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isolv^{T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초

$Carisolv^{TM}$의 사용이 복합레진 수복물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ISOLV^{TM}$ ON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7-53
    • /
    • 2003
  • 본 연구는 영구치와 유치의 상아질 표면에 상품화된 화학기계적 우식치질 제거용액인 $Carisolv^{TM}$(MediTeam, Sweden)를 사용하고 복합레진을 접착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함으로써 $Carisolv^{TM}$의 사용이 복합레진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하여 발거된 상, 하악 소구치 80개와 정상적으로 탈락한 손상이 없이 건전한 상악 유전치 80개의 순, 협면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Carisolv^{TM}$를 실험군은 60초 적용하고 대조군은 $Carisolv^{TM}$를 사용하지 않았다. 상아질 접착제는 Scotchbond Multi-Purpose(3M, USA), Single Bond(3M, USA), Clearfil SE Bond(Kuraray, Japan), AQ Bond(Sun Medical, Japan)를 각각 제조사의 지시대로 적용하였고 광중합형 복합레진은 Z100(3M, USA)을 사용하였다. $5^{\circ}C$$55^{\circ}C$에 각 30초씩 계류시켜 1,000회 열순환시키고 Universal Testing Machine(Zwick Z020, Zwick Co., Germany)을 사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군간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유치에 비해 영구치의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영구치에서는 Clearfil SE Bond만 사용한 군에서 가장 높았고 $Carisolv^{TM}$와 AQ Bond를 병용한 군에서 가장 낮았다. 2. $Carisolv^{TM}$ 사용하지 않은 군과 사용한 군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Carisolv^{TM}$를 사용한 군이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01). 3.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AQ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낮았다.

  • PDF

$Carisolv^{TM}$ 에 의한 우식제거후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 OF DENTIN TREATED BY $CARISOLV^{TM}$)

  • 백병주;권병우;김재곤;전철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89-396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형적인 우식제거(bur)와 기계화학적으로 제거된 상아질($Carisolv^{TM}$)의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를 비교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결합 system이 사용되었다; AB: All Bond 2(3M, USA), PB: Prime & Bond 2.1(Dentsply, DE), AQ: AQ Bond(sun medical, Japan). 교합면 우식증을 가지고 있는 42개의 사람 대구치를 6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그룹은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Carisolv^{TM}$를 적용한 그룹 A, B, C와 bur를 사용한 그룹 D, E, F, A와 D 그룹에서는 AB가 상아질 결합제로 사용하였고, 그룹 B, E는 PB를 그룹 C, F는 AQ를 사용하였다. 그 후 와동은 복합레진(Z-100)으로 충전하였다. 각각의 시편을 0.7 mm 두께로 자르고 0.7 mm의 넓이로 다시 잘랐다.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 test는 $0.5\;mm/min^{-1}$의 crosshead에서 시행하여 파절면을 scanning electron microscope(JSM-6400, Jeol, Japan)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arisolv^{TM}$로 우식을 제거했을 때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는 bur를 사용한 것에 비해서 75.8-80%로 감소하였다(p<0.05). 2. $Carisolv^{TM}$로 우식을 제거했을 때 Microtensile bonding strength가 감소된 정도는 상아질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각 군별로 차이가 없었다(p<0.05). 3. $Carisolv^{TM}$로 우식을 제거했을 때 All bonds는 32.6 MPa, Prime & bond는 30.1 Mpa, AQ bond는 21.2 Mpa이었다. 4. Bur와 $Carisolv^{TM}$로 우식제거시 AQ bond는 All bond와 Prime & bond 2.1보다 유의하게 낮은 결합강도를 가졌다(p<0.01).

  • PDF

화학-기계적 우식 제거법을 이용한 유구치 우식의 치료: 증례보고 (CHEMO-MECHANICAL REMOVAL OF CARIES IN PRIMARY MOLAR: REPORT OF 2 CASES)

  • 이혁상;이재천;김영재;김정욱;김종철;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9-303
    • /
    • 2004
  • 전통적인 bur에 의한 우식치질의 삭제는 진동과 열에 의한 자극을 초래하기 때문에 아이들은 치과에 가는 것을 무서워한다. 최근 전통적인 방법을 대체하는 방법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고, 화학-기계적인 우식 제거법 역시 이러한 시도 중 하나이다. $Carisolv^{TM}$는 세가지 아미노산과 낮은 농도의 sodium hypochlorite, 그리고 특별하게 고안된 수 기구로 구성된 제품이다. 본 증례는 $Carisolv^{TM}$로 치료한 두 증례를 보고한다. 우식 상아질을 $Carisolv^{TM}$ gel과 기구로 제거하고 복합레진으로 수복하였다.

