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H_4{^+}$

검색결과 4,422건 처리시간 0.029초

Mechanism of Elimination from (E)-2,4-Dinitrobenzaldehyde O-pivaloyloxime Promoted by $R_2NH/R_2NH_2$+ buffer in 70% MeCN(aq)

  • 조봉래;조남순;정학석;손기남;한만소;편상용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12호
    • /
    • pp.1301-1304
    • /
    • 1997
  • Elimination reactions of (E)-2,4-dinitrobenzaldehyde O-pivaloyloxime promoted by R2NH/R2NH2+ buffer in 70% MeCN(aq) have been studied kinetically. The reaction exhibited second order kinetics and general base catalysis with Bronsted β=0.45. The Hammett ρ value decreased from 2.3 to 1.6 as the base-solvent system was changed from DBU in MeCN to R2NH/R2NH2+ buffer in 70% MeCN(aq). From these results an E2 mechanism is proposed.

양액내 $\textrm{NO}_3^\;-$-N과 $\textrm{NH}_4^\;+$-N비가 잎파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xtrm{NO}_3^\;-$-N : $\textrm{NH}_4^\;+$-N Ratio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Welsh Onion(Allium fistulosum L.))

  • 박권우;이정훈;장매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9-105
    • /
    • 1994
  • 본 실험은 양액내 NO$_3$$^{-}$-N : NH$_4$$^{+}$-N 비율이 잎파(Allium fistulosum L.)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액내 pH는 NO$_3$$^{-}$-N : NH$_4$$^{+}$-N 비율이 9:1인 처리구에서는 상승하였고, NO$_3$$^{-}$-N : NH$_4$$^{+}$-N 비율이 1:1, 1:3인 처리구에서는 하강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3:1 처리구에서는 안정적인 PH를 유지하였다. 외관상 생육은 NO$_3$$^{-}$-N : NH$_4$$^{+}$-N 비율이 9:1인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NO$_3$$^{-}$-N : NH$_4$$^{+}$-N 비율이 1 :3인 처리구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식물체내의 NO$_3$$^{-}$-N의 함량은 양액내의 NO$_3$$^{-}$-N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Pyruvic acid 함량은 생육이 양호한 NO$_3$$^{-}$-N : NH$_4$$^{+}$-N 비율이 9:1, 3:1인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1:3처리구에서는 낮았다.

  • PDF

Emission characteristic of ammonia in cement mortars using different sand from area of production

  • Jang, Hongseok;So, Hyoungseok;So, Seungyou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41-246
    • /
    • 2016
  • This paper discusses the influence of organic matter contained in aggregate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 of ammonia ($NH_3$) from cement mortar. $NH_3$ can be released to indoor-outdoor environment through diffusion in mortar (or concrete) and have resulted in the increasing air pollution, and especially well known as a harmful gas for the human body. The concentration of $NH_3$ released from cement concrete was then compared to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aggregat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in the aggregate significantly differ with types of aggregate from different areas of production. The organic matter becomes organic nitrogen through the process of microbial breakdown for a certain period and pure ammonium ion ($NH_4{^+}$) is produced from the organic nitrogen. The $NH_4{^+}$ was reacted with alkaline elements in the cement and released as $NH_3$ from cement concrete through a volatile process. The released $NH_3$ was proportional to the contents of $NH_4{^+}$ adsorbed in the aggregate from different areas of production and the concentrations of $NH_3$ emission from cement mortar according to the aggregate differ by more than 4 times.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섬오갈피나무의 부정근 배양시 질소농도 및 NH4+와 NO3- 비율이 부정근의 생육과 eleutherosides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on Eleutheroside production and Adventitious Root Growth in Eleutherococcus koreanum Nakai Bioreactor Cultures)

  • 안진권;이위영;박응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363-369
    • /
    • 2009
  •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섬오갈피 부정근 증식시 부정근의 생장과 유용 이차대사산물인 eleutheroside 류 생산에 미치는 ${NO_3}^-$${NH_4}^+$의 영향 및 배양기간에 따른 배지성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부정근 증식은 질소농도가 50 mM ${NO_3}^-$와 10 mM ${NH_4}^+$ 농도비율로 첨가된 처리구에서 최대(30.8 g FW/L)에 이르러 60 mM ${NH_4}^+$ 첨가에 비해서는 3.6배 증식되었다. 또한 ${NH_4}^+$의 첨가농도비율이 높아질수록 부정근의 증식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eleutheroside B는 총 질소량이 30 mM 처리에서 $57.3{\mu}g/g$ DW, E는 60 mM 처리에서 $188.4{\mu}g/g$ DW의 함량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반면에 eleutheroside $E_1$은 총 질소량이 15 mM 처리에서 $47.3{\mu}g/g$ DW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부정근 최대생장은 초기 접종량 대비 배양 9주만에 6.8배가 증식되었고, 배양기간별 배지 성분의 변화에서 ${NH_4}^+$, $K^+$, ${NO_3}^-$${PO_4}^-$는 배양기간이 경과할수록 함유량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부정근의 생장과 유용이차대사산물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Effects of Elevated CO2 and Ammonium Levels in Seawater on the Physiology of Gracilariopsis chorda (Holmes) Ohmi

