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3A$ content

검색결과 6,840건 처리시간 0.043초

Comparison of Total Protein, DNA, and RNA Contents by Corpus Luteum in Various Stages of Estrous Cycle and Pregnancy

  • K. S. Baek;Kim, Y. S.;Lee, C. N.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9-79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total protein, DNA, and RNA contents of corpus luteum(CL) in various stages of estrous cycle and pregnancy. CLs were collected from a local slaughterhouse and stages of the estrous cycle of CL were classified as CL1~2, days 1 to 10; CL3(with/without central cavity), days 11 to 17; CL4, days 18 to 20 by method of Ireland et. al(1980) and stages of the pregnancy of CL were classified as P1~3, months 11~3: P4~6, months 4~6; P7~9, months 7~9 of pregnancy. CL3 with/without central cavity(CC) was identified as described by Kastelic et. al.(1990)-CL with CC, more than 2mm in diameter; CL without CC, less than 2mm in diameter. In total protein content, CL3 with CC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P7~9(p<.05). The total DNA content was lower in CL3 with CC than CL3 without CC and CL4(p<.05). In protein : DNA ratio, CL3 with CC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L4(p<.05), CL3 without CC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P7~9(p<.05), CL4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L3 with CC, P1~3 and P7~9(p<.05).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RNA content, protein:RNA ratio, RNA/DNA of CLs in stages of estrous cycle and pregnancy.

  • PDF

파라포름알데히드 처리(處理)에 의한 상수리나무 건식섬유판(乾式纖維板)의 재질개량(材質改良) (Upgrading the Quality of Silk Worm Oak(Quercus acutissima Carr.) Fiberboard through Paraformaldehyde Treatment by the Dry Forming Process)

  • 구자운;신동소;심종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89-189
    • /
    • 198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making fiberboard through the dry forming process, utilizing the tannin-like material of the Asplund pulp from the silk worm oak as a binder. The fiberboard was made through paraformaldehyde treatment, spray of NaOH solution and adjustment of mat moisture content, by hot-pressing at $220^{\circ}C$, and 50-6-50kg/$cm^2$ pressure with 6-min. (0.6-1.8-3.6) three-stage pressing cycl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dulus of rupture value of fiberboard treated with NaOH solu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untreated. The value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paraformaldehyde content from I to 5%, but there was no increasing between 5 and 7% paraformaldehyde content. The value became higher along with the increase of mat moisture content from 15% to 25%. 2. The water adsorption of fiberboard treated with NaOH solution was lower than that of untreated. The value was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paraformaldehyde content from 1 to 5%, but there was no decreasing between 5 and 7% paraformaldehyde content.. 3. A good quality fiberboard (modulus of rupture value of about 250kg/$cm^2$) was made through 5% paraformaidehyde treatment and 3% treatment of 10% NaOH solution, when the mat moisture content was 25%. was 25%.

  • PDF

반응표면 분석을 이용한 사과.당근 혼합주스의 청징공정 최적화 (Use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Optimization of Clarified Mixed Apple and Carrot Juice Production)

  • 석은주;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51-1056
    • /
    • 2006
  • 온도와 ATP 증가에 따라 사과.당근 배합비율과 상관없이 혼합주스의 투과플럭스가 비례적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온도변화에 따른 투과플럭스의 증가가 뚜렷했다. 사과와 당근비가 3:1인 실험구에서 가용성 고형분과 총당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고, 가용성 고형분의 경우 시료배합비율의 영향이, 총당의 경우 온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배합비율에 따른 비타민 C 함량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당근의 함량이 많을수록 비타민 C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고, 압력증가에 따른 비타민 C 함량 증가가 뚜렷했다. 사과의 함량이 높을수록 산도도 높았고, 온도증가에 따른 산도의 증가도 뚜렷했다. 한외여과 결과, 전 시료에 걸쳐 우수한 청징효과를 나타내었고, 사과와 당근비가 3:1인 실험구에서 그 청징효과가 두드러졌으며, 또한 점도변화도 가장 컸다. 또한 공정최적화 결과 공정온도 및 ATP가 각각 $44.97^{\circ}C$, 113.57 kPa이고 사과의 혼합비율이 28.50%인 경우 $flux=0.216\;L/m^2.h$, soluble $solids=10.39^{\circ}Brix$, total sugar=71.32 mg/mL, vitamin C=315.18 mg%, acidity=7.78 mL, turbidity=0.017, viscosity=1.44 cp인 사과.당근 혼합과채주스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근 인삼의 효소적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4 Year-old Ginseng by Enzymatic Hydrolysis Conditions)

