 달리한 결과, 부착치패의 성장은 2 m와 5 m수심에서 각각 평균 각장 7.14 ${\pm}$ 1.14mm, 6.98 ${\pm}$ 1.74 mm로 수심 10 m의 6.27 ${\pm}$ 1.33 mm 보다 빠른 경향을 보였으며 (p < 0.05), 생존율은 5 m 수심에서 77.0%로 가장 높았고, 수심 2 m와 수심10 m에서는 각각 75.5%, 76.5%로 나타났다. 부착치패의 크기를 서로 달리하여 수심 5 m 에서 중간양성한 결과, 평균 각장 1 mm, 2 mm 및 3 mm 시험구의 성장은 각각 6.73 ${\pm}$ 1.46 mm, 6.98 ${\pm}$ 1.74 mm 및 7.04 ${\pm}$ 1.19 mm로 치패 크기에 따른 뚜렷한 성장차이는 나타나지않았으나, 생존율은 각각 67.0%, 77.0% 및 58.5%로 시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부착치패를 수용하는 보호망목 크기를 서로 달리하여 수심 5 m에서 중간양성한 결과, 보호망목 1 ${\times}$ 1 mm, 2 ${\times}$ 2 mm 및 3 ${\times}$ 3 mm 시험구의 성장은 각각 평균 각장 8.14 ${\pm}$ 1.23 mm, 8.26 ${\pm}$ 1.19 mm 및 8.78 ${\pm}$ 1.16 mm로 자라서 보호망목 크기에 따른 뚜렷한 성장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생존율도 각각 41.5%, 43.0% 및 44.5%로 시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 PDF

호랑이에서 Ketamine HCl/Xylazine HCl의 병용마취효과 (Effects of Combined Anesthesia of Ketamine HCl and Xylazine HCI in Tigers)

  • 신남식;권수완;한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37-242
    • /
    • 1993
  • Combined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f ketamine 8mg/kg. xylazine 2mg/kg were done to evaluate effect of anesthesia in Siberian tiger White tiger and Bengal tiger. Mean induction time(MIT), mean arousal time-(MAT). mean walking time(MWT) and clinical sign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IT were taken 16.1$\pm$3.5 minutes for Siberian tiger. 15.5$\pm$2.4 minutes for White tiger and 12.3$\pm$2.5 minutes for Bengal tiger. MAT were taken 44.2$\pm$9.5 minutes for Siberian tiger, 48.3$\pm$8.6 minutes for White tiger and 58.7$\pm$5.8 minutes for Bengal tiger. MWT were taken 110.6$\pm$11.6 minutes for Siberian tiger, 106.7$\pm$13.1 minutes for White tiger and 99.6$\pm$10.2 minutes for Bengal tiger. Nausea. vomiting. salivation. severe convulsion. sudden decreased respiration and dyspnea were observed in Siberian tiger during sedation and anesthesia. Also, nausea, vomiting, salivation and convulsion were observed in White tiger and Bengal tiger but the clinical signs were more mild than Siberian tiger. The Bengal tiger which used combined ketamine 5mg/kg , xylazine 1mg/kg were shown reduced induction time compare with combined administration ketamine 8mg/kg, xylazine 2mg/kg in Bengal tiger as 10.8$\pm$32 minutes for MIT. 32.3$\pm$4.3 minutes for MAT and 78.5$\pm$7.3 minutes for MWT Vomiting and convulsion were observed during induction time but there were no nausea and salivation.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preventive methods against severe convulsion and dyspnea should be required in Siberian tiger when combined anesthesia of ketamine 8mg/kg, xylazine 2mg/kg used. Combined anesthesia of ketamine 5mg/kg, xylazine 1mg/kg in Bengal tiger might be very effective for simple surgical procedure and diagnosis.

