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_2$ tide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2초

서해남부해역의 조석 비대칭에 대한 수치모의 (Numerical Modeling of Tide Asymmetry in the Southeast Coastal Zone of Yellow Sea)

  • 정태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429-441
    • /
    • 2011
  • 서해남부해역에서 관측된 조위와 조류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수심이 얕고 간사지가 넓게 분포된 연안해역에서 비선형 조석 및 조류 특성을 뚜렷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석 비대칭을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수치 모형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목포항에서 30여 년간 관측된 조위자료를 조화분석하여 주요 조석의 진폭과 위상의 연 변화를 살펴본 결과, 반일주조의 진폭은 증가하고 위상은 빨라졌으며, 일주조는 진폭과 위상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에 따라 반일주조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대표적인 비선형 조석인 $M_4$ 분조와 $MS_4$ 분조의 진폭은 증가하고, 위상이 빨라졌다. 본 연구에서는 $M_2$ 분조의 전파과정과 $M_4$ 분조의 생성과정을 2차원 조석모형을 사용하여 모의하였다. 바닥마찰응력 산정방법, 조위변화 및 비선형항의 영향, 간사지 분포 등이 $M_4$ 분조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해역에서 바닥마찰계수가 일정 크기까지는 작아질수록 비선형 조석이 크게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바닥마찰응력이 커지면 오히려 조석 에너지의 소산으로 수심이 얕은 연안해역에서 $M_2$ 분조와 $M_4$ 분조의 진폭이 작아 졌다. 간사지를 바다로 치환하여 모의한 결과는 비선형 조석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간사지가 비선형 조석의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해 연안해역에서 M2 분조와 M4 분조의 분포 및 변화 (Spatial Distribution and Time Variation of M2 Tide and M4 Tid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 정태성;정진광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55-265
    • /
    • 2013
  •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기왕에 발표된 조위와 조류 조화상수를 수집하여 정리하고,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관측한 서해안 검조소의 장기 조위자료와 경기만과 남서해안의 단기 조위자료를 조화분석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조석과 조류의 분포특성 특히 비선형성을 조사하였으며, 장기 조위자료를 조화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M_2$ 분조와 $M_4$ 분조의 시간변화와 개발사업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M_2$ 분조의 진폭은 서해안 전역에서 과거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으며, 위상은 빨라지고 있었다. $M_2$ 분조의 비선형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비선형 분조인 $M_4$ 분조도 $M_2$ 분조와 마찬가지로 전반적으로 진폭은 감소하고, 위상은 빨라지고 있었다. 조석의 비선형성은 서해남부해역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군산해역에서도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조류 비선형성은 조석과 마찬가지로 지역적으로는 서해남부해역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유속이 빠른 서해와 남해의 대부분 조석수로에서도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서해에서 전반적으로 조석 비선형성이 해안개발사업의 효과로 증가하고 있었으며, 서해 중부와 북부의 창조우세특성과 남부의 낙조우세특성은 각각 심화되고 있었다. 특히 새만금방조제 건설은 서해중부와 남부의 조석체계를 다른 사업들에 비해서 크게 변화시켰다.

2003년 3월 대조기 광양만 부유퇴적물의 유 · 출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diment Flux in Gwangyang Bay during Spring Tide, March 2003)

  • 김석윤;이병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11-516
    • /
    • 2004
  • As a preliminary study on the sediment flux, concentrations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and current speeds were measured at three inlets of Gwangyang Bay during one tidal cycle of a spring tide of March 2003. The suspended sediment flux rate $(g/m^{2}/s)$ at the mouth of Seomjin River (St. K1) was observed to be higher throughout surface layer during ebb tide $(14.3\;g/m^{2}/s)$ and throughout near-bottom layer during the flood tide $(23.2\;g/m^{2}/s),$ resulting in a net upstream-ward transport of$0.9{\times}10^{3}kg/m$ during 13 period. At the inlet toward Yeosu Bay (St. K2), a relatively low rate ($(5.0-6.7\;g/m^{2}/s)$ of sediment flux occurred throughout the water column compared to St. K1, with a depth-integrated net transport of $5.6{\times}10^{3}kg/m$ toward the outer reaches of Gwangyang Bay inlet. At St. K3 located at Gwangyang Bay-side of Noryang Strait, the outward flux toward the Jinju Bay was observed to be dominant during the flood tide $(16.2-23.2\;g/m^{2}/s)$, especially through the mid and near bottom layer, compared to the inward flux throughout the whole water column during the ebb tide $(13.1-19.7\;g/m^{2}/s).$ The net transport at St. K3 was calculated to be $4.0{\times}10^{3}kg/m$ toward the outside of Gwangyang Bay. The outward net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 at all three inlets seems to be consistent with a trend of bottom sediment texture, which suggests a net movement of sediment from a relatively coarse and poorly sorted inner-bay toward a relatively fine and better sorted outer-bay environment.

