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1$-Convergence of Fourier serie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푸리에 급수의 부분합, 푸리에 계수를 이용한 $L^1$-수렴성 결과들의 재해석과 그 소계보 (Partial Sum of Fourier series, the Reinterpret of $L^1$-Convergence Results using Fourier coefficients and theirs Minor Lineage)

  • 이정오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3-6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푸리에 급수의 $L^1$-수렴성에 대한 20세기 초부터 중반(W. H. Young부터 G. A. Fomin)까지 고전적인 연구 결과를 고찰하고 연구자들의 소계보를 조사한다. 푸리에 급수 부분합의 수렴성 문제를 동치관계인 푸리에 계수 성질을 이용하여 수렴성을 보인 결론들의 상호 연계성을 재해석한다.

바티의 L1-수렴성 연구에 관한 소고 (A Brief Study on Bhatia's Research of L1-Convergence)

  • 이정오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1-93
    • /
    • 2014
  • The $L^1$-convergence of Fourier series problems through additional assumptions for Fourier coefficients were presented by W. H. Young in 1913. We say that they are the classical results. Using modified trigonometric series is the convenience method to study the $L^1$-convergence of Fourier series problems. they are called the neoclassical results. This study concerns with the $L^1$-convergence of Fourier series. We introduce the classical and neoclassical results of $L^1$-convergence sequentially.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L^1$-convergence results focused on the results of Bhatia's studies. In conclusion, we present the research minor lineage of Bhatia's studies and compare the classes of $L^1$-convergence mutually.

Stanojevic의 푸리에 급수의 $\mathfrak{L}^1$-수렴성 연구의 소 계보 고찰 (A Brief Study on Stanojevic's Works on the $\mathfrak{L}^1$-Convergence)

  • 이정오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6권2_3호
    • /
    • pp.163-176
    • /
    • 2013
  • 본 논문은 저자의 선행 연구 결과에 따른 부가적인 연구로 '푸리에 급수의 $\mathfrak{L}^1$-수렴성'에 관한 많은 업적을 남긴 세계적인 수학자인 스타노제빅(Caslav V. Stanojevic)을 중심으로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 초까지(1973-2002) 30년간 그의 연구결과를 순차적으로 고찰하여 푸리에 급수의 $\mathfrak{L}^1$-수렴성 연구자들의 2012년까지 소 계보를 조사한다.

BV - 족 계수를 갖는 푸리에 급수의 $L^1(T^1)$ - 수렴성에 관하여 (On $L^1(T^1)$ - Convergence of Fourier Series with BV - Class Coefficients)

  • 이정오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216-220
    • /
    • 2008
  • In general the Banach space $L^1(T^1)$ doesn't admit convergence in norm. Thus the convergence in norm of the partial sums can not be characterized in terms of Fourier coefficients without additional assumptions about the sequence$\{^{\^}f(\xi)\}$. The problem of $L^1(T^1)$-convergence consists of finding the properties of Fourier coefficients such that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1.2) and (1.3). This paper showed that let $\{{\alpha}_{\kappa}\}{\in}BV$ and ${\xi}{\Delta}a_{\xi}=o(1),\;{\xi}{\rightarrow}{\infty}$. Then (1.1) is a Fourier series if and only if $\{{\alpha}_{\kappa}\}{\in}{\Gamma}$.

  • PDF

푸리에 일생, 푸리에 후학의 소계보와 $L^1$-수렴성에 관한 테라코브스키의 정리 (The Life of Fourier, The minor Lineage of His Younger Scholars and a Theorem of Telyakovskii on $L^1$-Convergence)

  • 이정오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4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푸리에의 생애와 18세기 말 그의 스승과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는 그의 제자와 후학들의 소계보를 살펴보고 특히, 비교적 덜 접근된 러시아 수학자들의 푸리에 급수의 $L^1$-수렴성에 대한 연구결과들 중 푸리에 계수 성질을 이용한 푸리에 급수 수렴성에 대해 매우 의미 있는 연구를 이룩한 콜모고로프, 테라코브스키의 연구결과에 관심을 갖고 이들의 연구 결과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 PDF

이중 푸리에 급수의 총합가능성과 수렴성에 대한 고전적인 연구들에 관하여 (On Classical Studies for Summability and Convergence of Double Fourier Series)

  • 이정오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5-297
    • /
    • 2014
  • G. H. Hardy laid the foundation of classical studies on double Fourier series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is paper we are concerned not only with Fourier series but more generally with trigonometric series. We consider Norlund means and Cesaro summation method for double Fourier Series. In section 2, we investigate the classical results on the summability and the convergence of double Fourier series from G. H. Hardy to P. Sjolin in the mid-20th century. This study concerns with the $L^1(T^2)$-convergence of double Fourier series fundamentally. In conclusion, there are the features of the classical results by comparing and reinterpreting the theorems about double Fourier series mutu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