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 Homeostasis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41초

전당뇨병 성인에서 나트륨 섭취와 복부비만과의 상관관계 (Association between Dietary Sodium Intake and Abdominal Obesity in Pre-diabetes Korean Adults)

  • 임소영;양수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63-771
    • /
    • 2014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년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만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공복혈당에 따라 정상군, 전당뇨병군, 당뇨병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서 나트륨 섭취량과 복부비만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전당뇨병군에서 나트륨 섭취와 복부비만 관련 지표인 허리둘레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전당뇨병 고나트륨군의 경우 당뇨병 관련 임상지표인 공복혈당, 공복인슐린, HOMA-IR 수치가 높아질수록 복부비만 발병위험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당뇨병과 여러 관련 합병증으로 이행될 위험이 높은 전당뇨병 대상자에서 나트륨 섭취와 복부비만 간 상관성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전당뇨병 성인의 경우 나트륨 섭취 수준이 높다고 분석되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전당뇨병 대상자를 위한 지속적인 나트륨 섭취량 모니터링과 함께 나트륨 섭취가 복부비만과 당뇨병에 미치는 인과관계와 그 기전을 밝힐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당뇨병과 여러 관련 합병증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적절한 식사지침과 효과적인 영양교육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과용 국소마취제에 포함된 Epinephrine이 당뇨 환자의 소수술시 혈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PINEPHRINE CONTAINED IN DENTAL LOCAL ANESTHETIC AGENTS ON THE BLOOD SUGAR OF DIABETES DURING MINOR ORAL SURGERY)

  • 윤형진;임재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5호
    • /
    • pp.463-471
    • /
    • 2005
  • Recently, the number of diabetic patients have been increased with westernized living way and meal habitation. The regulation of blood sugar concentration is very important for diabetic patients to keep homeostasis and, to prevent acute or chronic complications. Epinephrine combined with lidocaine is used in dental clinic extensively. And epinephrine combined with lidocaine also effects on decreasing the blood leakage volume by constricting micro vessle and arteriole. But, So far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the effect of epinephrine contained in dental local anesthetic agent on the blood sugar of diabetes during minor oral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whether epinephrine which combined with dental local anesthetics influence body glucose level in diabetes patients by glucose monitor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8 diabetic patients and 38 normal adults, each patient was checked body glucose after a meal 2 hours later with resting state, and injection 1:100000 epinephrine with dental lidocaine 54 ml or lidocaine 54 ml only. And then the body glucose level was checked 5 minutes and 30 minutes after injec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wo way ANOVA test (p<0.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experimental group 1, the mean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180.3 mg/dl before an anesthetic injection, 182.8 mg/dl after 5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and 182.2 mg/dl after 30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The change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not statistically by two-way ANOVA tests (p<0.05). In the experimental group 2, the mean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237 mg/dl before an anesthetic injection, 234.5 mg/dl after 5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and 231.8 mg/dl after 30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The change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not statistically by two-way ANOVA tests (p<0.05). In the controlled group 1, the mean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117.6 mg/dl before an anesthetic injection, 119.1 mg/dl after 5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and 129.3 mg/dl after 30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The change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not statistically by two-way ANOVA tests (p<0.05). In the controlled group 2, the mean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104.2 mg/dl before an anesthetic injection, 102 mg/dl after 5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and 105.3 mg/dl after 30minutes of the anesthetic injection. The change of the blood sugar level was not statistically by two-way ANOVA tests (p<0.05).

쑥 (Artemisia princeps P.)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대사장애 및 아디포카인 조절에 미치는 영향 (Amelioration of metabolic disturbances and adipokine dysregulation by mugwort (Artemisia princeps P.) extract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rats)

  • 김윤혜;박충무;윤군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6호
    • /
    • pp.411-419
    • /
    • 2016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와 쑥추출물이 흰쥐의 지질대사, 인슐린저항성, 아디포카인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부고환지방과 복막후강지방의 축적이 증가되었고, 그 결과 혈장 항염증성 아디포카인은 감소하고 염증성 아디포카인은 증가하여 아디포넥틴/렙틴 및 아디포넥틴/PAI-1 비가 저하되는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내장지방 축적과 관련된 아디포카인의 불균형은 TG, TG/HDL-C, TC/HDL-C를 증가시키고 HOMA-IR의 증가를 유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비해 쑥 에탄올추출물의 첨가는 부고환지방과 복막후강지방의 축적을 완화함으로써 PAI-1과 렙틴을 감소시켜 아디포넥틴/렙틴 및 아디포넥틴/PAI-1 비의 저하를 억제하고 아디포카인의 균형을 상대적으로 유지하였으며, TG, TG/HDL-C, TC/HDL-C 및 HOMA-IR 수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쑥 에탄올추출물은 내장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아디포카인의 분비, 특히 염증성물질인 렙틴과 PAI-1의 분비를 저하시켜 아디포카인의 균형을 조절함으로써 지질대사 및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에 따른 골격근에서 운동훈련에 의한 자식작용 반응 (The Autophagic Response to Exercise Training of the Skeletal Muscle Fibers in Young and Old Mice)