  • Kang, Jin Woo;Chung, Ik Ky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3-481
    • /
    • 2016
  • We examined the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OA) and eutrophication on the physiology of a red alga, Gracilariopsis chorda, using specimens collected at Wando Island, Korea, in July of 2015. The samples were transported to a laboratory and placed on growth media for treatments involving low or high levels of ammonium ($4{\mu}M$ or $60{\mu}M\;NH_4{^+}$) and low or high pH(7.5 or 8.2). The control treatment used filtered seawater (pH 8.2 and $4{\mu}M\;NH_4{^+}$).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20^{\circ}C$ and under a lighting intensity of $80{\mu}mol\;photons\;m^{-2}\;s^{-1}$, with or without an injection of $CO_2$ (pH 7.5). In addition, we calculated rates of respiration under darkness, at a pH of 7.5 and $60{\mu}M\;NH_4{^+}$. Fluctuations in pH as well as the evolution of photosynthetic oxygen and $NH_4{^+}$ uptake rates were monitored for 6 h. The greatest increase in pH levels, from 7.50 to 8.65, occurred in response to $60{\mu}M\;NH_4{^+}$, whereas the largest decrease, from 7.50 to 7.42, was associated with elevated respiration rates. At a pH of 7.5, rates of oxygen evolution were higher (236% saturation) for samples treated with $60{\mu}M\;NH_4{^+}$ than for the control (121% saturation). Ammonium uptake was highest at pH 7.5 and $60{\mu}M\;NH_4{^+}$, with a rate of $0.526{\pm}0.002{\mu}mol\;g^{-1}\;FW\;h^{-1}$, followed in order by the treatments of $pH\;8.2/60{\mu}\;NH_4{^+}$, $pH\;7.5/4{\mu}M\;NH_4{^+}$, and the control ($pH\;8.2/4{\mu}M\;NH_4{^+}$). We speculated that the rates of photosynthesis and $NH_4{^+}$ uptake could be enhanced at a higher ammonium concentration and lower pH because $CO_2$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through greater photosynthetic activity.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hysiology of G. chorda populations can be improved by the interaction of optimized $CO_2$ concentrations and an adequate supply of essential nutrients such as ammonium.

양돈 폐수로부터 고농도 암모니아성 질소의 감소를 위한 화학적 첨가제의 영향 (Influence of a chemical additive on the reduction of highly concentrated ammonium nitrogen(NH4+-N) in pig wastewater)

  • 배수호;김은;유건상
    • 환경생물
    • /
    • 제40권3호
    • /
    • pp.267-274
    • /
    • 2022
  • 양돈 폐수로부터 NH3를 제거하기 위해서 양돈 폐수의 무게 대비 MgO(wt. %)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양돈 폐수에 주입하였다. 24시간 동안 폭기시키면서 MgO (0.8 wt. %)로 처리한 양돈 폐수는 미처리 양돈 폐수에 비하여 NH3 가스 발생량이 75.5% 감소하였으며, 1개월 동안 밀폐된 상태에서도 NH3 가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MgO는 양돈 폐수의 pH를 상승시켜 NH3가 가스 형태로 탈기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해 주었으며, 과량 주입할 경우에도 호기성 미생물 활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pH 10.5를 초과하지 않았다. 양돈 폐수에서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NH4+는 인산과 MgO를 첨가하여 스트루바이트의 형태로 침전시켜 제거하였다. 스트루바이트를 합성하기 위해서 NH4+의 몰비와 동일하게 인산과 MgO를 주입하고 황산을 첨가하여 양돈 폐수의 초기 pH를 5로 조정한 후 점진적으로 폐수의 pH를 상승시켰다. pH 6에서 흰 침전물 소위 스트루바이트가 생성되기 시작하여 pH 10까지 지속적으로 합성이 이루어졌다. 총 86.1%의 NH4+ 제거 중에서 62.4%가 약산성인 pH 6에서 제거되었다. 침전물 중에 스트루바이트의 존재를 XRD로 조사하였고 그 결과 pH 6에서 침전물이 스트루바이트의 결정성을 갖는다고 확인되었다. pH 7~10인 조건에서는 스트루바이트가 비결정질 형태로 존재하며, pH가 11인 이상에서는 생성된 스트루바이트가 완전히 붕괴되었다. 침전물 내에서 스트루바이트의 수득률은 에너지 분산형 X-ray, 열중량분석기, 원소분석기의 결과치를 바탕으로 하여 68%~84%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약 NH3가 제거된 양돈 폐수를 건조 퇴비에 뿌려 부숙하게 된다면 퇴비의 부숙 기간 동안 NH3로 인한 악취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MgO로 처리한 양돈 폐수는 가축 퇴비에 인과 질소를 보충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본 연구를 계속적으로 진행하여 국내에서 친환경퇴비를 생산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제올라이트 여재의 부착성장을 이용한 저농도 NH4+-N의 생물학적 질산화 처리 (Nitrification at Low Concentration of NH4+-N by using Attached Growth in Zeolite Media)

