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

검색결과 3,186건 처리시간 0.046초

광도(光度)와 양료(養料) 조건(條件)을 달리 했을 때 상수리나무묘목(苗木)의 광합성(光合成)과 Ribulose-Diphosphate Carboxyl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Different Light Intensities and Nutrition Conditions on Photosynthesis and Ribulose-Diphosphate Carboxylase Activity of Quercus acutissima Carr. Seedlings)

  • 우수영;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11-20
    • /
    • 1992
  • 본(本)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자엽(子葉)의 유무(有無), 광도(光度) 및 양료조건(養料條件)을 변화(變化)시켜 주었을 때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 묘목(苗木)의 엽록소합량(葉綠素合量),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 그리고 ribulose-diphosphate(RuDP) carboxylase의 활성(活性)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마지막 수확에서 전광의 25% 조건(條件)을 제외한 모든 광도(光度) 아래서 엽록소(葉綠素) 합량(合量)은 거의 비슷했다. 2. 전광, 전광의 75% 조건(條件)에서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전광의 25% 조건보다 더 좋게 나타났다. 3. RuDP carboxylase의 활성(活性)은 광도(光度)가 증가할 수록 커졌다. 4. RuDP carboxylase 활성(活性)은 엽록소(葉綠素) a의 합량(合量)이(r=0.792) 엽록소(葉綠素) b의 합량(合量)(r=0.314) 보다 더 상관(相關) 관계가 높았다. 5. 전광의 75% 조건(條件)에서 1, 2% 양료(養料) 조건(條件)으로 사용하였을 때 RuDP carboxylase의 활성(活性)은 0.5% 양료(養料) 조건(條件)에 비해서 높았다.

  • PDF

피음처리에 따른 고려엉겅퀴와 누룩치의 생리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Cirsium setidens and Pleurospermum camtschaticum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 이경철;노희선;김종환;한상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3-161
    • /
    • 2012
  • 피음처리에 의한 고려엉겅퀴와 누룩치의 광합성 및 생장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차광막을 이용하여 전광처리구(0%), 약피음처리구(45~55%), 중간피음처리구(65~75%), 강피음처리구(88~92%) 설치하고 엽록소함량, 엽록소 형광반응, 광합성 반응 등을 조사하였다. 고려엉겅퀴와 누룩치 모두 피음처리 수준에 따라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반응, 순양자효율 등이 증가하여 빛의 흡수와 광합성 반응에 대한 효율을 높이는 내음성 적응 반응을 나타냈으며, 엽면적 SLA 역시 증가하여 부족한 광환경에서 수광량을 늘리기 위해 엽면적은 늘어나고, 엽두께는 얇아지는 형태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전광처리구에서 총 엽록소 함량, 엽록소 형광반응, 순양자효율, 기공전도도 및 기공증산속도가 비교적 낮았으며, 이는 강한 광으로 광저해 현상이 일어나 광합성 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려엉겅퀴의 강피음 처리구는 엽록소 함량도 높으며, 엽면적이 늘어나고 엽두께는 얇아져 광을 수집하기 위한 형태적인 변화도 나타나고 있으나 광선요구도보다 적은 광 환경에서 계속 생장함으로서 엽육내 $CO_2$를 효율적으로 소비하지 못하고, 수분이용효율 역시 감소되어 광합성 능력을 점점 상실해 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려엉겅퀴는 약광처리구(전광의 45~55%)에서최대광합성속도와 순양자효율이 가장 높고, 기공개폐 반응과 광화학반응 효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누룩치는 처리구간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중간피음처리구에서 최대광합성속도, 순양자수율, 기공개폐반응 및광화학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절한 피음처리를 통해 건전한 생육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고려엉겅퀴의 경우 전광을 약 45~55% 차단하고, 누룩치는 약 65~75% 차단시킨 광환경이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광강도에 따른 음나무 유묘의 생장 및 광합성 특성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Photosynthesis and Growth in Seedling of Kalopanax pictus Nakai)