  • 김용안;김영상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00-405
    • /
    • 2011
  • Autophagy는 항상성 유지와 스트레스반응을 효율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필수적인 세포 내 질적 조절작용이다. 노화가 진행되는 동안 autopahgy에 의한 degradation 효율성 저하와 그로 인한 세포 내 부산물의 축적이 증가하여 결국, 근육의 약화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골격근에서 운동에 의한 autopahgy 관련 단백질의 변화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4마리의 Young 그룹과 Old 그룹을 나누어 각각 대조군(n=6)과 운동군(n=6)으로 배정하였다. 운동은 8주간 주 5회 실시하였고, 트레드밀 속도 16.4 m/min와 경사도 4%로 설정하여 40분간 지속적인 운동을 실시하였다. autopahgy 관련 단백질에 대한 검증 결과 Young 그룹과 비교하여 Old 그룹에서 LC3-1, Beclin-1, Atg7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8주간의 규칙적인 운동에 의하여 autophagy 관련 단백질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화에 의해 약화된 autopahgy 기능은 규칙적인 운동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간엽줄기세포의 노화에 따른 후생유전학적 변화 (Epigenomic Alteration in Replicative Senescent-mesenchymal Stem Cells)

  • 오윤서;조광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24-731
    • /
    • 2015
  • 중간엽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의 한 종류로, 자기재생산능력(self-renwal)과 다분화능(multipotency)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자양인자(trophic factors)들을 분비한다. 뿐만 아니라, 중간엽줄기세포는 골수, 지방, 탯줄과 같은 조직에서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줄기세포치료에 좋은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줄기세포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추출한 세포의 개체 수를 늘리는 과정에서 중간엽줄기세포는 점차적인 노화를 겪게 되고, 이는 줄기세포 자체의 기능적인 감소를 야기한다. 인체 내에서, 노화된 줄기세포는 조직 내의 항상성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치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퇴행성 질환의 원인이 된다.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중간엽줄기세포가 노화를 겪을 때, 노화 관련된 DNA 메틸화 패턴의 변화와 히스톤의 변형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간엽줄기세포의 노화에 있어서 DNA 메틸화효소(DNA methyltransferase) 억제제와 히스톤 아세틸화효소(histone deacetylase) 억제제가 부분적으로 노화를 개선하는 효과를 관찰한 연구사례들이 있다. 본 총설에서는, 노화에 따른 후생유전학적인 변화에 의해, 조절되는 노화 관련 유전자들과 중간엽줄기세포의 노화에 대한 연구사례들을 분석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Bifidobacteria의 allergy 면역 조절과 synergism (Allergy Immunity Regulation and Synergism of Bifidobacteria)

  • 조광근;최인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82-499
    • /
    • 2017
  • Allergy 질환은 지난 십여년 동안 개발도상국을 포함해서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Allergy 염증 반응은 수지상 세포와 같은 항원제시 세포에 의한 allergy 항원섭취를 시작으로 하여 Th2 면역 반응에 의해서 일어난다. 장내 미생물은 신체의 대사나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고, 생애 초기의 면역 체계 성숙과 일생 동안 면역 체계 항상성 및 상피세포 총체성에 기여한다. Bifidobacteria는 Th1/Th2 balance에 strain-specific 한 면역 자극 특성을 가지며, TSLP와 IgE 발현을 억제 시키고 Flg과 FoxP3 발현을 촉진 시켜 allergy를 완화시킨다. 또한 Unmethylated CpG motif ODN은 B 세포와 수지상 세포의 TLR9에 의해 인식 되어 선천성과 적응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Clostridium butyricum에 의해서 생산된 butyrate는 수지상 세포의 anti-inflammatory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GPR109a signaling pathway를 활성화시키고, GPR43 활성화를 통하여 tTreg 세포 proliferation을 직접 자극하거나 HADC 활성을 억제시켜 Foxp3 gene intronic enhancer의 histone H3 acetylation을 통해 naive $CD4^+$ T 세포를 pTreg 세포로 분화시킨다.

반려견 장내미생물의 조성, 다양성, 관련 질환 및 치료에 대한 이해: 친구인가 적인가? (The Comprehension of Composition, Diversity, Related Diseases, and Treatment of the Gut Microbiome in Companion Dogs: Friend or Foe?)

  • 최정현;홍용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021-1032
    • /
    • 2020
  • 전 세계적으로 반려동물과 반려동물 양육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사업은 고급화, 전문화되고 있다. 특히, 개는 사람과 수 천년 동안 공생하고 있으며 이들은 탄수화물 식이와 더불어 사람과 비슷한 생활 방식을 영위하고 있다. 주거와 음식을 공유하며 형성된 강력한 유대관계를 통해 사람은 반려견에 대한 책임감 및 정서적 안정을 느끼며 반려견은 사람을 의지하는 행동을 보인다. 하지만 사람과 반려견 사이에는 식이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존재한다. 반려견은 본질적으로 육식성이므로, 반려견에게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식이와 기능성 물질들을 제공하는 것은 그들의 건강을 위한 장내 미생물 군집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장내미생물은 병원균과 같은 외부 유해인자로부터 반려견을 보호하고 면역계를 조절, 생리학적 항상성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최근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비정상적인 장내미생물 군집 형성은 장질환, 대사질환, 정신질환, 신경계 질환의 병리적 과정과 증상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반려견의 질병은 사람에게 기회감염을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반려견의 장내미생물의 조성, 다양성뿐만 아니라 장내미생물과 질병 사이의 상관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Silybin에 의한 Wnt/${\beta}$-catenin 신호전달체계의 활성화 (Silybin Synergizes with Wnt3a in Activation of the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through Stabilization of Intracellular ${\beta}$-Catenin Protein)

