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7H_7^+$

검색결과 12,540건 처리시간 0.042초

Glutary 7-Aminodeacetoxycephalosporanis Acid Acylase 생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 Producing Glutary 7-Aminodeacetoxycephalosporanis Acid Acylase)

  • 이윤진;임재윤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2-237
    • /
    • 1994
  • Glutaryl 7-aminodeacetoxycephalosporanic acid(GL-7-ADCA)로부터 7-aminodeacetoxycephalosporanic acid(7-ADCA)를 생성하는 GL-7-ADCA acylase생산균을 자연계에서 폭넓게 검색하여 한균주를 선정하고 분리균의 형태 및 생리적 성질들을 조사하여 Alcaligenes sp.로 동정하였다. 분리균의 효소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을 검토한 결과 탄소원으로는 glucose,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 monosodium L-glutamate가 우수하였다. 효소의 작용최적 pH는 8.0이며, pH7.0~pH11.0 번위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5l jar fermentor에서 배양경과를 조사한 결과 효소이 활성은 $37^{\circ}C$, 교반속도 300rpm, 통기량 1vvm 조건에서 20시간~30시간 배양시 가장 높았다.

  • PDF

$IO_4$-산화 가용성 전분에 의한 파파인의 변형 (Modification of Papain with $IO_4-Oxidized$ Soluble Starch)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9-355
    • /
    • 2007
  •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was reacted with papain at pH 4.0, pH 7.0, and pH 9.7, and an oxidized soluble starch-papain conjugate was produced. When compared with native papain, the specific activity decreased to 60%, in both the modified papain reacted with 0.4% $NaBH_4$ and in the modified papain not reacted with $NaBH_4$. The specific activity decreased to 70% in the modified papains reacted with 1.5% $NaBH_4$ and 4.0% $NaBH_4$, respectively. The reduction by $NaBH_4$ did not have an effect in the thermal stability of either the modified or nonmodified papain. An activity of 54.7% remained in the papain modified at pH 4.0, which was incubated at $80^{\circ}C$ for 40 min. The papains modified at pH 7.0 and pH 9.7 and incubated for 40 min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respectively, were stable to $60^{\circ}C$, and at $80^{\circ}C$ their activities at 56.3% and 44.1 %, respectively. The modified papain's thermal stability pattern was similar to that of native papain, with no increase in its statbility. In the range of pH $2.0{\sim}13.0$, the stability of the papain modified at pH 4.0 decreased greatly between pH $3.0{\sim}5.0$, but it was similar to the native papain at other pH values. The stability of the papain modified at pH 7.0 showed a similar pattern to the native papain at pH $2.0{\sim}6.0$, while its stability increased when moving into the alkali pH range. The papain modified at pH 9.7 also had increased stability, when moving into the alkali range. The results of Hammerstein milk casein, which was reacted with the papains modified at pH 4.0, pH 7.0, and pH 9.7, respectively, and analyzed by FPLC, showed different peaks according to the different modification pHs, and the greatest peak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the modification at pH 9.7.

pH 충격에 의한 Chlamydomonas acidophila (Chlorophyta), UTCC 122의 생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 of an Acid pH Shock on Physiological Changes of Chlamydomonas acidophila (Chlorophyta), UTCC 122)

  • 이경;기장서;김세화;한명수;최영길;유광일
    • 생태와환경
    • /
    • 제35권3호통권99호
    • /
    • pp.145-151
    • /
    • 2002
  • 녹조류 Chlamydomonas acidophia, UTCC 122균주를 이용하여 pH변화에 따른 조류의 생리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성장률(${\mu}$)은 pH 3.7${\sim}$6.7의 배양에서 $0.5{\sim}0.7\;day^{-1}$이었으며 (ANOVA, p=0.134),점차 세포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H 2.7의 배양에서는 성장하지 않았으며, 세포의 크기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배양 1일 후 엽록소 a 는 $191{\sim}255\;pg\;cell^{-1}$이었으나, 5일째는 pH 2.7배지에서 $210\;pg\;cell^{-1}$로 큰 변화가 없으며, 다른 pH의 배양에서는 $60{\sim}103\;pg\;cell^{-1}$로 감소하였다. 단위세포에 대한 엽록소의 양은 세포 체적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Carbonic anhydrase(CA)의 활성도는 $1.1{\sim}3.7{\times}10^{-4}\;E.U.\;mm^{-2}$이었으며, pH 2.7과 pH 5.7배지를 제외하고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H농도 차에 의한 비교에서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 acidophila의경우 CA분자량은 29kDa이었으며, pH농도 구배에 의한 발현 차이는 없었다. 이것은 $CO_2$$HCO_3\;^-$를 조절하는 CA가 산성에서 수소이온조절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단백질 발현양상은 41과 63kDa은 pH가 낮은 배지에서 자랄수록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17kDa단백질은 점차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 acidophila는 다른 생물과 달리 넓은 범위의 산성에서 잘 성장할 수 있으며,낮은 산성에서 자랄수록 17kDa의 단백질이 증가하는 것은 17kDa단백질이 산성에 적응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좀민들레의 약효 성분(I) -좀민들레 지상부의 Phenol 성분- (Pharmaco-constituents of Taraxacum hallaisanensis(I) -Phenolic Compounds from Aerial Part of Taraxacum hallaisanensis-)

