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_1,\

검색결과 90,768건 처리시간 0.08초

뇌(腦) 성상세포(星狀細胞)를 대상으로 한 Cobrotoxin의 염증(炎症) 치료(治療) 기전(機轉) 연구(硏究) (The Study of anti-inflammatory Mechanism with Cobra Venom on Astrocytes of Rats)

  • 유재룡;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55-167
    • /
    • 2005
  • Cobrotoxin의 항염증 치료 기전에 대해 연구하기 위하여 성상세포에 LPS 및 SNP로 염증을 유도한 후 NF-${\kappa}B$와 DNA의 결합 능력, NF-kB Dependent Luciferase 발현, Astrocyte의 세포활성, NF-${\kappa}B$ 구성 단백질인 P50, P-$1{\kappa}B$, $1{\kappa}BB$ 및 염증(炎症)관련 유전자(遺傳子)인 Cox-2, iNOS, cPLA2의 발현과 GSH와 DTT로 sulf-hydryl기를 환원시 NF-${\kappa}B$와 DNA의 결합 능력, NF-${\kappa}B$ 구성 단백질인 P50 발현에 미치는 영향과 Cobrotoxin의 성상세포 내 유입 등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PS 로 염증을 유발한 후 NF-${\kappa}B$와 DNA의 결합 능력을 관찰한 결과 Cobrotoxin 0.1${\mu}g/m{\ell}$ 처리군, Astrocyte 내에서의 Cobrotoxin 0.1, 0.5${\mu}g/m{\ell}$ 처리군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다. 2. LPS로 염증을 유발한 후 Astrocyte 내에서 NF-${\kappa}B$ Dependent Luciferase 발현을 살펴본 결과 Cobrotoxin 모든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다. 3. SNP로 염증을 유발한 후 Cobrotoxin이 NF-${\kappa}B$ 구성 단백질인 P50, P-$1{\kappa}B$, $1{\kappa}B$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P50와 $1{\kappa}B$는 Cobrotoxin 0.1, 0.5 및 $1{\mu}g/m{\ell}$ 모든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고, P-$1{\kappa}B$는 Cobrotoxin $0.1{\mu}g/m{\ell}$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억제를, Cobrotoxin 0.5, $1{\mu}g/m{\ell}$ 처리군에서 각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다. 4. LPS로 염증을 유발한 후 Cobrotoxin이 NF-${\kappa}B$ 구성 단백질인 P50, P-$1{\kappa}B$, $1{\kappa}B$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P50와 $1{\kappa}B$는 Cobrotoxin 0.5, $1{\mu}g/m{\ell}$ 처리군에서 각각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다. 5. SNP로 염증을 유발한 후 Cobrotoxin이 염증(炎症) 관련 유전자(遺傳子)인 Cox-2, iNOS, cPLA2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Cox-2, iNOS, cPLA2 모두 Cobrotoxin $1{\mu}g/m{\ell}$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다. 6. LPS로 염증을 유발한 후 Cobrotoxin이 염증(炎症) 관련 견전자(遣傳子)인 Cox-2, iNOS, cPLA2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Cox-2와 cPLA2의 경우 Cobrotoxin 0.1, 0.5 및 $1{\mu}g/m{\ell}$ 모든 처리군에서, iNOS의 경우 Cobrotoxin 0.5, $1{\mu}g/m{\ell}$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억제를 나타내었다. 7. Astrocyte내에서 SNP로 염증을 유발한 후 GSH와 DTT로 sulf-hydryl기를 환원하여 NF-${\kappa}B$와 BNA의 결합 능력을 관찰한 결과 Cobrotoxin $0.5{\mu}g/m{\ell}$과 DTT 1mM Cobrotoxin $0.5{\mu}g/m{\ell}$과 DTT 5mM의 동시처리군은 각각 Cobrotoxin $0.5{\mu}g/m{\ell}$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8. Astrocyte 내에서 LPS로 염증을 유발한 후 GSH와 DTT로 sulf-hydryl기를 환원하여 NF-${\kappa}B$와 DNA의 결합 능력을 관찰한 결과 cobrotoxin $0.5{\mu}g/m{\ell}$과 DTT 1mM Cobrotoxin $0.5{\mu}g/m{\ell}$과 DTT 5mM의 동시처리군과 Cobrotoxin $0.5{\mu}g/m{\ell}$과 GSH 1mM Cobrotoxin $0.5{\mu}g/m{\ell}$과 GSH 5mM의 동시처리군 모두에서 Cobrotoxin $0.5{\mu}g/m{\ell}$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9. Astrocyte 내에서 SNP로 염증을 유발한 후 GSH와 DTT로 sulf-hydryl기 환원시 NF-${\kappa}B$ 구성 단백질인 P50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SNP, Cobrotoxin $1{\mu}g/m{\ell}$와 DTT 1 또는 5mM 동시처리군과 SNP, Cobrotoxin $1{\mu}g/m{\ell}$와 GSH 1 또는 5mM 동시처리군 모두에서 Cobrotoxin $1{\mu}g/m{\ell}$ 처리군에 비하여 발현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10. Cobrotoxin의 세포 내 유입 확인을 살펴본 결과 Astrocyte 내에서 Cobrotoxin이 세포내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obrotoxin 처리는 성상 세포 들을 대상을 LPS 및 SNP로 유도된 NF-${\kappa}B$ 관련 염증 기전과 iNOS, COX-2, cPLA2와 같은 염증관련 유전자의 발현 및 NO, PGE2,에 유의한 변동을 나타내었고, 이들 결과는 Cobrotoxin의 항염증 효과 및 그 치료기전에 대하여 입증한 것이며, 향후 안전성 연구를 바탕으로 신경계 및 심혈관계 염증치료에 약침개발과 같은 적극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 PDF