  • 김태연;오상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0-56
    • /
    • 2012
  • Wnt/${\beta}$-catenin 신호전달체계는 세포의 분화와 증식, 기관의 발생과 조절을 담당하는 중요한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이다. 발생과정에서 Wnt/${\beta}$-catenin 신호전달체계의 작용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조골세포와 신경세포로의 분화는 촉진한다는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어 있으며, 현재 Wnt/${\beta}$-catenin 신호전달체계의 조절을 통한 여러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를 기반으로 한 초고속 저분자 스크리닝 시스템을 이용하여 Wnt의 상승제인 silybin을 발굴하였다. silybin은 Wnt가 존재 않을 경우에는 ${\beta}$-catenin 단백질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Wnt가 존재할 경우, mRNA 발현양의 변화 없이 세포질내의 ${\beta}$-catenin 단백질의 수준을 증가시킨다. 또한 silybin에 의해 증가된 ${\beta}$-catenin으로 인해 지방세포분화에 중요한 전사인자라고 알려진 PPAR-${\gamma}$와 C/EBP-${\alpha}$의 발현을 억제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silybin이 세포질내 ${\beta}$-catenin 단백질의 수준을 증가시킴으로써 Wnt/${\beta}$-catenin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한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형질전환 생쥐에서 Antisense 비만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Antisense Mouse Obese Gene in Transgenic Mice)

  • 권범섭;홍권호;장정원;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9-428
    • /
    • 2000
  • 랩틴은 지방세포의 비만유전자에서 분비되는 포식인자로써 음식섭취, 에너지대사, 체중, 번식생리 및 신경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antisense 비만유전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랩틴을 분비하는 지방세포에서 RNA 를 추출한 후 역전사 PCR을 실시하여 303 bp의 anti I과 635 bp의 anti II cDNA 들을 합성하였다. 이러한 cDNA 들을 지방세포 특이적 발현 프로모터인 aP2 프로모터와 SV40 poly(A) 사이에 역방향으로 결합하여 미세주입용 유전자를 구축하였다. 생쥐의 수정란전핵에 antisense 비만유전자를 미세 주입하여 14 마리의 형질전환 생쥐를 생산하였으며, anti I 을 지닌 4 마리의 형질전환 생쥐와 anti II를 지닌 5마리의 형질전환 생쥐계통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형질전환 생쥐의 지방세포를 추출하여 RT -PCR을 실시한 결과 antisense 비만유전자 mRNA발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생산된 형질전환생쥐는 생체 랩틴저하에 의해 비만을 일으키는 질환모텔동물로써의 사용가능성을 나타내었다.

  • PDF

RAW 264.7 세포에서 Nrf2/MAPK 의 활성을 통한 HO-1 과발현에 의한 silymarin의 항산화 효과 (Enhanced Antioxidative Potential by Silymarin Treatment through the Inductionof Nrf2/MAPK Mediated HO-1 Signaling Pathway in RAW 264.7 Cells)

  • 윤현서;안현;박충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776-782
    • /
    • 2023
  • Silymarin은 간 보호, 항산화, 항염, 항암 등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잠재력과 그 기전을 세포 생존력 및 활성산소종 생성 분석과 Western blot 분석을 통해 RAW 264.7 세포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Silymarin은 세포 독성 없이 lipopolysaccharide(LPS)에 의해 자극된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하였다. 그리고 항산화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진 제2상 효소 중 하나인 heme oxygenase (HO)-1의 발현은 silymarin 처리에 의해 강하게 유도되었다. 또한 silymarin 처리는 항산화 효소의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erythroid 2 p45-related factor (Nrf)-2의 발현을 유의미하게 유도하였고, 이는 HO-1 발현증가와 일치하였다. 세포내 산화와 환원 항상성 조절과 관련된 신호 전달물질인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와 phosphoinositde 3-kinase (PI3K)의 인산화 정도 또한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 silymarin 은 p38 MAPK 인산화에 의해 HO-1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ert-butyl hydroperoxide (t-BHP)를 이용하여 세포내 지질 과산화를 유도함으로써 silymarin에 의해 유도된 HO-1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silymarin 처리에 의해 세포사멸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고, p38의 선택적 저해제를 처리한 세포군에서는 t-BHP에 의해 유의적인 세포사멸이 발생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silymarin은 Nrf-2/p38 MAPK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HO-1의 발현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항산화 효과를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