  • 임가영;마진열;김건우;최진국;강동균;권태룡;장세영;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9-2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4년근 인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효소적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인삼은 증숙 후 분쇄하여 가수분해 효소제 A, B, C 및 D 4종에 처리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pH 5.5~5.6, 당도 4.0~4.33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조사포닌 함량은 D 효소제에서 가장 높았으며, B, C 및 A 순으로 나타났다. D 효소제의 농도 0.3%(w/w)까지 조사포닌, 환원당 및 총당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이후에는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가수분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효성분이 증가하였으나 3시간 이후 큰 변화는 없었으며, $60^{\circ}C$로 처리하였을 때 조사포닌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 D 효소제, 효소제 농도 0.3% (w/w)로 $60^{\circ}C$에서 3시간의 조건이 가장 적합한 나타났으며 이때 환원당, 총당 및 조사포닌 함량은 각각 18.11, 36.21 및 4.23 mg/g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효소적 가수분해 방법은 4년근 인삼의 유효성분 증가에 효과적으로 다양한 활용 방법이 기대되었다.

건조 및 침출 조건에 따른 섬애약쑥 침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umaeyaksuk tea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drying and extract conditions)

  • 황초롱;서원택;강민정;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6-553
    • /
    • 2013
  • 경남 남해군에서 자생하며 황해쑥의 변종으로 확인되어 품종 출원 추진 중인 섬액약쑥(A. argyi)을 차로 음용하기 위하여 숙성기간과 침출온도에 따른 침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 하였다. 천일 건조한 쑥을 대조군(RC)으로 하고 $60^{\circ}C$의 항온기에서 3.5(HA), 7(HB) 및 14(HC) 일간 숙성하여 제조한 쑥을 차로 음용 할 때의 최저($60^{\circ}C$) 및 최고($95^{\circ}C$) 온도에서 각각 침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60^{\circ}C$$95^{\circ}C$에서 침출한 HA 시료에서 각각 $0.52{\pm}0.18%$$0.92{\pm}0.18%$로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환원당 함량은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더 높아 RC 시료의 경우 $95^{\circ}C$ 침출시 $9.55{\pm}0.18mg/g$으로 $60^{\circ}C$ 침출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반면, 숙성기간에 따른 함량 차는 적어 $60^{\circ}C$에서 침출한 HA~HC 시료의 환원당은 $10.08{\pm}0.03{\sim}10.64{\pm}0.03mg/g$의 범위였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60^{\circ}C$에서 침출하였을 때 $2.30{\pm}0.21{\sim}7.02{\pm}0.22mg/g$이었고, $95^{\circ}C$에서 침출하였을 때는 $3.36{\pm}0.13{\sim}9.88{\pm}0.23mg/g$으로 높은 온도에서 침출할 때 더 높았다. 전처리 기간이 동일한 RC와 HA 시료를 각각 $60^{\circ}C$에서 침출하였을 때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처리된 시료일수록 활성이 더 증가하였다. FRAP는 침출 온도가 높을 때 활성이 높아, RC 시료의 경우 $60^{\circ}C(83.88{\pm}0.43{\mu}M)$ 보다 $95^{\circ}C$에서 침출 하였을 때 $181.28{\pm}2.90{\mu}M$로 활성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섬애약쑥은 숙성 처리 후 높은 온도에서 침출하여 음용할 때 유용성분의 섭취가 더 용이하며, 항산화활성도 더 우수하였다.

지방원으로 전지대두와 아마종실의 첨가가 반추위내 건물과 C18계-불포화지방산의 조성과 소실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ll-Fat Soybeans and Linseed as Dietary Fat Sources on In Vitro Ruminal Disappearances of Dry Matter and C18-Unsaturated Fatty Acids and Fatty Acids Profile)