재귀원형군 $G(2^{m},2^{k})$의 고장 지름 (Fault Diameter of Recursive Circulant $G(2^{m},2^{k})$)

  • 김희철;정호영;박정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12호
    • /
    • pp.665-679
    • /
    • 2002
  • 그래프 G의 고장지름이란 임의의 연결도-1 개 이하의 정점들에 고장이 났을 경우, 모든 두 정점사이의 최단경로 길이의 최대 값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k{\geq}3$인 재귀원형군 $G(2{\leq}m,2{\leq}k)$의 고장 지름을 분석한다. $ dia_{m.k}$$ G(2^m,2^k)$의 지름이라 하자. $G(2{\leq}m,2{\leq}k/)$일 때, $G(2{\leq}m,2{\leq}k)$의 고장지름은 $2^m-2이고$, m=k+1일 때, 고장지름은 $2^k-1$임을 보인다. 그리고 m>k+1인 재귀원형군 $G(2{\leq}m,2{\leq}k)$에서, m=1 (mod 2k)이면 고장지름은 $dia_{m.k+1}$과 같고, $m{\neq}1$ (mod 2k)이면 고장지름은 $dia_{m.k+2}$ 이하임을 보인다.

폐암에서 혈장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및 Type 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Plasma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and Type 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in Lung Cancer)

  • 박광주;김형중;안철민;이두연;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516-524
    • /
    • 1997
  • 목 적 : 악성 종양에 있어서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세포외기질의 분해는 종양 침습 및 전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u-PA)는 이러한 단백질 분해효소 중 하나이며, u-PA의 길항제인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PAI-1, PAI-2)도 u-PA에 의한 종양조직 자체의 분해를 방어하여 종양의 성장, 침습 및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u-PA와 PAI-1은 폐암 등의 종양 조직내의 양이 증가하며, 침습도 및 예후 둥과 유의하게 상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 등은 폐암환자의 혈장 u-PA와 PAI-1의 농도를 측정하여 조직형 및 병기와의 관련성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방 법 : 폐암 환자 37예, 여러 가지 양성 폐질환 환자 21예 및 유사연령의 정상 대조군 24예에서 혈장 u-PA 및 PAI-1 항원의 농도를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혈장 u-PA 항원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서 $1.0{\pm}0.3ng/mL$, 양성 폐질환군에서 $1.0{\pm}0.3ng/mL$, 폐암환자군에서 $0.9{\pm}0.3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서 $14.2{\pm}6.7ng/mL$, 양성 폐질환군에서 $14.9{\pm}6.3ng/mL$, 폐암 환자군에서 $22.1{\pm}9.8ng/mL$로 폐암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 및 양성 폐질환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혈장 u-PA 항원 농도는 편평상피암에서 $0.7{\pm}0.4ng/mL$, 선암에서 $0.8{\pm}0.3ng/mL$, 대세포암에서 0.9ng/mL, 소세포암에서 $1.1{\pm}0.7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편평상피암에서 $22.3{\pm}7.2ng/mL$, 선암에서 $22.6{\pm}9.9ng/mL$, 대세포암에서 42ng/mL, 소세포암에서 $16.0{\pm}14.2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u-PA 항원 농도는 stage I에서 0.74ng/mL, stage II에서 $1.2{\pm}0.6ng/mL$, stage IIIA에서 $0.7{\pm}0.4ng/mL$, stage IIIB에서 $0.7{\pm}0.4ng/mL$, stage IV에서 $0.7{\pm}0.3ng/mL$였고,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stage I에서 21.8ng/mL, stage II에서 $22.7{\pm}8.7ng/mL$, stage IIIA에서 $18.4{\pm}4.9ng/mL$, stage IIIB에서 $25.3{\pm}9.0ng/mL$, stage IV에서 $21.5{\pm}10.8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폐암 환자에서 T기를 T1-3 와 T4로 나누어서 비교를 한 결과, 혈장 u-PA 항원 농도는 T1-3에서 $0.8{\pm}0.4ng/mL$였고 T4에서 $0.7{\pm}0.4ng/mL$로 차이가 없었으나,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T1-3에서 $17.9{\pm}5.6ng/mL$였고 T4에서 $26.1{\pm}9.1ng/mL$로 T4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혈장 u-PA 항원 농도는 M0에서 $0.8{\pm}0.4ng/mL$, M1에서 $0.7{\pm}0.3ng/mL$였고,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M0에서 $23.6{\pm}8.3ng/mL$, M1에서 $21.5{\pm}10.8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에서 폐암 환자에서 혈장 PAI-1은 정상대조군 및 양성 폐질환에 비하여 특이적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폐암의 국소적 침습 정도와의 관련성을 보여 주었다.

