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Cl_2\

검색결과 2,274건 처리시간 0.031초

경산시 지하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s in Gyeongsan City)

  • 송성숙;박병윤;이부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77-682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pollution in Gyeongsan city. Forty two ground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nd pH, DO, COD, $NH_3-N,\;NO_3^--N$, T-N, $PO_4^{3-}-P$, Cl, Ca, Mg, hardness, evaporate residues and others were investigated. And, ANOVA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water pollution indicator values of by industry, commerce/residence and agriculture are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s of pH, DO, COD, $NH_3-N,\;NO_3^--N$, T-N, $PO_4^{3-}-P$, Cl, evaporate residues, Ca and hardness were 6.9, $7.9mg/\ell,\;0.4mg/\ell,\;2.44mg/\ell,\;2.73mg/\ell,\;6.06mg/\ell,\;0.82mg/\ell,\;32.72mg/\ell,\;381.67mg/\ell,\;41.53mg/\ell,\;177.17mg/\ell$, respectively. 2. As groundwater became deeper, the values of Cl, Ca, Mg, Na,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remarkably increased, but those of COD, $NH_3^--N,\;NO_3^--N,\;NO_2^-N$, T-N decreased. 3. The values of COD, Cl, Ca, Mg, Na,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were very high in industrial area, and those of $NH_3-N,\;NO_2^--N$, T-N were very high in commercial/residential area, and those of $NO_3^--N$ were a little high in agricultural area. 4. The correlations between depth and each value of Mg, Na, Fe,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were highly positive, and those between DO and each value of Mg, Cu, Fe, hardness and evaporate residues were highly negative. 5. According to ANOVA analyses, the differences in three area groups (industry, commerce/residence and agriculture) on the values of $NH_3-N$, T-N, evaporate residues, hardness, Ca, Mg, K and Fe were significant at 1% level.

알루미나에 의한 수용액 중의 산성이온 제거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 of Acidic Ion in Aqueous Solution by Alumina)

  • 홍영호
    • 공업화학
    • /
    • 제18권5호
    • /
    • pp.454-458
    • /
    • 2007
  • 본 연구는 알루미나를 이용하여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Ca^{2+}$, $Mg^{2+}$, $Sr^{2+}$, $SO{_4}^{2-}$, $NO{_3}^-$, $Cl^-$ 이온의 제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알루미나는 $Al(NO_3)_3{\cdot}9H_2O$$NH_4OH$를 사용하여 합성한 수화물을 $450{\sim}750^{\circ}C$로 5 h 동안 열처리하고 FT-IR과 Brunauer-Emmett-Teller (BET)법으로 물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알루미나의 비표면적은 열처리 온도가 증가하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알루미나에 의한 흡착능은 $SO{_4}^{2-}$$NO{_3}^-$가 각각 23 mg/g와 12.4 mg/g의 값을 보였다. 반면에 $Cl^-$는 4 mg/g으로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음이온 제거 효율은 알루미나의 제조를 위한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450^{\circ}C$로 처리한 알루미나의 경우에 가장 좋은 처리 효율을 나타내었다. 양이온인 $Ca^{2+}$, $Mg^{2+}$, $Sr^{2+}$의 제거 효율은 알루미나의 열처리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화마그네슘이 있을 때 비스(2,2'-비피리딜)구리(II)-도데실황산나트륨 용액의 전기화학적 거동 (Electrochemical Behavior of Bis(2,2'-Bipyridyl) Copper(II)-Sodium Dodecyl Sulfate Solution in the Presence of $MgCl_2$)

  • 고영춘;정근호
    • 분석과학
    • /
    • 제10권2호
    • /
    • pp.126-130
    • /
    • 1997
  • 염화마그네슘이 있을 때 비스(2,2'-비피리딜)구리(II)(${Cu(bpy)_2}^{2+}$)-도데실황산나트륨(SDS)의 전기화학적거동이 고찰되었다. SDS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비해 SDS가 있을 때 ${Cu(bpy)_2}^{2+/1+}$$E_{pa}$$E_{1/2}$값은 양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1.0mM ${Cu(bpy)_2}^{2+}$의 100mM NaCl+27mM $MgCl_2$용액에서, ${\Delta}E_p$대-log[SDS]로 도시되는 두 선을 교차점이 임계미셀농도(CMC)이다. 염화마그네슘이 있을 때, 환원형 ${Cu(bpy)_2}^{1+}$이 산화형 ${Cu(bpy)_2}^{2+}$보다 도데실황산이온과 더욱 쉽게 화합한다. 염화마그네슘 첨가에 의해 이온세기가 증가할수록, 이중층이 더욱 좁아지고 미셀형성이 더욱 어렵게 된다.