  • 이철호;신창호;김규식;최명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4-249
    • /
    • 2006
  • 다양한 광환경에 대한 음나무 유묘의 생장특성과 엽록소 함량, 파장별 흡광도, 광합성 속도 등 광합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엽면적, 엽병길이 , RGR은 낮은 광조건에서 생장시킨 개체에서 크게 나타났고, SLW는 강한 광조건에서 각각 생장한 개체에서 높았다. 엽록소 함량은 염록소 a, 엽록소 b, 엽록소 a+b 함량 등은 낮은 광조건에서 생장시킨 개체에서 높았고, 엽록소 a/b 율은 강한 광조건에서 각각 생장한 개체에서 높았다. 광합성 유효파장역에서 평균 흡광값은 음엽이 0.75로 양엽의 0.70보다 높았다. 광합성 속도는 강한 광조건에서 생장한 개체가 높은 광합성 속도를 나타내었다. 광포화점은 전광조건 하에서 생육시킨 유묘에서 $700\;{\mu}mol{\cdot}m^{-2}{\cdot}s^{-1}$, 임내광 조건에서 생육시킨 조건에서 $300\;{\mu}mol{\cdot}m^{-2}{\cdot}s^{-1}$이었고, 생장상의 강광조건에서는 $500{\;}{\mu}mol{\cdot}m^{-2}{\cdot}s^{-1}$, 약광조건에서는 $300{\;}{\mu}mol{\cdot}m^{-2}{\cdot}s^{-1}$이었다.

대기오염(大氣汚染) 지역의 해송엽내(海松葉內) 수용성(水溶性) 황(黃), 불소(弗素), WAX,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 및 엽(葉) 생장(生長)의 변화와 생물지표성(生物指標性) (Contents of Sulfur, Fluorine, Wax and Chlorophyll in Needle Tissue and Needle Growth of Pinus thunbergii as Bioindicators of Air Pollution)

  • 김준선;김용환;이한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347-353
    • /
    • 1993
  • 여천공업단지(麗川工業團地)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이 해송(海松)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3개 지역에서 해송엽내(海松葉內) 오염물질(汚染物質), 엽록소(葉綠素) 및 wax함량과 침엽(針葉)의 생장량을 1991년 7월 초에서 10월 초까지 4주마다 조사하였다. 수용성(水溶性) 황(黃)과 불소(弗素)는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오염원(汚染源)에 가까운 지역일수록 높았으며 수용성(水溶性) 황(黃)은 7월 초에서 10월 초까지 큰 변동이 없었으나 불소(弗素)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은 대기오염(大氣汚染)이 경미한 지역에서는 대조지역(對照地域)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대기오염(大氣汚染)이 심한 지역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침엽(針葉)의 wax함량은 오염도(汚染度)가 높을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침엽(針葉)의 생장은 7월 초까지는 각 조사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오염지역내 해송(海松) 엽(葉)의 생장(生長)은 둔화되었다. 따라서 해송엽내(海松葉內) 수용성(水溶性) 황(黃) 및 불소함량(弗素含量)의 증가와 wax함량의 감소는 여천지역의 대기오염(大氣汚染)에 의한 것으로 생육중반 이후에는 대기오염(大氣汚染)에 대한 생물지표(生物指標)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의 감소는 오염(汚染)이 심한 지역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생물지표성(生物指標性)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침엽(針葉)의 왜소화(矮小化)는 장기간의 대기오염(大氣汚染)에 의한 영향으로 생육기 후반부에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에 침엽(針葉)의 길이만으로 대기오염(大氣汚染)을 파악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였다.

  • PDF

동해남부연안 해양환경특성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Marine Environmental Parameter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East Sea)

  • 원종호;이용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0권1호
    • /
    • pp.16-28
    • /
    • 2015
  • 동해남부연안에서 해수 중 해양환경특성의 시공간적 분포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2012년 5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계절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층수 중 영양염류(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 용존무기규소)의 농도는 봄과 여름에 비해 수직혼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가을과 겨울에 높게 나타났다. 여름에 chlorophyll a 농도가 높게 나타나 이 시기에 낮은 영양염 농도는 밀도약층의 강화로 인한 아표층으로부터 영양염류의 공급 감소와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에 의한 소비로 판단된다. 반면 봄에는 chlorophyll a 농도가 낮게 나타나 봄에 표층수 중 낮은 영양염 농도는 육상 및 아표층으로부터 영양염류의 공급 감소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기간 동안 표층수와 저층수 중 용존무기질소와 용존무기인의 비는 각각 연평균 15.6, 14.8로 유사하였으나, 표준편차는 각각 13.6, 4.2로 표층수가 저층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특히, 봄에 용존무기질소에 대한 용존무기인의 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평균 $8.35{\pm}4.67$) 이 시기에 용존무기질소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제한인자로써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분무건조를 이용한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 (Encapsulation of Avocado Oil Using Spray Drying)

