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_2$ Absorbent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2초

Ca계 및 Na계 흡수제의 건식 탈황 특성 비교 (Comparision of Ca- and Na- Based Dry Sorbent in Desulfurization Characteristics)

  • 문승현;현주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28
    • /
    • 2009
  • Ca계 및 Na계 탈황제를 대상으로 열중량 분석실험과 승온탈리 실험을 수행하여 탈황제의 열적안정성, 집진기 전단 온도인 $250^{\circ}C$에서 탈황 성능, 그리고 상온에서 흡수용량 등을 비교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소석회($Ca(OH)_2$)는 약 $390^{\circ}C$에서 열 분해되기 시작하여 480~$500^{\circ}C$에 이르면 완전하게 분해되었다. 열분해 결과 생성된 생석회(CaO)의 무게는 최초 소석회 무게의 76%로 감소하였다. 중탄산나트륨($NaHCO_3$)은 약 $95^{\circ}C$에서부터 분해되기 시작하여 $19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완전하게 분해되어 처음 도입된 중탄산나트륨 무게와 비교하여 약 63%로 감소하였다. $250^{\circ}C$에서 실시한 열중량 분석 결과, 무수탄산나트륨($Na_2CO_3$)의 경우에는 탈황제 무게의 35%에 해당하는 $SO_2$를 흡수할 수 있고, 생석회는 15.6%, 소석회는 6.5%까지 $SO_2$를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0^{\circ}C$에서 초기반응 속도를 비교하면, Ca계 탈황제의 경우에는 초기 미반응 시간이 있는 반면에 Na계 탈황제인 무수탄산나트륨에서는 이러한 초기 미반응 시간이 없어, Ca계 반응제의 경우보다 Na계 탈황제의 경우에 $SO_2$와 더 빠른 반응이 진행되었다. 상온에서 실시한 승온탈리 실험 결과, Na계인 무수탄산나트륨보다는 Ca계인 소석회가 더 많은 $SO_2$를 흡수하였다. 따라서 저온에서는 Ca계인 소석회가 적절하고 고온에서는 무수탄산나트륨이 더 적절한 탈황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Co_2$ 흡수법에 의한 환경시료중 $^{14}C$ 정량 (Determination of $^{14}C$ in Environmental Samples Using $CO_2$ Absorption Method)

  • 이상국;김창규;김철수;김용재;노병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35-46
    • /
    • 1997
  • $CO_2$ 흡수제와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정밀한 $^{14}C$ 정량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대기 및 생물시료중 $^3H$$^{14}C$ 동시포집을 위한 대기시료 포집장치 및 연소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기중 $CO_2$ 포집장치의 포집율은 73-89%였으며 연소장치의 연소율은 97%를 나타내었다. 측정시료 조제시 흡수제와 섬광체와의 최적 혼합비는 1:1 였으며 측정시료중 $^{14}C$의 비방사능 농도는 시료조제 후 70일까지 변화하지 않고 매우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고 검출하한치는 0.025 Bq/gC로써 자연준위의 $^{14}C$ 분석에도 활용 가능하였다. 또한, 본 분석법에 의한 $^{14}C$ 분석결과는 벤젠합성범에 의한 결과와 ${\pm}6%$ 오차범위 내에서 상호간 잘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방법을 이용하여 1996년 10월 대전지역 대기중 $^{14}C$의 비방사능을 측정한 결과 0.26-0.27 Bq/gC의 범위로써 전형적인 자연준위를 나타내었다. 한편, 월성 원자력발전소로부터 lkm 떨어진 지점에서의 대기중 $^{14}C$C 비방사능은 $0.54{\pm}0.03$ Bq/gC였으며, 솔잎 및 채소류중 $^{14}C$의 비방사능은 각각 0.56-0.67 Bq/gC 및 0.23-1.41 Bq/gC의 농도범위를 나타내었다.

  • PDF

비젖음성 중공사조건의 순환식 막 흡수기에 의한 기체분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a Gas Separation Using Circulatory Membrane Absorber Conditioned with non-Watted Hollow-Fibers)

  • 전명석;이규호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4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36-37
    • /
    • 1994
  • Sirkar등[1]이 많이 연구한 hollow-fiber contained liquid membrane방식보다 막내부에서의 물질전달 저항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이른바 flowing liquid membrane방법을 Teramoto등[2]은 제안하였다. 좀더 발전된 membrane absorber방식으로서 평판형(flat-sheet type)막으로 흡수(absorption) 및 탈착(desorption)모듈을 구성하고, monoethanolamine 흡수제(absorbent)로 $Co_2/CH_4$ 분리에 적용하여 선택도를 크게 향상시킨 기존의 실험결과도 볼 수 있다. 막에서의 기-후 접촉과 반응이 수반된 물질전달에 의한 기체흡수 현상에 관해 많은 이론해석과 실험결과가 연구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산성기체(acid gas)의 분리에 주로 적용될 새로운 방식의 순환식 중공사막 흡수기 (circulatory hollow-fiber membrane absorber: HFMA)를 제안하고 이의 실제적용에 대한 기초로서 모델해석에 의한 분리성능을 예측하였다.