  • PDF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Cobrotoxin의 항암(抗癌) 기전(機轉) 연구(硏究) (The Study of anti-cancer mechanism with Cobrotoxin on Human prostatic cancer cell line(PC-3))

  • 채상진;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69-183
    • /
    • 2005
  • Cobrotoxin의 항암효과를 알아보고자 암세포인 PC-3 cell에 cobrotoxin을 처리한 후 cell viability, cell death, apoptosis, cell cycle 및 관련단백질, Adk, 및 MAP kinase 관련 단백질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C-3 세포에 각각 cobrotoxin을 각각 0-16 nM까지 투여시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들의 모양이 길죽한 나선형 모양에서 둥글게 응축되는 모습으로 변하였으며 고농도로 갈수록 세포들의 성장이 억제를 보였다. 2.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력을 측정 한 결과, 0.1, 1 및 4nM의 cobrotoxin 처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세포활성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8, 16nM의 cobrotoxin 처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세포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3. PC3-cell에 cobrotoxin을 처리한후 FACS analysis를 통하여 세포주기를 측정한 결과 세포주기 중 S phase에서 0.0lnM cobrotoxin 처리군은 변함이 없지만, 1, 2, 4, 8 및 16 nM 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감소를 보였다. G2-M phase에서 0.1, 1, 2, 4, 8 및 16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 에 비하여 증가를 보였다. 4. Cobrotoxin 처리후 Cox-2의 발현을 48시간 관찰한 결과 12시간에서 최대치를 이루었고, 6, 12 및 24시간후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5. G1 phase에서 활성을 이루는 Cdk4, cyclin Dl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Cdk4는 cobrotoxin 1, 2, 4 및 8nM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cobrotoxin 4, 8nM 처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Cyclin Dl은 cobrotoxin 1, 2, 4 및 8nM 처리 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Cycline E는 cobrotoxin 1, 2, 4 및 8nM 처리 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다. G2/M phase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Cyclin Bl 은 cobrotoxin 1, 2, 4 및 8nM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cobrotoxin 2, 4, 8M 처리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6. 세포성장 단백질인 Akt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1, 2, 4 및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4, 8nM친 cobrotoxln 처리군은 정상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7. MAP kinase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ERK, p-ERK, JNK, p-JNK p38, p-p38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ERK은 1, 2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를, 4, 8nM의 cobrotok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감소를 나타내었다. p-ERK은 1, 2, 4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를,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감소를 나타내었다. JNK와 p-JNK는 1, 2, 4 및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를 나타내었다. p38는 1, 4,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감소를, 2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하여 감소를 나타내었다. p-p38는 1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를, 2, 4,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8. PC 3-cells 성장의 억제 역시 세포사멸을 유도한 세포성장억제 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DAPI staining을 통한 세포의 핵을 염색하여 그 모양을 관찰한 결과, 정상세포가 동글동글 하고 균일한데 비하여 세포사멸이 일어난 세 포는 핵이 응축되고, 여러 조각으로 나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세포사멸을 살펴본 결과 1, 2, 4, 8 및 16nM cobrotoxin 처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Bcl-2 는 1, 2, 4 및 8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9.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인 caspase family (caspase 3, 9)와 Bcl-2 family (Bcl-2, Bax), p53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Bax는 1, 2, 4 및 Caspase 3과 9는 1, 2, 4nM의 cobrotoxin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8nM cobrotoxin 처리군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일정수준(pico 또는 namo molar 수준)의 cobrotoxin이 prostate cancer cell의 성장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 하여 항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cobrotoxin의 항암 효과를 실제 임상에 활용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PDF