  • 배은경;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03-310
    • /
    • 2008
  • 아보카도 오일의 산업적인 이용성을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무건조기술을 이용하여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캡슐화된 샘플내의 오일과 오일자체만을 4, 25, $60^{\circ}C$ 온도의 암조건에서 8주 동안 저장하여 TBA값을 측정한 결과, 캡슐 속의 오일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산화에 더 안정하였다. 대조군의 TBA 형성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고 5주째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캡슐화된 샘플 내에서의 TBA 값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캡슐화된 샘플의 TBA 값은 아보카도 오일내의 MDA형성을 저지시켜 산화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분무 건조된 분말의 가운데서는 단백질의 함량이 커질수록 그 안정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안정성을 60oC의 저장조건에서 비교한 결과 캡슐화된 시료 내에서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저장된 샘플 내 오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을 관찰할 수는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L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며,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TBA 값 및 클로로필 함량, 색도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가 산화를 억제하고 관능적인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임을 나타낸다.아보카도 오일의 산업적인 이용성을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무건조기술을 이용하여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캡슐화된 샘플내의 오일과 오일자체만을 4, 25, 60oC 온도의 암조건에서 8주 동안 저장하여 TBA값을 측정한 결과, 캡슐 속의 오일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산화에 더 안정하였다. 대조군의 TBA 형성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고 5주째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캡슐화된 샘플 내에서의 TBA 값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캡슐화된 샘플의 TBA 값은 아보카도 오일내의 MDA형성을 저지시켜 산화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분무 건조된 분말의 가운데서는 단백질의 함량이 커질수록 그 안정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안정성을 $60^{\circ}C$의 저장조건에서 비교한 결과 캡슐화된 시료 내에서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저장된 샘플 내 오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을 관찰할 수는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L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며,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TBA 값 및 클로로필 함량, 색도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가 산화를 억제하고 관능적인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임을 나타낸다.

참나무속 5종의 오존 독성에 대한 생리생화학적 반응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to Ozone Toxicity in Five Species of genus Quercus Seedlings)

  • 김두현;한심희;구자정;이갑연;김판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7-57
    • /
    • 2008
  • 오존에 노출된 참나무속 5종의 오존에 대한 내성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리생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150ppb 오존에 노출된 참나무속 5종(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대왕참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의 잎에서 엽록소 함량, 광합성 특성, MDA 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이 측정되었다. 엽록소, 카로테노이드 함량, 순광합성 속도 및 탄소고정효율은 오존 처리 후에 감소하였다. 오존에 노출된 수목의 총 엽록소 함량과 탄소고정효율의 감소율은 갈참나무의 경우 15%와 34% 였으며, 굴참나무의 경우 38.3%와 62.1%였다. MDA 함량은 오존 처리 하에서 증가하였으며, 상수리나무에서 140%까지 증가를 보였다. 상수리나무의 SOD 활성 증가율(60%)은 가장 높았으며, APX 활성은 굴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에서 증가를 보였다. 생리생화학적 반응을 기초로 한 참나무속 5종의 내성 능력은 갈참나무, 대왕참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엽록소 함량, 광합성 특성, MDA 함량, 항산화효소와 같은 생리학적 지표들은 오존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평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지표들로 생각되며, 이러한 모수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해저퇴적물의 광합성 색소 유도체 함량분포에 의한 마산만 부영양화진행과정 추정 (A Study on the Evolution of Eutrophicatioin in Masan Bay by Analyses of Pigment Derivatives from a Sediment Column)