  • 황완균;오인세;이무택;양덕숙;김일혁
    • 생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9-213
    • /
    • 1994
  • For the investigation of medicinal resources from Taraxacum species,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harmaco-constituents in the aerial part of Taroxacum hallaisanensis, an endemic plant of Korea. From BuOH fraction of the MeOH extract, compound 1 (protocatechuic acid, $C_7H_6O_4,\;3,4-dihydroxy\;benzoic\;acid)$, compound 2 $[C_{22}H_{31}O_6,\;luteolin-7-O-{\alpha}-_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_D-glucopyranoside]$, and compound 3 $[C_{15}H_{20}O_6,\;luteolin-7-O-{\beta}-_D-glucopyranoside]$ were isolated by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using polyamide and ODS-gel. The structures were elucidated by means of physico-chemical evidences($^1H-NMR,\;{12}^C-NMR$, IR, EI-Mass, FAB-Mass and GC).

  • PDF

Furfural 유도체 합성에 관한 연구 (제2보). 2-Furfural 및 5-치환 Furfural의 Oxime 생성반응 (Synthesis of Furfural Derivatives (II). Oxime Formation of 2-Furfural and Some 5-Substituted Furfurals)

  • 김용인;손주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9-148
    • /
    • 1977
  • 2-푸르푸랄과 5-알킬-2-푸르푸랄류 가운데 5-메틸-2-푸르푸랄, 5-이소프로필-2-푸르푸랄, 5-삼차부틸-2-푸르푸랄, 5-이소아밀-2-푸르푸랄, 그리고 5-니트로-2-푸르푸랄 등의 옥심 생성반응 속도 정수를 pH 7인 완충용액내 반응온도 15∼$45^{\circ}C$에서 구하였다. 이 반응은 2차반응이며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5.50, 7.22, 7.03, 7.49, 7.78 그리고 4.97 kcal/mole이다. 5-알킬-2-푸르푸랄류에 대하여는 Hammett식이 성립되고 반응온도 15, 25, 35, $45^{\circ}C$에서 반응정수는 각각 2.010, 1.756, 1.541, 1.311 등이 계산되었다.

  • PDF

저장조건에 따른 생물전환 발효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의 안정성 조사 (Stability of Ethanolic Extract from Fermented Cirsium setidens Nakai by Bioconversion during Different Storing Conditions)

  • 이진하;문석용;조봉연;최선일;정태동;최승현;김종대;이옥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88-3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생물전환 발효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을 온도별(4, 25 및 $50^{\circ}C$), pH별(4.0, 7.0, 및 10.0)로 21일간 저장하면서 7일 간격으로 pectolinarin과 pectolinarigenin 함량,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FRAP를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발효고려엉겅퀴 추출물인 pectolinarin과 pectolinarigenin 함량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온도에 의한 영향보다 pH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pH 10.0에서 pectolinarin의 함량 변화는 초기 $2.13{\pm}0.05mg/g$에서 $1.60{\pm}0.01mg/g$으로, pectolinarigenin 함량 변화는 $24.96{\pm}0.07mg/g$에서 $0.45{\pm}0.02mg/g$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총 페놀 함량도 저장기간이 따라 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circ}C$와 pH 10.0에서 큰 감소치를 보였다. 항산화 안정성은 온도별 저장조건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H 10.0에서는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FRAP은 온도별, pH별 저장조건에 따른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저장 온도별, pH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생물전환 발효고려엉겅퀴 주정 추출물은 저온($4^{\circ}C$)에서 산성(pH 4.0)과 중성(pH 7.0) 상태에서 안정하였다.

