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K^+{\

검색결과 21,886건 처리시간 0.046초

Varietal Difference of Transplanted Rice Seedling Growth in Response to Salinity

  • Lim Jae-Joong;Kim Choong-Soo;Cho Jin-Wo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71-278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f growth, chlorophyll, and $Na^+\;and\;K^+$ content of rice (Oryza sativa L.) seedlings after transplanting in different NaCl conditions. Plants grown in pots for 8 days after germination were grown for 10 days after transplanting in 50 and 100 mM NaCl concentrations. At higher NaCl concentration, plant height, root length, dry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reduced with NaCl stress. Among rice cultivars, the shoot dry weight of Gancheokbyeo, Janganbyeo and Hwasungbyeo, and the root dry weight of Janganbyeo, Gancheokbyeo and Juanbyeo showed relatively low reduction compared to the other rice cultivars at 100 mM NaCl stress. The $Na^+$ content in seedling rapid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 but $K^+$ contents decrease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a^+$ content and shoot and root dry weight after transplanting rice seedlings to saline conditions. The shoot and root dry weight showed high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Na^+/K^+$ ratio in saline conditions.

Nalidixic Acid 내성인 Salmonella typhimurium의 녹차 폴리페놀과 Nalidixic Acid에 의한 살균상승 효과 및 세포반응 (Antibacterial Synergic Effect and Cellular Responses of Nalidixic Acid-Resistant Salmonella typhimurium Exposed to Tea Polyphenols and Nalidixic Acid)

  • 임예지;조윤석;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2-129
    • /
    • 2008
  • 본 연구는 항생제인 naliidixic acid (NA)에 내성이 있는 Salmonella tyhimurium에 대한 녹차폴리페놀(TPP)와 NA의 시너지적 살균효과와 세포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초기세포밀도$10^7$ cell/ml의 S. typhimurium에 대한 살균효과는 $>3,500{\mu}g/ml$ TPP와 $<256{\mu}g/ml$ NA에서 조사하였다. NA 감수성인 S. tyhimurium은 $3,500{\mu}g/ml$ TPP 또는 $256{\mu}g/ml$ NA의 농도에서 6시간 이내에 완전히 제거되었으나, 동일한 조건하에서 NA 내성 S. typhimurium은 일부만이 살균되었다. 그러나 NA 감수성 인 S. typhimurium에 대한 $3,000{\mu}g/ml$ TPP과 $32{\mu}g/ml$ NA의 병용, 그리고 NA 내성인 S. typhimurium에 대한 $3,500{\mu}g/ml$ TPP과 $64{\mu}g/ml$ NA의 병용으로 5시간 이내에 완전한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스트레스 단백질이 이들 S. typhimurium에 대한 스트레스 원으로서 TPP와 NA에 대한 반응으로 유도되었다. SDS-PAGE와 Western blot에 의하여 그 단백질들은 70-kDa의 DnaK와 60-kDa의 GroEL로 동정되었다.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단백질은 TPP나 NA의 노출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분석에 의하여 TPP나 NA에 의해 처리된 세포는 세포표면에 구멍 이 나고 불규칙적인 막대모양으로 관찰되었다.

감마선이 조사된 세포막모델을 통한 알칼리금속 이온의 선택적 전달 특성 (Selective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alkali metal ions through a cell membrane model which irradiated by γ-ray)

  • 고인호;여진동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85-91
    • /
    • 2013
  • 감마선이 조사된 세포막 모델에서 $K^+$$Na^+$의 선택적 전달특성을 연구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된 세포막 모델은 $Na^+$ 슬폰화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polystyrene-divinylbenzene) 혼성 중합막을 사용하였다. 이온의 초기플럭스는 $H^+$ 이온 농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이 실험의 조건을 pH 0.5-3, 온도 $15-65^{\circ}C$로 하여 첫 번째 조사되지 않은 막의 $K^+$$K^+/Na^+$의 선택도는 약 1.06 - 1.13이고 두 번째 조사된 막의 $K^+$$K^+/Na^+$의 선택도는 약 0에 가깝다. 조사된 막의 pH의 추진력은 조사되지 않은 막보다 약 4-5배 정도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세포막모델에서 $K^+$$Na^+$의 선택적 전달특성이 비정상적이기 때문에 세포장해가 세포에서 발현된다.