  • 김진수;강민구;양창환;이상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561-567
    • /
    • 2017
  • 본 연구는 $NH_4{^+}-N$ 흡착능력을 지닌 제올라이트 여재에 부착성장을 이용하여 저농도 $NH_4{^+}-N$의 생물학적 질산화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NH_4{^+}-N$ 흡착능력이 없는 EPP (expanded polypropylene) 여재와 비교하였다. 각 여재는 미생물 접촉을 위해 활성슬러지에 8시간 폭기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회분식 실험결과 제올라이트에 흡착된 $NH_4{^+}-N$을 부착된 질산화 미생물들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EPP 여재보다 질산화가 더 잘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속운전결과 EBCT (empty bed contact time) 25분의 체류시간, 3 mg $NH_4{^+}-N/L$ 수준의 저농도 조건일 때 제올라이트 여재에서만 생물학적 질산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제올라이트 여재를 EBCT 10~60분으로 바꿔가며 운전한 결과 EBCT에 따른 질산화 수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EBCT 60분일 때 최대 90% 이상의 $NH_4{^+}-N$처리율을 나타냈다. EBCT에 따라 유입되는 질소($NH_4{^+}-N$)농도대비 유출되는 질소($NH_4{^+}-N+NO_2{^-}-N+NO_3{^-}-N$)농도의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EBCT 10분일 때 0.25 mg/L, 25분일 때 0.78 mg/L, 40분일 때 0.59 mg/L, 60분일 때 0.37 mg/L로 나타났다. 이는 $NH_4{^+}-N$의 흡착속도와 질산화속도의 차이로 발생한 것으로, 이 농도의 차이만큼 여재에 $NH_4{^+}-N$이 흡착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ructures of Ammonia Cluster Cations

  • 박종근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0권9호
    • /
    • pp.1067-1072
    • /
    • 1999
  • Structures of unprotonated [(NH3)n+(n = 1-6)] and protonated [NH4+(NH3)n-1(n = 1-6)] ammonia cluster cations have been optimized with ab initio Hartree-Fock (HF) and second-order MФller-Plesset (MP2)/6-31+G ** levels and the harmonic vibrational frequencies have also been evaluated. In unprotonated cluster cations, NH3+ forms as a central core of the first ammonia solvation shell. In protonated cluster cations, NH4+ forms as a central core. In unprotonated dimer and trimer cations, there are two types of isomers (hydrogen-bonded and head-to-head interactions). In both cluster cations, the hydrogen-bonded isomers are more stable. In the hydrogen-bonded dimer cation, the proton transfer reaction takes place from (NH3-HN+H2) to (NH4+-NH2). But in the other unprotonated cluster cations, the proton transfer does not take place. In unprotonated pentamer and hexamer, a NH3+ core has both interactions in a complex. On the other hand, in unprotonated tetramer a core has only the hydrogen-bonded type combined with neutral ammonia molecules. With increasing cluster cation size, the bond lengths [R(NN)] between two nitrogen atoms and the distances [R(N ...H)] of the hydrogen-bond increase reg-ularly. In the calculated infra-red absorption bands for ammonia cluster cations, the characteristic peaks of the bridged NH vibration of the hydrogen-bonded clusters appear near 2500 cm-1 . With increasing size, the peaks shift from 2306 cm-1 to 2780 cm-1 .