말쥐치피 및 대구피 콜라겐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lefish and Cod Skin Collagen)

  • 김세권;강옥주;곽동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3호
    • /
    • pp.163-171
    • /
    • 1993
  • 말쥐치피 및 대구피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여 그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아미노산 조성 중 glutamic acid, hydroxyproline, valine 및 phenylalanine은 말쥐치피 콜라겐이 대구피 콜라겐보다 함량이 높았으나, glycine, proline 및 serine은 오히려 낮았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말쥐치피 콜라겐이 1,000잔기 중 265잔기로 대구피의 229잔기보다 높았다. 말쥐치 및 대구피 콜라겐의 용해도는 모두 pH 7.0에서 가장 낮았으며, pH 5.0 이하의 산성영역에서 용해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점도는 말쥐치피 콜라겐이 대구피 콜라겐보다 높았으며, 각각 pH 4.0 및 pH 2.0에서 가장 높았으나, pH 7.0에서는 모두 가장 낮았다. 콜라겐의 변성온도는 말쥐치피 콜라겐이 $25^{\circ}C$로 대구피의 $17^{\circ}C$보다 높았다. 콜라겐 구성 아미노산의 측쇄 중 소수성 잔기의 노출 정도는 대구피 콜라겐이 $50^{\circ}C$, 말쥐치피 콜라겐은 $60^{\circ}C$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구피 콜라겐이 말쥐치피 콜라겐에 비해 표면 소수성 노출 정도가 약간 높았다. 보수력은 pH 7.0에서 모두 가장 낮았으며, 대구피 콜라겐이 말쥐치 콜라겐에 비해 높았다. 유화성 및 유화안정성은 대구피 콜라겐이 말쥐치피 콜라겐보다 우수하였다.

  • PDF

다공성 (Ca,Mg)0.15Zr0.7O1.7 세라믹스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rous (Ca,Mg)0.15Zr0.7O1.7 ceramics)

  • 김복희;김상희;최은실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0-74
    • /
    • 2011
  • 다공성 $(Ca,Mg)_{0.15}Zr_{0.7}O_{1.7}$ 세라믹스를 제조하고 기공률 및 기계적 강도를 측정하여 SOFC 세라믹 지지체로서 응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출발물질로 $ZrO(NO_3)_2{\cdot}2H_2O$를 선정하고 이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glycine을 첨가하여 glycine 연소법으로 $ZrO_2$ 분말을 합성하고 $800^{\circ}C$에서 하소하여 $ZrO_2$ 원으로 사용하였다. 합성한 $ZrO_2$ 분말, dolomite, 그리고 pore former로 carbon black을 혼합하고 $1200{\sim}1400^{\circ}C$로 소성하여 다공성 $(Ca,Mg)_{0.15}Zr_{0.7}O_{1.7}$ 세라믹스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Ca,Mg)_{0.15}Zr_{0.7}O_{1.7}$ 세라믹스의 결정상은 단일상의 cubic상이었다. $1300^{\circ}C$ 에서 소성한 $(Ca,Mg)_{0.15}Zr_{0.7}O_{1.7}$ 세라믹 소결체는 carbon black의 양이 증가할수록 기공률이 32 %에서 55 %까지 증가하였으며 기계적 강도는 90 MPa로부터 30 MPa까지 감소하였다.

고온성 사상균의 효소에 관한 연구 (제5보) Xylanase의 정제 (Studies on Enzyme of the the Thermophilic Mold (PartV.) Purification of Xylanase)

  • 김관;김양희;정동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33-140
    • /
    • 1974
  • 1. 고온성 사상균인 Myriococcum albomyces의 밀기울 액체배양액에는 xylanase 활성이 있다. 2. Xylanase의 최적 pH는 5.0이었다. 그리고 xylanase의 pH 안정범위는 pH 4.0~7.0 이었다. 3. Xylanase의 최적온도는 5$0^{\circ}C$ 이었다. 4. Xylanase의 열안정성은 $65^{\circ}C$에서 65분간 안전하였다. 5. 액체 배양약은 SE-Sephadex, DEAE-Sepadex 및 Sephadex G-100 column chronatography 로 2종의 xylanase(A. B)를 분리하였다. 6. 정제 xylanase A는 액화형의 xylanase이고 정제 xylanase B는 당화형의 xylanase이었다. 7. 정제 xylanase A의 최적 pH는 4.0, pH 안정성 3.0~8.0 온도안정성은 7$0^{\circ}C$에서 60분간이었고 정제 xylanase B의 최적 pH 5.0 pH, 안정성 4.0~8.5 온도 안정성은 $65^{\circ}C$에서 60분간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