득량만에서의 $M_2$조에 대한 수온장 및 유속장의 응답 (The Response of Temperature and Velocity Fields to $M_2$ Tide in Deukryang Ba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홍철훈;최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67-678
    • /
    • 1997
  • [ $M_2$ ] 조에 의해 구동되는 원시방정시을 이용한 수치모델이 득량만에서 수온장 및 유속장에 미치는 조석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이용된다. 모델결과는 관측된 수온장의 여러 가지 특징을 재현하였다. 즉 등온선이 만내의 연안선과 평행한 점, 냉수가 만의 우측에 나타나는 점 등이었다. 특히 실험결과로 볼 때 수평 수온장 및 유속장은 해저지형효과를 크게 받고 있으며 만내의 표층냉수는 고저시의 유입되는 흐름에 수반된다. 경압성을 조사하기 위한 부가적인 수치실험결과는 유속장내의 경압성이 매우 약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실험결과는 관측에서 보여준 밀도성층구조를 재현하지 못했다. 이를 재현하기 위해서는 $M_2$ 조 이외에 $S_2,\;O_2$ 또는 $K_2$ 조를 외력에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해도수준면(Chart Datum) 데이터베이스 제작 연구 (A Study on Making of Chart Datum Database)

  • 강용균;이문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1호
    • /
    • pp.31-36
    • /
    • 2006
  • 해도상 수심으로부터 평균수심을 산정하기 위하여 검조소의 실측자료와 조석 수치모델링 결과를 결합하여 해도 수준기준면을 산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수준기준면은 4대분조($M_2$분조, $S_2$분조, $K_2$분조, $O_1$분조)의 진폭 합으로 결정되므로 검조소의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할 수 있으나, 검조소의 자료는 연안에 한정되므로 해양의 수준기준면은 산정할 수 없다. 반면에 조석 수치모델링의 결과는 원하는 지점의 4대분조합을 도출할 수 있으나, 시뮬레이션 결과이므로 실제 수준기준면과는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검조소 자료와 조석 수치모델링 결과를 상호보완하여 해양의 수준기준면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에서는 검조소의 자료와 조석 수치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여 보정계수를 추출하고, 각 검조소에 대한 보정계수를 내삽하여 대상해역의 임의지점에 대한 보정계수를 산정하여 조석 수치모델 결과에 적용함으로써 정확한 수준기준면을 산정한다.

濟州道 周邊 M$_{2}$潮에 대한 解析的 모델 (An Analytic Model of hte M$_{2}$ Tide near Cheju Island)

  • 강용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23
    • /
    • 1984
  • 타원형 섬에 의한 조석파의 산란 이론에 근거하여, 제주도 주변의 M$_{2}$ 반일주조 조석을 구명하였다. 제주도를 수심이 일정한 해양 가운데 놓여있는 타원형의 섬으로 근사화한 후, 입사파와 산란파의 진폭을 연안 경계조건와 7개 검조소의 조화상수에 대한 최소자승법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식에 근거하여 제주도 주변M$_{2}$조에 대한 조석도를 해석적으로 작성하였다.

  • PDF

조석 영향에 의한 해성준설토의 강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Strength Change of Dredged Soil by Tide Influence)

  • 천병식;김봉수;이원택;도종남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071-1074
    • /
    • 2008
  •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dredged soil was measured by repeated tide and analyzed the change of settlements and cone penetration resistance by centrifuge model about dredged soil of Kunsan-Janghang site that maximum tidal range is 7.4m. Consequently the settlements of dredged soil by repeated tide in the 2nd month was 0.489 m. After 12th month, the total settlements was 0.524 m in the model. It meaned the settlements of dredged soil by repeated tide in the 2th month was 80% of the settlements. Also, with the lapse of time, cone penetration resistance increased centrifuge model test for catching the strength change of dredged soil by repeated tide. After 10th month, there were not almost changes. cone penetration resistance in 10th month was measured more 3.5~5.6 times than that in its early stages. Also, with the lapse of time, cone penetration resistance increased almost linearly. And, when we surveyed the relation between cone penetration resistance and time, as depth increased, cone penetration resistance rose.

