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ome Physico-Chemical Conditions of Sioil on Growth and Ionic Balance of the Tobacco Plant (Nicotiana Tabacum L.) I. Effect of Acidity(pH), Moisture(pF) and Anions (Cl-, SO4-) in Soil on Grwth and Ionic Balance of Tobacco

토양(土壤)의 몇가지 이화학적조건(理化學的條件)이 연초(煙草)의 생육(生育) 및 이온평형(平衡)에 미치는 영향(影響) I. 토양(土壤)의 pH, pF와 음(陰)이온(Cl-, SO4-)이 연초(煙草)의 생육(生育) 및 이온평형(平衡)에 미치는 영향(影響)

  • Published : 1981.11.25

Abstract

An experiment with the tobacco plant was conducted in the pots. A sandy humic soil was used with 2 levels of pH, 3.5 and 5.8 with 2 kinds of anions, Cl as $NH_4Cl$ and $SO_4$ as $(NH_4)_2SO_4$, and with 4 levels of pF, 1.5, 2.0, 2.5, and 3.5. The pH-treatment created different N-forms; $NH_4$ at low pH(3.5) and $NO_3$ at high pH (5.8).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t low pH (3.5) with high concentration of $NH_4$ given as $NH_4Cl$, the high content of $NH_4$ and Cl in tobacco resulted in plants suffering from $NH_4$ and Cl toxicity as well as Mn toxicity. As a result of these toxicity, an extremly abnormal growth of tobacco was clearly appeared. In the tobacco grown at low pH with $NH_4$ given as $(NH_4)_2SO_4$, a large amount of the $NH_4$ uptake developed Mg and Ca deficiencies. $NH_4-N$, which had been applied to the soil of high pH (5.8), was almost completely transformed into $NO_3-N$ by nitrification and, on this low acidic soil, the plants were all healthy regardless of Cl or $SO_4$ added together with $NH_4-N$. However, dry matter production was higher and maturity faster when $SO_4$ was used as anion than when Cl was used. 2. High moisture content in soil, to some extent, is necessary for a good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tobacco plant. Phosphate uptake seemed to be limited at higher moisture stress. The dry matter yield of tops and roots of tobacco were in the order of pF 1.8 > 2.1 > 2.6 > 3.6, respectively. 3. Data of chemical analysis and dry matter yields of tops and roots showed that the tobacco plant followed the normal (C-A) concept. In the normal growth of plants, the carboxylate content of tops was quite comparable to the estimated (C-A) values. If $NH_4$ content of plants remains in quite high quantities, it must be analysed and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C-A) calculation. Al is not transported toward tops in toxic amounts due to its high immobility, it mostly stay in or on the roots, probably due to precipitation as a aolt. When Al is present in high quantities, it has to be considered into the (C-A) calculation.

토양(土壤)의 몇가지 물리적(物理的), 화학적성질(化學的成質)이 연초식물(煙草植物)의 생육(生育) 및 Ionic Balance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폿트실험을 하였다. 공시(供試)된 토양(土壤)은 pH를 3.5와 5.8인 두가지로 조정하였고 이에 2종류의 음(陰)이온을 ($NH_4Cl$의 Cl, $(NH_4)_2SO_4$$SO_4$) 처리하였고, 4수준(水準)의 pF치(値)(1.5-2.0-2.5-3.5)를 두었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디. 1. 산도(酸度)가 높은 토양(土壤)(pH3.5)에 $NH_4Cl$이 가(加)해진 경우 연초(煙草) Cl의 함량(含量)이 높았으며, $NH_4$와 Cl의 해작용(害作用)뿐아니라, Mn의 독작물(毒作用)까지 받았으므로 거의 생장(生長)하지 못하고 대단히 비정상적(非正常的)인 생육(生育)을 하였다. 한편 ($(NH_4)_2SO_4$를 많이 흡수하므로 Mg와 Ca의 결핍증(缺乏症)을 보였다. 그러나 산도(酸度)가 낮은 토양(pH5.8)에 가(加)해진 $NH_4-N$은 질산화작용(窒酸化作用)에 의하여 모두 $NO_3-N$로 변하였으며, $NH_4-N$와 함께 가(加)해진 Cl이나 $SO_4$에 관계없이 연초(煙草)는 건전한 생육(生育)을 하였으며 Cl 보다는 $SO_4$가 가(加)해진 토양(土壤)에서 자란 식물(植物)이 건물중(乾物重)도 더 높고 성숙도(成熟度)도 더 빨랐다. 2. 토양(土壤)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식물(植物)이 인산(燐酸)을 흡수하는데 제한인자(制限因子)가 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지상부(地上部)와 뿌리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pF 1.5>2.0>2.5>3.5>의 순서이었고 pF3.5은 연초(煙草)의 일시계절점으로 생각되었다. 3. 연초식물(煙草植物)의 화학분석치(化學分析値)와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이 식물(植物)이 정상적(正常的)인 (C-A) 개념(槪念)에 잘 적용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정상적(正常的)인 생육(生育)을 하고 있는 연초식물(煙草植物)에 있어서는 지상부(地上部)의 Carboxylate의 함량(含量)은 (C-A) 값과 거의 비슷함을 보여 주었다. 만약 식물체중(植物體中)에 $NH_4$함량(含量)이 상당히 많은 양(量)으로 존재(存在)한다면 $NH_4$를 분석(分析)하여 그 값을 (C-A)의 값을 계산하는데 사용해야 할것이다. Al은 가동성(可動性)이 매우 낮은 물질이므로 식물(植物)의 지상부(地上部)의 해(害)를 줄정도의 양(量)으로는 존재(存在)하지 않고 많은 양(量)이 뿌리의 내부나 그 주위에 존재(存在)한다. 식물체(植物體)가 Al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을 경우에도 (C-A) 값의 산출에 Al의 함량(含量)을을 고려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