  • PDF

염소 소독시 DON이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ssolved Organic Nitrogen on Organic Chloramine Formation during Chlorination)

  • 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481-484
    • /
    • 2011
  • 염소 소독시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모델 화합물질(예, 아미노산)을 사용한 연구결과로, 실제 자연상태에서 발생된 용존유기질소(DON)에 의한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에 적용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지표수에서 추출된 16개 천연유기물질(NOM)을 사용하여 염소 소독시 DON이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크게 염소 주입량과 반응시간, 그리고 DON 분자량이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염소 주입량을 변화시킨 시험결과, 소비된 염소량 1 mg당 0.25 mg이 유기성 클로라민으로 전환되었다. DON은 염소와 반응하여 10분 이내에 빠르게 유기성 클로라민을 생성하였고, 그 후 계속해서 분해(가수분해, 산화)되었다. 반응시간 10분과 24시간의 유기성 클로라민 평균값은 각각 0.78과 $0.16mg-Cl_2/mg-DON$이었다. NOM의 DOC/DON 비율이 낮을수록, 즉 NOM내 DON의 함량비가 높을수록 유기성 클로라민 생성율이 높았다. 10,000 Da 분획시험 결과, DON의 분자량은 유기성 클로라민의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어린이 선호 간식의 Na와 Cl 함량 분석 (Analysis of Na and Cl Contents in Children’s Favorite Foods)

  • 이옥희;정용삼;문종화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5호
    • /
    • pp.524-532
    • /
    • 2010
  •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패스트푸드, 학교근처 길거리 즉석조리음식, 과자 등 가공식품, 그리고 집에서 먹는 과일류와 우유류 등 총 89종 식품의 나트륨과 염소 함량을 중성자 방사화 분석법으로 분석하여 33개의 식품 종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어린이 선호 간식 100 g 당 나트륨 함량은 과일은 0.3~35.1 mg, 우유류는 28.9~82.5 mg의 분포를 보였고, 빵, 케이크, 떡류는 127.2~602.2 mg. 캔디류, 쿠키류, 아이스크림류는 2.5~1169.9 mg의 분포를 보였다. 거리의 즉석조리음식과 서양식 패스트푸드 100 g은 각각 226.9~693.7 mg과 103.4~875.8 mg의 분포를 보였다. 어린이 선호 간식 중 튀긴치킨, 핫도그, 버거류, 도넛은 식품 100 g당 평균 Na 함량은 536 mg, 553 mg, 794 mg, 562.2 mg으로 '고 Na 식품'인 반면에, 과일, 우유류, 캔디류, 초코렛의 Na 함량은 4.9~82.5 mg의 분포를 보여 '저 Na 식품' 임을 보였고, 그 이외 스낵, 빵, 케이크, 떡, 김밥 등의 식품 100 g당 평균 Na함량은 175.2~496.9 mg을 보여 '중 Na 식품' 임을 보였다. 그리고 라면, 만두 및 누들, 버거류 및 피자 1회 분량을 통해서 667 mg 이상의 나트륨을 섭취하여 Na 1일 목표섭취량의 1/3이상을 상회하여 섭취하게 되며, 특히 라면 1회 분량을 통해 Na 목표섭취량의 2/3를 섭취할 수 있어 Na 저감화가 필요함을 보였다. 어린이 식품의 Cl 함량은 식품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식빵, 쿠키, 칩류, 버거류의 경우 모두 750 mg 보다 높았다. 본 연구 자료는 어린이 Na 섭취량 감소를 위한 영양교육이나 농촌진흥청에서 8차 개정 식품성분표 구축을 위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Thermodynamic Study of Sequential Chlorination for Spent Fuel Partitioning

  • Jinmok Hur;Yung-Zun Cho;Chang Hwa Lee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7-410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of various chlorinating agents in partitioning light water reactor spent fuel, with the aim of optimizing the chlorination process. Through thermodynamic equilibrium calculations, we assessed the outcomes of employing MgCl2, NH4Cl, and Cl2 as chlorinating agents. A comparison was drawn between using a single agent and a sequential approach involving all three agents (MgCl2, NH4Cl, and Cl2). Following heat treatment, the utilization of MgCl2 as the sole chlorinating agent resulted in a moderate separation. Specifically, this method yielded a solid separation with 96.9% mass retention, 31.7% radioactivity, and 44.2% decay heat, relative to the initial spent fuel. In contrast, the sequential application of the chlorinating agents following heat treatment led to a final solid separation characterized by 93.1% mass retention, 5.1% radioactivity, and 15.4% decay heat, relative to the original spent fuel. The findings underscore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a sequential chlorination strategy for partitioning spent fuel. This approach holds promise as a standalone technique or as a complementary process alongside other partitioning processes such as pyroprocessing. Overall, our findings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pent fuel management strategies.

전북지역 남여 고등학교 기숙사 학생들의 무기물 섭취 실태 조사 (Mineral Intake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Dormitories)

  • 한숙경;권태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1-129
    • /
    • 1993
  • The intaking patterns of minerals of 80 high school students in urban dormitories, 16∼19 year old, In Jeonbuk province were investigated in August, 1990. Dally sodium intak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6,539(NaCl 16.6g), and 4,240mg(NaCl 10.8g) respectively, and their potassium intake was 2.559 and 1.696 mg respectively, Their daily calcium intake was below the RDA's, which was 549.57 mg and 359.81 mg respectively. They were offered the most source of NaCl from the soups.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offered NaCl only 2.18 g and 1.80g respectively from Kimchi which is one of the main side dishes.