  • PDF

석탄계 비산재로 합성한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코발트 이온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obalt Ion with Zeolite Synthesized by Coal Fly Ash)

  • 이창한;서정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41-946
    • /
    • 2009
  • 본 연구는 상용 합성 제올라이트(Z-WK), 석탄계 비산재를 이용한 합성 제올라이트(Z-C1) 및 비산재(F-C1)를 이용하여 Lagergen 1차 및 2차 속도식과 Langmuir, Freundlich, Redlich-Peterson 및 Koble-Corrigan 식에 의해 코발트(Co)의 흡착속도와 평형흡착 특성을 평가하였다. 석탄계 비산재를 이용하여 Si/Al 비가 1.51인 제올라이트(Z-C1)를 제조하였으며, 흡착제 종류에 따른 Co 흡착량은 Z-C1(94.15mg/g) > F-C1(92.94mg/g) > Z-WK(88.56mg/g)순이었다. Z-WK와 Z-C1의 Co 흡착속도는 유사 2차 반응식으로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였다. Z-WK와 Z-C1의 Co 평형흡착량은 Langmuir 식과 Redlich-Peterson 식으로 잘 예측할 수 있었다. Z-C1은 수중의 Co 제거를 위한 유용한 흡착제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에폭사이드와 암모니아의 반응을 이용한 합성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연구 (The CO2 Absorption of Synthetic Amine using the Ethylene Oxide-Ammonia Reaction)

  • 최정호;윤여일;박성열;백일현;남성찬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561-569
    • /
    • 2017
  • In this study, a synthetic amine made using the ethylene oxide-ammonia reaction was used as an absorbent to remove carbon dioxide. Existing absorbents were used in a mix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however, because the ethylene oxide-ammonia reaction generates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amines simultaneously, it has the merit that separate mixing of the absorbents was not needed. The performance of carbon dioxide absorption with the synthetic amine was compared to that of MEA. As a result of an experiment, it was determined that the $CO_2$ loading was 1.15 times better than that of MEA (a commonly used amine), while the cyclic capacity was 2.28 times higher. Because the heat of reaction was 1.10 times lower than for MEA, the synthetic amine showed superior performance in terms of absorption and regeneration.

선박 연료의 황 함유량 규제에 따른 스크러버 기술의 동향과 전망 (Trend and Prospect of Scrubber Technology for Regulatory on Sulfur Content in Marine Fuel Oil)

  • 엄한기;박병현;정순관;김성수
    • 공업화학전망
    • /
    • 제22권5호
    • /
    • pp.1-13
    • /
    • 2019
  •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2015년부터 배출규제해역(ECA, emission control area)을 운항하는 선박은 황 함유량이 0.1%(m/m) 이하로 강화된 기준을 만족하는 연료를 사용해야 하며, 2020년부터는 모든 선박에 대해 황 함유량이 0.5%(m/m) 이하인 연료를 사용하거나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는 배출가스 후처리 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였다. 이에 따라, 선박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후처리 관점에서 습식 스크러버(wet scrubber)는 선박의 디젤 엔진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황(sulfur dioxide)을 저감시키기 위한 가장 적합한 해결책으로 알려져 있다. 습식 스크러버는 해수를 사용하는 개방형 스크러버(open loop scrubber)와 화학세정수를 사용하는 폐쇄형 스크러버(closed loop scrubber)로 구분된다. 습식 스크러버는 오염물질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지만 유지보수비가 비싸고, 폐수 발생으로 인한 2차 오염발생 및 부식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크러버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식성 재질에 관한 연구와 흡수제(absorbent)의 고도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형 스크러버(hybrid scrubber)는 개방형과 폐쇄형 스크러버의 장점을 결합한 기술로 황산화물의 배출을 규제하는 배출규제해역에서는 폐쇄형 스크러버를 가동하고, 선박이 공해상으로 진입할 경우 개방형 스크러버로 전환함에 따라 황산화물 배출 및 반응 후 세척수의 폐수배출 기준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알카놀아민 수용액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수특성 연구 (Study on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CO_2$ in Aqueous Alkanolamine Solutions)