  • 이성훈;최낙진;맹원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443-454
    • /
    • 2003
  • 본 연구는 불포화지방산원으로서 C18:2n-6이 풍부한 전지대두와 C18:3n-3이 풍부한 아마종실을 반추동물사료에 18% 배합하였을 때 반추위내 건물소실율과 불포화지방산 소실율 및 조성을 조사하기 위해 in vitro 배양장치에서 실시하였다. 배양시간은 0, 3, 6, 12, 24, 48, 72시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배양 종료 후 각각의 medium digesta는 동결 건조하여 건물과 각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배양 3시간까지는 전지대두와 아마종실의 건물소실율에 차이가 없었으나, 배양 6시간이후부터는 아마종실이 전지대두보다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p< 0.01). 하지만, 배양 48시간이후부터는 두 처리구간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한편 가스생성량은 건물소실율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어 아마종실이 전지대두보다 발효산물인 가스를 보다 많이 생성하나 두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C18:0 함량은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지대두와 아마종실 공히 증가하였고, 전지대두가 아마종실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C18:1 조성은 전지대두가 아마종실구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C18:2와 C18:3의 digesta내 조성은 반추위내 수소첨가현상으로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Digesta내 C18:2 함량은 C18:2가 풍부한 전지대두가 아마종실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C18:3 함량은 C18:3이 풍부한 아마종실이 전지대두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01). 순수 C18:0 생산량 (%)은 C18:2n-6 함량이 풍부한 전지대두가 배양종료 후 332.24%로 아마종실의 133.16%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C18:1 소실율은 전지대두가 아마종실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p<0.05), 특히 배양 3, 6, 12, 24시간에서 전지대두 처리구가 음 (-)값을 나타내었다. C18:2의 소실율은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배양 72시간에 두 처리구 평균 93.31%로 광범위하게 소실되었으나, 처리구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C18:3 소실율은 C18:2 소실율과 마찬가지로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아마종실이 전지대두에 비하여 배양 6시간이후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C18계 불포화지방산 소실율은 아마종실이 전지대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전지대두와 아마종실은 반추동물의 식품 내 유익한 불포화지방산이 침착하는데 충분한 가치가 있는 불포화지방산원이었고, C18계 불포화지방산은 반추위내에서 광범위하게 수소첨가되었다. 아울러 전지대두는 아마종실보다 complete biohydrogenation이 증가하였고, digesta 내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사료 중 불포화지방산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폴리머용액법 및 알루미나 seed를 도입한 YAG:Ce3+ 형광체 분말 합성 (Synthesis of YAG:Ce3+ Phosphor Powders by Polymer Solution Route and Alumina Seed Application)

  • 김용현;이상진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2
    • /
    • 2013
  • $YAG:Ce^{3+}$ phosphor powders were synthesized using a $Al_2O_3$ seed (average particle size: 5 ${\mu}m$) by the polymer solution route. PVA solution was added to the sol precursors consisting of the seed powder and metal nitrate salts for homogeneous mixing in atomic scale. All dried precursor gels were calcined at $500^{\circ}C$ and then heated at $1400^{\circ}C{\sim}1500^{\circ}C$ in $N_2/H_2$ atmosphere. The final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XRD, SEM, PSA, PL and PKG test. All synthesized powders were crystallized to YAG phase without intermediate phases of YAM or YAP. The phosphor properties and morphologies of the synthesized powders were strongly dependent on the PVA content. Finally, the synthesized $YAG:Ce^{3+}$ phosphor powder heated at $1500^{\circ}C$, which is prepared from 12:1 PVA content and has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5 ${\mu}m$, showed similar phosphor properties to a commercial phosphor powder.

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6. 천연 및 양식 가물치의 지질성분 비교 (Studies on Lipids in Fresh-Water Fishes 6.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between Wild and Cultured Snakehead, Channa argus)

  • 최진호;배태진;변대석;윤태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9-315
    • /
    • 1985
  • 양식 가물치의 품질을 지질성분면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천연 및 양식 가물치의 지질 조성 및 이들 지질의 구성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하고, 양식 가물치의 지방산과 사료 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지질 함량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높았으며 부위별로는 내장부가 가식부 보다 훨씬 높았다. 2. 지질 조성은 천연산과 양식산이 다같이 중성지질의 함량이 가장 높고, 인지질, 당지질의 순이었다. 중성지질의 조성은 가식부는 TG의 함량이, 내장부는 ES 및 HC의 함량이 높았으며, 인지질의 조성은 가식부 및 내장부가 다 같이 PC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PE 였다. 이런 경향은 천연산과 양식산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3. 가식부의 중성지질의 지방산 함양은 $C_{14:0},\;C_{16:0},\;C_{18:1},\;C_{20:5},\;C_{22:5},\;C_{22:6}$산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높은 반면 $C_{18:0},\;C_{16:1},\;C_{18:2},\;C_{18:3},\;C_{20:4},\;C_{22:4}$산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낮았다. 인지질의 경우에는 $C_{16:0},\;C_{18:1},\;C_{22:6}$산은 양식산의 천연산 보다 높은 반면 $C_{16:1},\;C_{18:2},\;C_{18:3},\;C_{20:4},\;C_{22:4},\;C_{22:5}$산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낮았다. 4. 불포화도(TUFA/TSFA)와 w3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w3 HUFA)은 중성지질은 양식산이 천연산 보다, 또 인지질은 천연산이 양식산 보다 높았다. 그러나 필수지방산 함양(TEFA)은 중성 및 인지질에서 다같이 천연산이 양식산 보다 높았다. 5. 사료 지방산(B)에 대한 양식 가물치 지방산(A)의 비(A/B)를 보면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및 docosahexaenoic acid 의 A/B비가 $0.35{\sim}2.04$로 아주 낮아, 이들 불포화지방산의 polyene 산의 생합성에 관계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저온처리가 케일(Brassica oleracea)잎 내 Carotenoid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d Stress on Carotenoids in Kale Leaves (Brassica oleracea))