소금의 영양학적 고찰

  • 백희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987년도 춘계 학술 Seminar
    • /
    • pp.92-106
    • /
    • 1987
  • $Na^{+}$는 체내에서 세포외액 (extracellular fluid)의 주요 양이온으로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은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Na^{+}$$K^{+}$의 높은 농도의 차이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농도차이는 세포막에 있는 $Na^{+}$-K$^{+}$ATP ase의 활동에 의하여 유지되며 $Na^{+}$는 체액의 osmolarity와 혈장의 부피 유지, 신경흥분, 근육수축 및 영양소등의 이동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내의 Na balance는 renin-aldosterone system에 의하여 신장에서의 배설조절로 이루어지며, 최근 Na대사에 관여하는 natriuretic hormone이 발견되고 있다. Na의 과잉섭취는 역학적 연구와 동물실험에서 고혈압의 유발인자로 제시되고 있으나, 임상적 연구에서는 Na제한이 혈압강하효과가 있다는 보고와 없다는 보고가 있어 결과가 뚜렷하지 않다. 이는 고혈압 환자중에는 salt-sensitive한 group자 salt-resistant group이 있다는 것과 산업화된 사회들의 Na 섭취량이 이미 너무 높은 수준으로 Na섭취증가와 혈압상승간의 관계를 현재의 연구 방법들로는 찾아내기 어렵다는 ‘saturation effect’로 설명한다. 그러나 Na섭취를 1일 70~100mEq.(NaCl 4.0~5.8g)이하로 줄이면 고혈압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고 Na 섭취량이 1일 30mEq.(NaCl 1.7g)이하이면 고혈압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Na섭취가 1일 400mEq.(NaCl 23.2g)이상이 되더라도 인구 중 50~80%는 고혈압에 걸리지 않아 고혈압의 발생은 유전적 인자, 신장 기능의 부족에 의해 지배되고, Na이외에도 K, Ca등의 식이 인자 및 stress, 운동등의 환경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 Na 섭취량은 자연식품에 들어있는 양 뿐 아니라, 가공과정, 조리가정, 식사 중에 첨가되는 양에 의하여 좌우되므로, Na 섭취량을 측정하기 매우 어렵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24시간 소변 중 배설되는 Na의 양으로부터 추정하는 방법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방법으로 섭취량을 환산할 경우 1일 200~260mEq. (NaCl 11.6~15.1g) 정도이며 이중 80% 이상이 discretionary intake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앞으로 Na섭취를 줄이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 PDF

The effect on photosynthesis and osmotic regulation in Beta vulgaris L. var. Flavescens DC. by salt stress

  • Choi, Deok-Gyun;Hwang, Jeong-Sook;Choi, Sung-Chul;Lim, Sung-Hwan;Kim, Jong-Guk;Choo, Yeon-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9권1호
    • /
    • pp.81-90
    • /
    • 2016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t stress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growth, photosynthesis, solutes related to osmoregulation of Beta vulgaris. A significant increase of dry weight was observed in 50 mM and 100 mM NaCl. The contents of Chl a, b and carotenoid were lower in NaCl treatments than the control. On 14 day after NaCl treatment, photosynthetic rate (PN), the transpiration rate (E) and stomatal conductance of CO2 (gs) were reduced by NaCl treatment. On 28 day after NaCl treatment, the significant reduction in gs and E was shown in NaCl 200 mM. However, PN and water use efficiency (WUE) in all NaCl treatments showed higher value than that of control. Total ion contents (TIC) and osmolality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On 14 day after treatment, the contents of proline (Pro)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0 mM and 300 mM NaCl concentration compared with control, whereas on 28 day in all treatments it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contents of glycine betaine (GB)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 The contents of Na+, Cl-, GB, osmolality and TIC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nder severe NaCl stress conditions, NaCl treatment did not induce photochemical inhibition on fluorescence in the leaves of B. vulgaris, but the reduction of chlorophyll contents was related in a decrease in leaf production. Furthermore, increased GB as well as Na+ and Cl- contents resulted in a increase of osmolality, which can help to overcome NaCl stress.

NaBH4 가수분해 반응기 소재로서 알루미늄 합금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Al Alloy as a Material for Hydrolysis Reactor of NaBH4)

  • 정현승;오성준;정재진;나일채;추천호;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677-681
    • /
    • 2015
  • $NaBH_4$ 가수 분해용 경량반응기의 재질로서 알루미늄 합금을 검토하였다. 알루미늄은 알칼리에 용해되는데, $NaBH_4$ 반응 용액중에 안정화제로 NaOH가 포함되어 있다. 알루미늄의 부식 속도를 낮추기 위해서 NaOH 농도를 낮추면 저장중에 $NaBH_4$가 손실된다. 그래서 최적의 NaOH 농도를 결정할 때 알루미늄 부식과 $NaBH_4$ 안정화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NaBH_4$ 안정화와 알루미늄 부식속도는 수소발생속도에 의해 측정하였다. $NaBH_4$ 안정화는 $20{\sim}50^{\circ}C$에서 알루미늄 부식속도는 $60{\sim}90^{\circ}C$ 온도에서 실험하였다. 알루미늄 부식과 $NaBH_4$ 안정화를 모두 고려한 최적의 NaOH농도는 0.30 wt% 였다. 알루미늄 합금 6061를 사용해 반응기 온도 $80{\sim}90^{\circ}C$에서 NaOH 0.3 wt%로 200분간 반응을 진행하였다.