  • PDF

차아염소산 나트륨의 사용이 복합레진 수복물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 SODIUM HYPOCHLORITE GEL ON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양계식;김대업;이광희;정영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4-60
    • /
    • 2003
  • 본 연구는 영구치와 유치의 상아질 표면에 상품화된 화학기계적 우식치질 제거용액인 $Carisolv^{TM}$(MediTeam, Sweden)를 사용하고 복합레진을 접착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함으로써 $Carisolv^{TM}$의 사용이 복합레진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하여 발거된 상, 하악 소구치 80개와 정상적으로 탈락한 손상이 없이 건전한 상악 유전치 80개의 순, 협면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Carisolv^{TM}$를 실험군은 60초 적용하고 대조군은 $Carisolv^{TM}$를 사용하지 않았다. 상아질 접착제는 Scotchbond Multi-Purpose(3M, USA), Single Bond(3M, USA), Clearfil SE Bond(Kuraray, Japan), AQ Bond(Sun Medical, Japan)를 각각 제조사의 지시대로 적용하였고 광중합형 복합레진은 Z100(3M, USA)을 사용하였다. $5^{\circ}C$$55^{\circ}C$에 각 30초씩 계류시켜 1,000회 열순환시키고 Universal Testing Machine(Zwick Z020, Zwick Co., Germany)을 사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 군간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유치에 비해 영구치의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영구치에서는 Clearfil SE Bond만 사용한 군에서 가장 높았고 $Carisolv^{TM}$와 AQ Bond를 병용한 군에서 가장 낮았다. 2. $Carisolv^{TM}$ 사용하지 않은 군과 사용한 군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Carisolv^{TM}$를 사용한 군이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01). 3.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AQ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낮았다.

  • PDF

Study on $Carisolv^{TM}$ from View Point of Free Radical.

  • Tsujimoto, Y.;Gomi, H.;Tsukada, N.;Hirayama, S.;Ikemi, T.;Yamazaki, M.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제116회) 및 13회 Workshop 제3회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68.2-568
    • /
    • 2001
  • $Carisolv^{TM}$ system was developed for removal of carious dentin with chemo-mechanical method by Swedish researcher. $Carisolv^{TM}$ is composed of 0.5% NaClO and three kinds of amino acid, i.e. glutamic acid, leucine and lysin. After these agents are mixed together, the gel mixed is applied to carious dentin and the carious dentin is removed with hand instrument without using burs. The mechanism of softening the dentin is postulated that the degenerated collagen by caries is chlorinated and the decomposed. But the details of the mechanism are not clarified yet.(omitted)

  • PDF

화학제재를 이용한 우식상아질 제거효과 및 레진과의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CHEMO-MECHANICAL CARIES REMOVAL SYSTEM ON THE REMOVAL OF CARIOUS DENTIN AND RESIN ADHESION TO DENTIN)

  • 강덕일;박인천;이난영;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81-592
    • /
    • 2003
  • 본연구는 유치와 영구치의 우식상아질을 제거하는 방법에 따른 상아질표면의 변화와 산부식양상, 혼성층의 양상, 그리고 이들이 상아질에 대한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92개의 유구치와 92개의 영구 구치를 준비하여 상아질 표면을 노출시키고 인공우식을 유발시켰다. 이중 32개의 유구치와 32개의 영구구치는 $Carisolv^{TM}$과 bur로 삭제후 상아질표면을 SEM관찰하였으며 나머지 치아에서는 레진-상아질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두가지 접착시스템(Single bond system, self-etching bonding system)과 한 종류의 레진(Z250, 3M)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arisolv^{TM}$의 우식치질 제거효과는 영구치보다 유치에서 더 우수하였으며, bur로 제거한 경우보다 더 거친 상아질 표면이 관찰되었다. 2. 산부식처리한 경우 유치와 영구치 모두 우식제거방법과 관계없이 도말층이 제거된 양상을 보였다. 3. Single bond system을 이용한 경우 두터운 $2-4{\mu}m$의 혼성층과 $10-15{\mu}m$의 adhesive layer가 관찰된 반면, self-etching bonding system에서는 비교적 얇은($1-2{\mu}m$) 혼성층만이 형성되었다. 4. 전단결합강도는 유치와 영구치 모두 우식제거방법에 관계없이 Single bonding agent를 적용한 경우에 self-etching bonding agent를 적용한 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5. $Carisolv^{TM}$와 self-etching bonding agent 처리군에서 bur와 self-etching system 처리군보다 다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 PDF

화학.기계적 우식제거 효능의 평가에 대한 미세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한 연구 (ASSESSMENT OF THE CHEMOMECHANICAL CARIES REMOVING EFFICACY - MICROTOMOGRAPHIC STUDY -)

  • 한수경;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6-414
    • /
    • 2003
  • 건전 치질을 최대한 보존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화학 기계적 우식 제거법이 개발되었다. 치아의 손상 없이 3차원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미세 전산화단층촬영과 V works program을 사용하여 이 방법의 우식 제거 효능을 평가하였다. 1군은 건전 상아질, 우식 상아질, 화학 기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된 와동벽의 밀도값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2군은 건전 상아질, 고속 회전 절삭 기구를 사용하여 형성된 와동벽, 여기에 추가로 화학 기계적 우식 제거 용액을 적용한 후의 와동벽의 밀도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arisolv^{TM}$로 우식을 제거한 후의 와동벽 상아질의 밀도값은 정상 상아질 밀도값의 81.8%이었다(p < 0.001). 2. Bur를 사용하여 우식을 제거한 경우에는 와동벽과 정상 상아질 밀도값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23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