  • 황소정;천진혁;김선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6-112
    • /
    • 2017
  • BACKGROUND: Kale (Brassica oleracea) biosynthesizes various phytochemicals including glucosinolates, flavonoids, and carotenoids. Phytochemicals of plants are influenced by light, temperature, carbon dioxide, and growing conditions. Specifically, carotenoids are affected by temperature, light, and oxyg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d stress (day/night: $25^{\circ}C/20^{\circ}C$, $20^{\circ}C/15^{\circ}C$, $15^{\circ}C/10^{\circ}C$) on carotenoids in kale leaves. METHODS AND RESULTS: Kale was grown in pots for up to 50 days after sowing (DAS) in a greenhouse. For cold acclimation experiments, kale grown in growth chambers for 3 days and was subjected to low temperature for 4 days. The conditions maintained in the growth chambers were as follows: photoperiod, 12/12 h (day/night); light, fluorescent; and relative humidity, 60%. Carotenoid (lutein, ${\alpha}-carotene$, zeaxanthin, ${\beta}-carotene$) contents were analyz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gradually increased during cold acclimation for 3 days. When kale was subjected to cold stress,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was high at $25^{\circ}C/20^{\circ}C$ treatment, but low at $15^{\circ}C/10^{\circ}C$ treatment. The total carotenoid content of kale leaves continuously grown in greenhouse decreased from 50 to 57 DAS (1,418 and 1,160 mgkg-1 dry wt., respectively). The lutein, ${\alpha}-carotene$, and ${\beta}-carotene$ contents were very low and the zeaxanthin contents were very high at $15^{\circ}C/10^{\circ}C$ treatment. When kale was subjected to cold stress, the ratio of individual to the total carotenoid contents of kale leaves was 4553% for -carotene and 210% for zeaxanthin. CONCLUSION: The ${\beta}-carotene$ and zeaxanthin contents in kale leaves indicate their sensitiveness toward cold stress.

Factors Influencing the Acrylamide Content of Fried Potato Products

  • Jin, Yong-Ik;Park, Kyeong-Hun;Chang, Dong-Chil;Cho, Ji-Hong;Cho, Kwang-Su;Im, Ju-Sung;Hong, Su-Young;Kim, Su-Jeong;Nam, Jung-Hwan;Sohn, Hwang-Bae;Yu, Hong-Seob;Chung, Ill-Mi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47-255
    • /
    • 2016
  • BACKGROUND: Acrylamide (CAS No. 79-06-1) is known to be a carcinogenic compound, and is classified as a Group 2A compound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1994). Acrylamide can be generated during the browning process via the non-enzymatic Maillard reaction of carbohydrates such as reducing sugars and of amino acids such as asparagine, both of which occur at a temperature above $120^{\circ}C$. Potato tubers contain reducing sugars, and thus, this will affect the safety of processed potato products such as potato chips and French fries. In order to reduce the level of acrylamide in potato processed product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understand factors that affect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potatoes, such as environmental factors and potato storage conditions, as well as understanding factors affecting acrylamide formation during potato processing itself. METHODS AND RESULTS: Potatoes were cultivated in eight regions of Korea; For each of these different environments, soi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H, electrical conductivity,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cation content were measured and correlations with potato reducing sugar content and potato chip acrylamide levels were examined. The reducing sugar content in potato during storage for three months was determined and acrylamide level in potato chip was analyzed after processing. The storage temperature levels were $4^{\circ}C$, $8^{\circ}C$, or $10^{\circ}C$, respectively. The acrylamide content of chips prepared from potatoes stored at $10^{\circ}C$ or $20^{\circ}C$ for one month was analyzed and the different frying times were 2, 3, 5, and 7 m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hosphate content within a potato field should be sufficient to avoid producing brown or black potato chips. For potatoes stored at low temperatures, a reconditioning period ($20^{\circ}C$ for 20 days) is required in order to reduce the levels of reducing sugars in the potato and subsequently reduce the acrylamide and improve chip coloration and appea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