약용열매 혼합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fruit mixture)

  • 구율리;박혜미;정유석;정희경;윤정현;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7-2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약용열매인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및 구기자 4종의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혼합비율별로 추출한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약용열매 혼합비율에 따른 열수 추출물의 pH는 3.22~3.52로 산성을 나타내었으며, 당도는 M3이 $3.20^{\circ}Brix$로 다른 시료에 비해 낮았고 산도는 3.60~5.85%으로 오미자 혼합비율이 높은 구간에서 5.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수율은 M2, M1, MS, M4 및 M3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4.54 및 5.65 g/100 g으로 복분자 혼합비율이 높은 추출물인 M3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M3이 $250{\sim}1,000{\mu}g/mL$ 농도에서 25.80~86.09% 및 33.43~90.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RAP 및 환원력은 M3가 $250{\sim}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0.36{\sim}0.86{\mu}M$ 및 0.21~0.96으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모든 혼합 열수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99m}Tc$, $^{123}I$, $^{131}I$을 이용한 갑상선 탐침의 계수 불능시간영향의 특성과 그의 보정 방법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Dead Time and Its Correction Methods for Thyroid Prode using $^{99m}Tc$, $^{123}I$, $^{131}I$)

  • 손혜경;김희중;나상균;이희경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7권1호
    • /
    • pp.79-89
    • /
    • 1996
  • 목적 : $^{99m}Tc$, $^{123}I$, $^{131}I$과 lucite cylindrical phantom 을 이용 갑상선 탐침 (thyroid probe)의 계수불능시간 (dead time)을 알아본 후 그의 보정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갑상선 탐침과 lucite cylindrical phantom 을 사용하여 $^{99m}Tc$ 10.5mCi는 약 43시간, $^{123}I$ 2.08mCi는 약 79시간동안 2시간 간격으로, $^{131}I$ 2.06mCi 는 약 910시간 동안 6시간 간격으로 medical spectrometer를 통해 계수하였다. 이때 실제 선량과 계수곡선을 이용 계수불능시간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는 지점을 측정하기 위해 매 실험시 dose calibrator를 사용하여 선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99m}Tc$ 은 모든 거리에서 약 0.80mCi, $^{123}I$은 1.00mCi 지점에서 dead time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20%의 계수손실이 일어나는 지점에서의 방사능세기는 이 $^{99m}Tc$의 경우는 1.29 (center), 1.28(2cm), 1.31(4cm), 1.13(6cm)mCi 이었고 $^{123}I$은 1.39mCi 이었다. 각 방사능핵종에 대한 correction factor값의 일예로 선량이 2mCi 일 때 $^{99m}Tc$의 경우는 각각 1.52 (center), 1.52(2cm), 1.50(4cm), 1.58(6cm)이였고 $^{123}I$의 경우는 1.58이었다.

  • PDF

BASIC CONSTRUCTIONS FOR Nf ᑕ Mf

  • Lee, Jung Rye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5권2호
    • /
    • pp.119-125
    • /
    • 1997
  • We show that there exists an isomorphism between the basic construction $(M_f)_1$ for $N_f{\subset}M_f$ and the reduction $(M_1)_f$ of the basic construction $M_1$ for $N{\subset}M$, where $f$ is a nontrivial projection in N. For a nontrivial projection $f{\in}N^{\prime}{\cap}M$ we give the basic construction $(M_f)_1$ for $N_f{\subset}M_f$ and compare it with $(M_1)_f$.