Na-Acetate 및 Na-Malate와 K-Sorbate가 김치발효중 pH, 산도 및 산미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a-Acetate, Na-Malate and K-Sorbate on the pH, Acidity and Sournes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박경자;우순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0-44
    • /
    • 1988
  • 김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유기산염인 Na-acetate와 Na-malate의 산미완충작용을 점검하였고, 이를 김치에 첨가하여 K-sorbate와 K-sorbate+acetic acid의 보존효과와 교하였다. 산미와 유기산염의 완충능력은 동일산도에서 산염이나 완충용액의 완충효과에 따라 pH가 달라지며 산미의 강도도 다르게 느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산과 산염의 비율이 적절하게 이루어진 연후에 완충작용을 나타내고 있었다. 김치시료중 첨가구들은 모델김치(Control)에 비해 모두 가식기간을 뚜렸하게 연장 시켰다. 0.3% Na-acetate와 0.3% Na-malate는 김치발효중 유기산이 생성되면서 산미완충 작용을 나타내어 산도에 비하여 pH는 높고 산미는 적게 느끼게하며 K-sorbate보다는 가식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sorbate와 K-sorbate+acetic acid는 미생물 생육을 지연시키며 후자가 전자보다 우수한 숙성 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PDMS-NaA zeolite 혼합기지분리막에 의한 수소-질소 분리 (Separation of Hydrogen-Nitrogen Gases by PDMS-NaA zeolite Mixed Matrix Membranes)

  • 강태범;홍세령
    • 멤브레인
    • /
    • 제25권3호
    • /
    • pp.295-300
    • /
    • 2015
  • PDMS에 NaA zeolite를 0~40 wt% 가하여 PDMS-NaA zeolite 막을 제조하였다. SEM 관찰에 의하면 PDMS-NaA zeolite 막 내에 분산되어있는 NaA zeolite 입자의 크기는 $2{\sim}5{\mu}m$이었다. PDMS-NaA zeolite 막의 $N_2$$H_2$ 투과도는 막 내의 NaA zeolite 함량이 증가하면 증가하였고, $N_2$보다는 $H_2$의 투과도가 더 컸다. 그리고 PDMS-NaA zeolite 선택성($H_2/N_2$)은 NaA zeolite 함량이 증가하면 증가하였다.

HeLa 세포에서 Estrogen이 Na,K-ATPase활성에 미치는 영향 (Estrogen Effect on the Na,K-ATPase Activity Repressed by IgE-Dependent Histamine-Releasing factor in HeLa Cells)

  • 이시내;김화정;이경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2-326
    • /
    • 2005
  • IgE-dependent histamine-releasing factor (HRF) is found extracellularly to regulate the degranulation process of histamine in mast cells and basophils and known to play a predomin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chronic allergic disease. HRF has been also identified in the intracellular region of the cell. Previously, we reported that HRF interacts with the 3rd cytoplasmic domain of the alpha subunit of Na,K-ATPase and inhibits Na,K-ATPase activity. Since it is known that estroaen activates the sarcolemmal Na,K-ATPase, we tested whether estrogen recovers the Na,K-ATPase activity repressed by HRF.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estrogen activates Na,K-ATPase repressed by HRF.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estrogen doesn't reduce the expression level of HRF in HeLa cell, suggesting that this recovery effects of estrogen probably occur via indirect mechanism on HRF and Na,K-ATPase.

여러 자생식물의 내염성 정도 구명 (Salt Tolerance of Various Native Plants under Salt Stress)

  • 심명선;김영재;이정희;신창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78-484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염토지대에 조경용 식재로 사용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여러 과에 속하는 자생식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내염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NaCl의 처리에 따른 식물의 생육반응과 이온흡수 특성도 파악하여, 여러 식물에 대한 내성 정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 노랑꽃창포, 밀사초, 여우꼬리사초, 줄사초, 홍노줄사초, 애기부들, 바위 및 땅채송화 등을 이용하였다. 염농도는 0, 100, 200, 300mM로 처리해 주었다. 처리 4주 후 지상부 및 뿌리의 생체중 건물중, 엽내 무기이온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줄사초, 왕밀사초, 여우꼬리사초, 노랑꽃창포 등은 NaCl 200mM의 고농도에서도 잘 견디는 초종으로 판단되었다. 홍노줄사초, 애기부들 등은 지하부 생육이 NaCl 100mM의 농도에서 저하되어, 지상부다 뿌리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노줄사초는 K의 흡수량이 감소되었고, Na/K의 비율은 300mM의 농도에서 3으로 다른 종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애기부들은 NaCl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K, Ca, Mg의 흡수량이 일시 증가하다가 200mM의 농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Na/K의 비율은 300mM의 농도에서 0.8로 조사되었다. 땅채송화 및 바위채송화 등도 NaCl 100~200mM의 범위에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위채송화는 NaCl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K, Ca, Mg의 흡수량이 일시 증가하다가 200mM의 농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땅채송화는 염농도에 따라 흡수량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Na/K의 비율은 300mM의 농도에서 모두 1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여우꼬리사초, 왕밀사초, 줄사초, 노랑꽃창포 등은 식물의 생육 및 이온흡수 특성을 고려할 때 NaCl 200mM의 고농도에서도 잘 견디는 초종으로 판단되었고, 특히 사초과 식물들의 내염성이 검증되어 앞으로 많이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홍노줄사초, 애기부들, 바위채송화, 땅채송화 등은 NaCl 100mM의 농도에서도 뿌리의 생육이 저하되었으며, 염처리에 따른 잎의 이온흡수특성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