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ute{e}}veill{\acute{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Léveillé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의 연속 논문에 기재한 한국산 신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I. 신속 및 신종으로 발표된 분류군과 현재 분류학적으로 인정되는 분류군 (Taxonomic reexamination of new taxa described by Léveillé in the serial papers of Decades plantarum novarum. I. New genus and species, and currently recognized as distinct taxa)

  • 신현철;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1-313
    • /
    • 2008
  • $L{\acute{e}}veill{\acute{e}}$가 상당수의 한국산 신분류군을 기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분류군에 대한 종합적인 분류학적 검토가 아직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L{\acute{e}}veill{\acute{e}}$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이라는 연속 논문에서 한국에서 채집된 표본을 근거로 신분류군으로 발표한 것들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L{\acute{e}}veill{\acute{e}}$의 의해 총 275개의 신분류군이 발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 가운데에는 Hydrolirion $H. L{\acute{e}}v.$이라는 신속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는 현재 Blyxa Noronha ex Thouars와 같은 분류군으로 간주되고 있다. 나머지 분류군들은 종 수준에서 231개 분류군, 변종 수준에서 43개 분류군이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 수준으로 보고된 분류군 중, 현재까지 종 또는 변종 수준에서 인정되는 분류군은 17개였고, 학자에 따라 종 또는 이명으로 간주되는 분류군은 52개로 파악되었으며, 151개 분류군은 다른 분류군과 동일한 것으로 처리되었다. 한편, 11개 분류군은 국내 학자들에 의해 소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Léveillé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의 연속 논문에 기재한 한국산 신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II. 신종으로 발표된 분류군 중 분류학적 이명으로 간주되고 있는 분류군 (Taxonomic reexamination of new species described by Léveillé in the serial papers of Decades plantarum novarum. II. New species currently treated as taxonomic synonyms of other species)

  • 신현철;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3-169
    • /
    • 2009
  • 프랑스 식물분류학자 $L{\acute{e}}veill{\acute{e}}$, A. A. H.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이라는 연속 논문에서 Faurie와 Taquet 신부 등이 국내에서 채집한 표본들을 근거로 발표한 다수의 신분류군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이들 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견해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중 다른 분류군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분류군은 146개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Ajuga devestita 등 79개 분류군에 대해서는 일치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으나, Bidens robertianifolia 67개 분류군은 학자들마다 상충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고, Aconitum coreanum 등 8개 분류군은 후일동음명 등과 같은 이유로 비합법명이었다. 한편, Rhododendron hallaisanense 등 5개 분류군은 학자에 따라 독립된 분류군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외국인의 한반도 식물 채집행적과 지명 재고: Urbain Faurie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 with respect to U. Faurie -)

  • 장진성;최병희;김휘;이지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7-96
    • /
    • 2004
  • 프랑스 신부인 Faurie는 1901년, 1906년, 1907년 등 3회에 걸쳐 한반도의 부산, 서울, 인천, 남포, 평양, 원산, 강원도 금강산, 제주도 등을 돌면서 많은 종의 표본을 채집하였는데 당시 채집된 많은 표본들은 T. Nakai, H. L$\acute{e}$veill$\acute{e}$의 주요 연구 표본으로 인용되었으나, 표본에 기재된 로마자 지명은 현재의 지명과 비교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조사에서는 문헌에 기재된 Faurie의 표본을 근거로 당시에 기록된 지명을 현재지명으로 표시하고, 문헌과 표본을 근거로 한반도에서의 Faurie의 채집행적을 날짜순으로 정리하였다.

Type specimens of Korean vascular plants in the Herbarium of the Komarov Botanical Institute (LE)

  • Grabovskaya-Borodina, Alisa E.;Illarionova, Irina D.;Tatanov, Ivan V.;Lee, Byoung-Yoon;Lim, Chae Eu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191-202
    • /
    • 2013
  • The article provides information on type specimens of 150 taxa of vascular plants from Korea, kept in the Herbarium of the Komarov Botanical Institute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For all specimens, type category is indicated. Lectotypes for the names of Clematis brachyura Maxim., C. spectabilis Palib., Corydalis wilfordii Regel, Poa viridula Palib., Polygonum marretii H. L$\acute{e}$v., P. sagittatum L. var. hallaisanense H. L$\acute{e}$v., P. taquetii H. L$\acute{e}$v. and P. thunbergii Sieb. et Zucc. var. coreana H. L$\acute{e}$v. were designated. Type specimens examined in this article belong to the taxa described by Russian botanists V.L. Komarov, K.J. Maximovicz and I.V. Palibin, French botanist A.A.H. L$\acute{e}$veill$\acute{e}$ (some with co-author E. Vaniot) and others.

외국인의 한반도 식물 채집행적과 지명 재고(III): Tomijiro Uchiyama (Reexamination on Foreign Collectors' Sites and Exploration Routes in Korea (III) - with respect to T. Uchiyama -)

  • 김휘;최병희;장진성;장계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3-215
    • /
    • 2007
  • 일본인 전문식물재집자인 T. Uchiyama는 1900년과 1902년 두 번에 걸쳐 한반도의 식물채집을 실시하였다. T. Uchiyama의 수집물은 일본인으로서는 최초의 한반도 식물에 대한 채집활동의 결과로 생각되며, 당시 채집된 식물표본은 T. Nakai에 의해 Flora Koreana와 H. $L{\acute{e}}veill{\acute{e}}$ 연구 재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동경대학 식물표본관에 소장된 T. Uchiyama의 채집표본과 문헌을 중심으로 당시의 채집 경로와 일정을 확인하여 채집일과 장소를 날짜순으로 정리하였으며 표본에 채집자에 의해 직접 기록된 자료와 Nakai에 의해 표기된 지명을 제공하였다. 문헌을 근간으로 추정된 전체 채집 표본수는 약 1.674개로 확인되나 현재 동경대학 표본관에 소장된 표본은 200여점에 불과하여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표본의 2/3는 두 번째 채집인 1902년에 수집되었으며, Nakai는 이중 41개의 표본을 새로 기재한 종의 기준표본으로 사용하였다.

Notes on Sparganium coreanum (Typhaceae) rediscovered on the Korean Peninsula

  • HA, Young-Ho;GIL, Hee-Young;LEE, Jungsim;LEE, Kang-Hyup;LEE, Dong-Hyuk;SON, Dong Chan;CHANG, Kae S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03-208
    • /
    • 2019
  • Sparganium coreanum, a barely recognized species in Korea, was rediscovered during a field survey by the authors, who conducted a re-examination of specimens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KH). This species was described initially by H. $L{\acute{e}}veill{\acute{e}}$ from a specimen collected by F. Taquet from Jeju-do (Taquet 2150). Subsequently, however, it was overlooked and unrecognized among South Korean flora. Several populations of S. coreanum were fou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on Jeju-do, although it has long been recognized as S. erectum owing to certain vege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ared between the two species, such as robust stems, a similar plant height, and globose rhizomes. However, it is distinct from S. erectum by the number of female heads on the lowest inflorescence branch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fruit. In this study, we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with a revised taxonomic key for identification of Sparganium specie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