  • PDF

양상추 유묘의 생육, 항산화물질 및 무기이온의 함량에 미치는 NaCl 스트레스의 영향 (Effect of NaCl Stress on the Growth, Antioxidant Materials, and Inorganic Ion Content in Head Lettuce Seedlings)

  • 김주성;현태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433-440
    • /
    • 2011
  • 본 실험은 수경재배 방식으로 본엽 2매까지 키운 양상추를 이용하여 NaCl 스트레스(0, 50 및 100mM NaCl)에 의한 생체중과 건물중, 항산화 물질 및 무기이온 함량 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양상추 유묘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NaCl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50mM NaCl 처리시 가장 높았다. Chl a, total Chl 함량과 Chl a/b는 100mM NaCI 처리 후 6일째 증가하였으나, Chl b 함량은 감소하였다. 100mM NaCl 처리 후, 총글루타치온 함량은 양상추 유묘의 뿌리에서 증가하였으나, 총아스코르빈산은 뿌리와 줄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또한, NaCl 스트레스에 의한 spermidine 감소 현상과 spermine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뿌리 및 줄기에서 $N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K^+$, $Ca^{2+}$$Mg^{2+}$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K^+/Na^+$, $Ca^{2+}/Na^+$$Mg^{2+}/Na^+$ ratio 역시 감소하였다. 종합해보면, 이들 결과는 양상추 유묘에서 NaCl 처리에 의해 산화 스트레스가 유도되고, 그 결과 산화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한 대사과정의 변화로 판단된다.

Submicron 부유분진의 화학적 조성 및 분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Distributions of Ambient Sumicron Aerosols)

  • 황인조;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2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hemical distribution of inorganic elements and ions in the submicron particles, to characterize qualitatively emitting sources by factor analysis, and finally to reveal existing patterns in terms of chemical compounds by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tal of 141 samples were collected by a cascade impactor from 1989 to1996. Fifteen chemical species (Al, Ba, Cd, K, Pb, Cu, Fe, Ni, $Cl^-, NO_3^-, SO_4^{2-}, K^+, Mg^{2+}, Ca^{2+}, and Na^+$) were characterized by AAS and IC. The study showed that average seasonal levels of submicron particulate matters $(d_p<0.43 \mum)$ were 18.7 $\mug/m^3$ in spring, 15.5 $\mug/m^3$ in summer, 15.7 $\mug/m^3$ in fall, and 24.5 $\mug/m^3$ in winter, respectively. All of the anion concentrations in the particle were highest in the winter season. By applying a factor analysis, 5 source patterns were qualitatively obtained, such as sulfate related source, nitrate related source, oil burning source, calcium related source, and coal combustion source. Finally, when applying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Na^+ and Ca^{2+}, K^+ and Ca^{2+}, NO_3^-$ and relative humidity, $Cl^-$ and ambient temperature, $Ca^{2+} and Cl^-, Mg^{2+} and SO_4^{2-}, Na^+ and NO_3^-, and Ca^{2+} and NO_3^-$, respectively, are negatively contribu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of those statistical analysis, we could suggest that some chemical compounds in the submicron particles such as$NaNO_3, MgSO_4, Ca(NO_3)_2, and CaCl_2$ may not exist on the filter as final composing products; however, other compounds may possibly exist in the form of $Mg(NO_3)_2, CaSO_4, Na_2SO_4, K_2SO_4, MgCl_2, NaCl, and KCl$. Thus, it must be necessary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above statistical analysis and of the real world by laboratory experiments.

  • PDF

애기장대 잎 절편 배양시 NAA 농도에 따른 부정근, 모용 및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에틸렌의 영향 (Effect of Ethylene on Formations of Adventitious Roots, Trichomes, and Calli by NAA in Leaf segments of Arabidopsis thaliana)

  • 한태진;홍종필;김준철;임창진;진창덕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59-264
    • /
    • 1999
  •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생태종 'Columbia'의 잎절편 배양시 부정근, 모용 및 캘러스 형성에 미치는 에틸렌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ACC, ethephon, CoCl$_2$및 AgNO$_3$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애기장대 잎 절편을 부정근 (0.1 mg/L NAA), 모용 (2.0mg/L NAA) 및 캘러스 (10.0mg/L - NAA)를 형성하는 MS 배지 각각에 ACC와 ethephon을 1-100mg/L 처리한 결과 부정근 형성구에서는 부정근이 감소 한 반면 모용이 유기되었고 모용 형성구에서는 모용이 감소한 반면 캘러스가 유기되었다. 또한 CoCl$_2$와 AgNO$_3$를 1-100mg/L 처리한 결과 부정근 형성구에서는 모용 형성 없이 부정근이 증가하였으며, 모용 형성구에서는 모용은 감소한 반면 부정근이 유기되었다. 그리고 캘러스 형성구에서는 ACC, ethephon, CoCl$_2$및 AgNO$_3$처리구 모두에서 캘러스 형성이 억제되면서 모용이 형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