  • PDF

A Study on the Eutectic Pb/Sn Solder Filip Chip Bump and Its Under Bump metallurgy(UBM)

  • Paik, Kyung-Wook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18
    • /
    • 1998
  • In the flip chip interconnection on organic substrates using eutectic Pb/Sn solder bumps highly reliable Under Bump Metallurgy (UBM) is required to maintain adhesion and solder wettability. Various UBM systems such as 1$\mu$m Al/0.2$\mu$m Pd/1$\mu$m Cu, laid under eutectic Pb/Sn solder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 to their interfacial reactions and adhesion proper-ties. The effects of numbers of solder reflow and aging time on the growth of intermetallic compounds (IMCs) and on the solder ball shear strength were investigated. Good ball shear strength was obtained with 1$\mu$m Al/0.2$\mu$m Ti/5$\mu$m Cu and 1$\mu$m Al/0.2$\mu$m ni/1$\mu$m Cu even after 4 solder reflows or 7 day aging at 15$0^{\circ}C$. In contrast 1$\mu$m Al/0.2$\mu$m Ti/1$\mu$m Cu and 1$\mu$mAl/0.2$\mu$m Pd/1$\mu$m 쳐 show poor ball shear strength. The decrease of the shear strength was mainly due to the direct contact between solder and nonwettable metal such as Ti and Al resulting in a delamination. In this case thin 1$\mu$m Cu and 0.2$\mu$m Pd diffusion barrier layer were completely consumed by Cu-Sn and pd-Sn reaction.

CHARACTERIZATIONS OF THE POWER FUNCTION DISTRIBUTION BY THE INDEPENDENCE OF THE LOWER RECORD VALUES

  • Chang, Se-Kyu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5권1_2호
    • /
    • pp.541-550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characterizations of the power distribution with the parameter $\beta=1$ by the independence of the lower record values. We prove $X\;{\in}\;POW({\alpha},\;1)$ for ${\alpha}\;>\;0$, if and only if $\frac{X_{L(n)}}{X_{L(m)}}$ and $X_{L(m)}$ for $1\;{\leq}\;m\;<\;n$ are independent. And we prove that $X\;{\in}\;POW({\alpha},\;1)$ for ${\alpha}\;>\;0$, if and only if $\frac{X_{L(m)}-X_{L(m+1)}}{X_{L(m)}}$ and $X_{L(m)$ for $m\;{\geq}\;1$ are independent or $\frac{X_{L(m)}-X_{L(m+1)}}{X_{L(m+1)}}$ and $X_{L(m)}$ for $m\;{\geq}\;1$ are independent.

S1P1 Regulates M1/M2 Polarization toward Brain Injury after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 Gaire, Bhakta Prasad;Bae, Young Joo;Choi, Ji Woo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7권6호
    • /
    • pp.522-529
    • /
    • 2019
  • M1/M2 polarization of immune cells including microglia has been well characterized. It mediates detrimental or beneficial roles in neuroinflammatory disorders including cerebral ischemia. We have previously found that sphingosine 1-phospate receptor subtype 1 ($S1P_1$) in post-ischemic brain following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tMCAO) can trigger microglial activation, leading to brain damage. Although the link between $S1P_1$ and microglial activation as a pathogenesis in cerebral ischemia had been clearly demonstrated, whether the pathogenic role of $S1P_1$ is associated with its regulation of M1/M2 polarization remains unclear. Thu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S1P_1$ was associated with regulation of M1/M2 polarization in post-ischemic brain. Suppressing $S1P_1$ activity with its functional antagonist, AUY954 (5 mg/kg, p.o.), attenuated mRNA upregulation of M1 polarization markers in post-ischemic brain at 1 day and 3 days after tMCAO challenge. Similarly, suppressing $S1P_1$ activity with AUY954 administration inhibited M1-polarizatioin-relevant $NF-{\kappa}B$ activation in post-ischemic brain. Particularly, $NF-{\kappa}B$ activation was observed in activated microglia of post-ischemic brain and markedly attenuated by AUY954, indicating that M1 polarization through $S1P_1$ in post-ischemic brain mainly occurred in activated microglia. Suppressing $S1P_1$ activity with AUY954 also increased mRNA expression levels of M2 polarization markers in post-ischemic brain, further indicating that $S1P_1$ could also influence M2 polarization in post-ischemic brain. Finally, suppressing $S1P_1$ activity decreased phosphorylation of M1-relevant ERK1/2, p38, and JNK MAPKs, but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M2-relevant Akt, all of which were downstream pathways following $S1P_1$ activation. Overall, these results revealed $S1P_1$-regulated M1/M2 polarization toward brain damage as a pathogenesis of cerebral isch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