  • 정창수;김석현;강동진;박용철;윤철호;홍기훈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2호
    • /
    • pp.101-106
    • /
    • 1999
  • 마산만 부영양화 진행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4년 1월 모도부근 해저 주상퇴적물에 들어있는 엽록소 a, 유기탄소 및 유기물의 탄소 안정동위원소비(${\delta}^{13}C$) 수직분포를 조사하였다. 엽록소 a와 유기탄소함량은 퇴적물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0~20 cm 깊이까지 평균 엽록소 a함량(페오피틴 a 제외)과 유기탄소함량은 각각 9.6 ${\mu}g\;g^{-1}$(건조중량), 2.5%로서 높다. 퇴적물중 엽록소 a 함량 수직분포와 퇴적율 및 분해속도를 근거로 추정하면 마산만 부영양화는 약 1960년대부터 가속화된 것으로 예상된다. 유기탄소:엽록소 a 비가 25라 가정한다면 해저최적물로 향하는 유기탄소 플럭스는 약 10 $gCm^{-2}yr^{-1}$이다. 이는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고정된 탄소중 약 1.3%가 해저에 축적됨을 암시한다.

  • PDF

금강 하구역에서 영양염류, 엽록소, 부유물질과 염분변화에 대한 500일간의 연속관측 (500-days Continuous Observation of Nutrients, Chlorophyll Suspended Solid and Salinity in the Keum Estuary, Korea)

  • 이용혁;양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1호
    • /
    • pp.1-7
    • /
    • 1997
  • 군산 하구역에서 해양학적 환경의 시간적 변화양상을 이해하고 하구언 축조 이후 갑문의 조작에 의한 환경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5년 6월부터 1996년 9월까지 약 500일간 매일 관측을 하였다. 조사대상 항목은 해양환경의 일반적인 조사대상인 영양염, 엽록소, 부유현탁물질 그리고 염분이었으며, 이들 자료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조석자료를 이용하였고, 또한 보조자료로서 기온, 강우량, 풍속등 기상 자료와 금강 하구언의 담수 방출량과 같은 하구언의 갑문조작 효과도 그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조석 위상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4월에 26시간, 7월에 19시간에 걸쳐 시간별로 연속조사를 병행하였다. 시간별 조사에서 염분의 변화양상은 조위에 비례관계를 보였으며, 부유현탁물질과 엽록소는 창 낙조 사이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영양염류는 염분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500일 연속 관측에서 염분은 당수 방출량과 반비례하며, 엽록소는 봄철에 높은 농도를 보였다. 각 영양염류는 변화양상이 유사하였고, 염분과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었다. 부유현탁물질은 15일 주기인 조석 주기(neap-spring tide cycle)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홍수기에는 담수 방출량에 의하여 주로 결정되었다. 금강 하구언의 갑문을 조작하기 이전과 비교해 볼 때 담수의 방출은 우기에 집중되고 있으며, 조류의 감소, 부유물질의 감소, 영양염류와 엽록소의 증가를 보였다.

  • PDF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 예측 모델을 위한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 알고리즘의 적용 (Application of Particle Swarm Optimization(PSO) for Prediction of Water Qua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s of Korea)

  • 권용수;배미정;황순진;박영석
    • 생태와환경
    • /
    • 제41권spc호
    • /
    • pp.11-2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농림부와 환경부의 전국수질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2002년 9월 전후에 조사된 전국 290개 농업용 저수지의 Chl-${\alpha}$ 농도를 예측하였다. 우리나라 290개 농업용 저수지의 9월 전후 영양상태를 분류한 결과, 부영양 상태 이상을 나타내는 저수지가 $TSI_{CHL}\;64.1%,\;TSI_{TP}\;75.5%$로 대부분의 저수지가 높은 부영양화 상태를 보였다. 이렇게 분류된 저수지의 영양 상태를 환경특성에 따라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판별적중률은 약 60%를 보였다. 판별분석의 결과에 정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그룹은 영양상태에 따라 구분이 되었으며, COD, DO, TP등이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또한 MLP-PSO 모델을 이용하여 부영양화에 따른 저수지 수질을 예측한 결과 높은 예측력을 보였으며 (r=0.831, p<0.05), 민감도 분석 결과 COD와 TP가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고도 및 제방 높이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