  • PDF

Effect of Nicotinic Acid on Sperm Characteristic and Oocyte Development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using Cryopreserved Boar Semen

  • Kim, Yu-Jin;Lee, Sang-Hee;Lee, Yeon-Ju;Oh, Hae-In;Cheong, Hee-Tae;Yang, Boo-Keun;Lee, Seunghyung;Park, Choon-Keu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15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nicotinic acid on sperm cryosurvival and fertilization ability in frozen-thawed boar semen. Boar semen was collected by glove-hand method and was frozen using freezing solution treated to 0, 5, 10 and 20 mM of nicotinic acid. The frozen sperm for sperm characteristic analysis was thawed such as viability, acrosome reaction, and mitochondrial integrity. The frozen-thawed sperm was estimated by SYBR14/PI double staining for viability, FITC-PNA/PI double staining for acrosome reaction and Rhodamine123/PI double staining for mitochondrial integrity using a flow cytometry. The embryo was estimated in vitro development and DCFDA staining for reactive oxygen species assessment. As results, frozen-thawed sperm vi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5 and 10 mM ($61.1{\pm}1.5%$,$64.7{\pm}2.0%$) of nicotinic acid than other groups (0 mM, $52.1{\pm}2.3%$; 20 mM, $47.8{\pm}5.1%$, P<0.05). The live sperm with acrosome re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5 and 10 mM of nicotinic acid ($26.1{\pm}1.8%$, $24.9{\pm}1.5%$) than other groups (0 mM, $35.3{\pm}0.8%$; 20 mM, $36.5{\pm}1.9%$, P<0.05). The live sperm with mitochondrial integr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5 and 10 mM ($84.2{\pm}3.6%$, $88.4{\pm}2.3%$) of nicotinic acid than other groups (0 mM, $77.3{\pm}4.4%$; 20 mM, $73.3{\pm}3.6%$, P<0.05). Blastocyst rate of in vitro develop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10 mM ($17.0{\pm}1.3%$) of nicotinic acid than other groups (0 mM, $9.4{\pm}0.5%$; 5mM, $12.6{\pm}0.8%$; 20 mM, $5.0{\pm}1.0%$, P<0.05). Moreover, total cell number was higher in 5 and 10 mM ($53.6{\pm}2.9%$, $57.9{\pm}2.8%$) of nicotinic acid than other groups (0 mM, $41.0{\pm}1.4%$; 20 mM, $23.2{\pm}2.8%$, P<0.05). Hydrogen peroxide in embryos was lower in 5 mM nicotinic acid ($0.7{\pm}0.1%$) than other groups (0 mM, $1.0{\pm}0.1%$; 10mM, $0.9{\pm}0.0%$; 20 mM, $1.4{\pm}1.0%$, P<0.05). In conclusion, nicotinic acid-treated semen improves cryosurvival and quality of spermatozoa. Also, the fertilized oocytes with nicotinic acid improve quality of embryo and blastocyst formation.

눈에 대한 미세먼지의 독성 평가를 위한 쥐 각막 상피 세포의 적용 (Application of Primary Rat Corneal Epithelial Cells to Evaluate Toxicity of Particulate Matter 2.5 to the Eyes)

  • 김다혜;황보현;이혜숙;정재훈;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712-720
    • /
    • 2022
  • 비록 PM2.5 노출과 다양한 안구 표면 질환과 관련성이 많은 선행 연구에서 알려졌지만, PM2.5 가 각막에 미치는 세포 독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PM에 의한 각막 상피세포의 유해성을 평가하기 위한 in vitro 모델로서 쥐의 각막유래 상피세포(primary rat corneal epithelial cells, RCE cells)의 효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쥐의 눈에서 분리한 1차 배양 세포가 각막 상피세포임을 pan-cytokeratin 염색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PM2.처리에 의한 각막 상피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동반한 생존율의 억제는 세포사멸 유도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PM2.가 처리된 각막 상피세포에서는 ROS의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이는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연관성이 있었다. 이와 함께 PM2.는 각막 상피세포에서 NO, TNF-α, IL-1β 및 IL-6를 포함한 염증 매개인자 및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아울러 heatmap 분석을 통해 BLNK, IL-1RA, Itga2b, ABCb1a 및 Ptgs2가 미세먼지 유도 안구 질환의 임상 치료를 위한 잠재적인 표적 유전자로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1차 쥐의 각막 상피세포가 PM2.에 의한 각막 상피세포 병리기전 연구에 유용한 모델일 수 있으며, 산화적 및 염증성 반응이 PM2.유발 안구 표면 장애 유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