  • PDF

한국 남해의 구난환경 위험성 분석을 위한 극치 조석 산정 (Estimation of Extreme Tide for Risk Analysis of Marine Salvage in the Namhae (southern sea of Korea))

  • 이문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3-38
    • /
    • 2006
  • 해난사고 선박의 구난환경 위험성 분석을 위한 극치조석 산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항에서 관측된 해면변위에서 주요 4대분조($M_2$조, $S_2$조, $K_1$조, $O_1$조)의 진폭과 극치조석의 진폭을 산정하고, 조석 공간분포의 균일성에 근거한 유추(inference)방법을 이용하여 둘 간의 상관관계를 수치모델로 계산된 주요 4대분조의 공간분포에 적용함으로써 극치조석의 공간분포를 산정하였다. 극치조석의 분포는 한국 남해를 대상으로 산정하였으며, 50년 주기와 100년 주기의 극치조석을 각각 산정하였다. 한국 남해의 50년 주기 극치조석 진폭은 $70cm{\sim}260cm$의 분포를 보였으며, 100년 주기 극치조석 진폭은 $80cm{\sim}270cm$의 분포를 보였다. 극치조류의 유속은 100년 주기의 경우 평균상태 조류 유속에 비하여 약 1.55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갈대군락의 현존량과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nding Crops in Phragmitis communis Communities and their Environmental Factors)

  • 김철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8권3호
    • /
    • pp.129-134
    • /
    • 1975
  • It was studied of relation between biomass of reed communities (Phragmitis communis) and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concerned with such as chlor ine, pH, humus content in soil and depth of seawater submerged. Two sites where were the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s were set up. One site had two plots: H plot, at theshallows of seawater, was not submerged except at full tide or at heavy rainfall, and M plot, at medium depth of seawater, submerged at every common tide at inside of a bank along the west seashore of Mu-An-peninsula. The other site also two plots: M' plot, at medium depth, submerged about 10 hours at each tide, and L plot, at deep seawater submerged every tims at tide at the outside of a bank along the eastside estuary of Youngsan river. Maximum standing crop of the reed community was shown on 25th of June: biomass at H M, M' and L plot were respectively 4.65, 3.60, 0.98, and 0.67 kg dry weight per $m^2$. Density of individual at H, M, M' and L plot was 67, 78, 244 and 333 plants per $m^2$. Net production of the terrestrial parts of rred community on the outside of the bank were lesser as much as a sixth than that on inside, but the density of the plant on outside of the bank was higher as much 4 or 5 times than that on inside. It was assumed that the growth of reed plant was inhibited by high chlorine, high pH, less humus in soil and submergence of seawater for long period.

  • PDF

황해ㆍ동중국해의 $M_2$ 조석 잔차위 및 $M_4$ 조석 생성에 대한 비선형항의 영향 (Effect of Nonlinear Terms on the Generation of $M_2$ Tide Residual Elevation and $M_4$ Tide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 이종찬;정경태;최병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7-145
    • /
    • 1996
  • 황해ㆍ동중국해역의 M$_2$조석 잔차위 및 M$_4$ 형성에 대한 비선형항의 영향을 2차원 수심 적분된 M$_2$조석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대상 해역은 황해ㆍ동중국해 전역을 포함하는 117$^{\circ}$E-130$^{\circ}$E-41$^{\circ}$N 해역으로 수치 모형의 해상도는 경ㆍ위도 방향으로 각각 1/6$^{\circ}$, l/8$^{\circ}$이며, 방사 개방 경계 조건이 사용되었다. 이류항의 영향은 음의 잔차위를 형성하는 반면 연속 방정식의 천해항의 영향은 양의 잔차위를 형성하는 상반된 효과를 보였다. M$_4$성분의 생성에 대한 이류항과 연속방정식의 천해항의 기여도는 약 9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M$_4$성분의 생성에 대한 2차의 저면마찰항의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