토양(土壤)의 몇가지 이화학적조건(理化學的條件)이 연초(煙草)의 생육(生育) 및 이온평형(平衡)에 미치는 영향(影響) I. 토양(土壤)의 pH, pF와 음(陰)이온(Cl-, SO4-)이 연초(煙草)의 생육(生育) 및 이온평형(平衡)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me Physico-Chemical Conditions of Sioil on Growth and Ionic Balance of the Tobacco Plant (Nicotiana Tabacum L.) I. Effect of Acidity(pH), Moisture(pF) and Anions (Cl-, SO4-) in Soil on Grwth and Ionic Balance of Tobacco)

  • 김재정;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7-129
    • /
    • 1981
  • 토양(土壤)의 몇가지 물리적(物理的), 화학적성질(化學的成質)이 연초식물(煙草植物)의 생육(生育) 및 Ionic Balance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폿트실험을 하였다. 공시(供試)된 토양(土壤)은 pH를 3.5와 5.8인 두가지로 조정하였고 이에 2종류의 음(陰)이온을 ($NH_4Cl$의 Cl, $(NH_4)_2SO_4$$SO_4$) 처리하였고, 4수준(水準)의 pF치(値)(1.5-2.0-2.5-3.5)를 두었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디. 1. 산도(酸度)가 높은 토양(土壤)(pH3.5)에 $NH_4Cl$이 가(加)해진 경우 연초(煙草) Cl의 함량(含量)이 높았으며, $NH_4$와 Cl의 해작용(害作用)뿐아니라, Mn의 독작물(毒作用)까지 받았으므로 거의 생장(生長)하지 못하고 대단히 비정상적(非正常的)인 생육(生育)을 하였다. 한편 ($(NH_4)_2SO_4$를 많이 흡수하므로 Mg와 Ca의 결핍증(缺乏症)을 보였다. 그러나 산도(酸度)가 낮은 토양(pH5.8)에 가(加)해진 $NH_4-N$은 질산화작용(窒酸化作用)에 의하여 모두 $NO_3-N$로 변하였으며, $NH_4-N$와 함께 가(加)해진 Cl이나 $SO_4$에 관계없이 연초(煙草)는 건전한 생육(生育)을 하였으며 Cl 보다는 $SO_4$가 가(加)해진 토양(土壤)에서 자란 식물(植物)이 건물중(乾物重)도 더 높고 성숙도(成熟度)도 더 빨랐다. 2. 토양(土壤)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식물(植物)이 인산(燐酸)을 흡수하는데 제한인자(制限因子)가 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지상부(地上部)와 뿌리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pF 1.5>2.0>2.5>3.5>의 순서이었고 pF3.5은 연초(煙草)의 일시계절점으로 생각되었다. 3. 연초식물(煙草植物)의 화학분석치(化學分析値)와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이 식물(植物)이 정상적(正常的)인 (C-A) 개념(槪念)에 잘 적용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정상적(正常的)인 생육(生育)을 하고 있는 연초식물(煙草植物)에 있어서는 지상부(地上部)의 Carboxylate의 함량(含量)은 (C-A) 값과 거의 비슷함을 보여 주었다. 만약 식물체중(植物體中)에 $NH_4$함량(含量)이 상당히 많은 양(量)으로 존재(存在)한다면 $NH_4$를 분석(分析)하여 그 값을 (C-A)의 값을 계산하는데 사용해야 할것이다. Al은 가동성(可動性)이 매우 낮은 물질이므로 식물(植物)의 지상부(地上部)의 해(害)를 줄정도의 양(量)으로는 존재(存在)하지 않고 많은 양(量)이 뿌리의 내부나 그 주위에 존재(存在)한다. 식물체(植物體)가 Al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을 경우에도 (C-A) 값의 산출에 Al의 함량(含量)을을 고려해야 한다.

  • PDF

카르복실 이온교환수지의 암모니아 흡착에 대한 전위차 적정곡선 (The Potentiometric Titration Curves on Ammonia Absorption of Carboxylic Ion Exchanger)

  • 김태일;손원근
    • 공업화학
    • /
    • 제10권7호
    • /
    • pp.969-97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카르복실산 약산성 양이온교환수지인 Fiban K-4를 이용하여 $NH_4OH$ 용액에서의 가수분해 정도와 전위차 적정곡선에 의한 암모니아 흡착 특성을 알아보았다. 여러가지 농도의 지지전해질 $(NH_4)_2SO_4$에서 $NH_4OH$의 농도에 따른 pH 값은 실험 값과 이론 값이 잘 일치되었다. 암모니아의 평행 흡착곡선으로부터 pH에 따른 이온교환수지의 $NH_3$ 흡착량을 계산할 수 있었다. 또한 지지전해질의 농도가 낮아지거나 pH가 감소함에 따라 가수분해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전해질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0.01 M 이하의 모노 이온형태를 갖기 위해서는 pH값을 증가시켜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의 결과로부터 전해질의 농도와 pH의 값이 결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