  • 오상교;이영우;남성찬;윤여일;김영은
    • 에너지공학
    • /
    • 제17권4호
    • /
    • pp.241-246
    • /
    • 2008
  •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지구온난화의 주요인으로, 세계적으로 배출량을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알카놀아민 수용액을 이용한 흡수법은 산성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폭 넓게 사용되고 있고, 특히 배가스로부터 나오는 이산화탄소의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카놀아민 수용액을 사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수시에 나타나는 흡수특성을 연구하였다. 기/액 평형 실험 장치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의 평형분압(${P_{CO_2}}^*$)과 이산화탄소 최초 1회 주입 후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60^{\circ}C$에서 각각 흡수 용량과 흡수 속도를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MEA 10wt%에서의 흡수용량은 낮은 온도($40^{\circ}C$)에서 우수하였고, 평형부하 0.5부근에서 이산화탄소가 포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흡수제에 따른 흡수용량은 AMP>DEA>MEA, 흡수속도는 MEA>AMP>DEA.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가진 흡수제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흡수용량과 흡수속도를 동시에 고려해보아야 한다.

GC를 이용한 극성용매의 분석방법 개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Polar Solvents by GC)

  • 오도석;김성화;이슬;황경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0-2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implify and standardize analytical method of polar solvents(methanol, isopropanol, n-butanol, acetone, methylene chloride and MIBK) in the working environmental by GC. Because NIOSH methods are various and complicated. Methods: The method is using the same stationary phase(5% phenyl 95% dimethylpolysiloxane), absorbent(silica gel) and desorption solvent(DMSO) for above 6 solvents. For the 6 solvents desorption efficiency, calibration curve, and limit of detection were studied Results: As the results, 6 solvents{2 groups ; first group(methanol/isopropanol/butanol) and second group(acetone/methylene chloride/MIBK)} could be separated and quantified within 10 minutes. Desorption efficiency from silica gell of 6 solvents using dimethylsulfoxide(DMSO) was methanol 86.2%, isopropanol 103.2%, n-butanol 101.8%, acetone 98.2%, methylene chloride 103.9% and MIBK 106.2% in the range of 0.2, 0.5, 2.0 times of TWA, consequently, satisfied NIOSH estimation level(beyond 75%). Correlation coefficient(r)in the range of 0.2~2.0 times of TWA, was above 0.999 for 6 solvent. LOD(mg/DMSO ml) using calibration curve in the range of 0.2~2 times of TWA was methanol 0.11, isopropyl alcohol 0.20, n-butanol 0.03, acetone 0.50, methylene chloride 0.05, MIBK 0.04 respectably. Conclusions: This method can be used at the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 for polar solvents by GC. Also, will be able to be applied with NIOSH methods.

CW Nd:YAG Laser를 이용한 SM45C 환봉의 표면 열처리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Transformation Hardening for Rod-shaped SM45C Carbon Steel by CW Nd:YAG Laser)

  • 김종도;강운주;이창제;이제훈;서정;이문용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대회 개요집
    • /
    • pp.248-250
    • /
    • 2006
  • The study on a surface transformation hardening of a rod-shaped SM45C carbon steel is carried out by using CW Nd:YAG laser. Conventionally, $CO_2$ laser has been usually used as a laser source for a transformation hardening. however, it is needed to an additional absorbent coating like a colloidal graphite owing to a lower absorbtion rate. On the other hand, no cost and post-removal process of coating is required to Nd:YAG laser, due to a higher absorbtion rate relatively. Moreover, there is a merit which is capable of building up the more flexible processing system resulted from a beam delivery through a optical fiber. In this study, we were going to recognize characteristics of a transformation hardening using a optic head with a gaussian beam distribution.

  • PDF

격자형 자성 복합재의 전파흡수 특성 (Microwave Absorbing Properties of Grid-type Magnetic Composites)

  • 박명준;김성수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89-393
    • /
    • 2012
  • Improvement in microwave absorbance has been investigated by insertion of a periodic air cavity in rubber composites filled with magnetic powders. A mixture of $Co_2Z$ hexagonal ferrite and Fe powders were used as the absorbent fillers in silicone rubber matrix. The complex permeability and complex permittivity of the magnetic composites were measured by reflection/transmission technique. In the grid-type magnetic absorbers, the equivalent permeability (${\mu}_{eq}$) and permittivity (${\varepsilon}_{eq}$) are calculated as a function of air volume rate (K) on the basis of effective medium theory. Reduction in the material parameters (especially, dielectric permittivity and magnetic loss) has been estimated with the increase of K. Plotting the ${\mu}_{eq}$ and ${\varepsilon}_{eq}$ on the solution map of wave-impedance matching, wide bandwidth microwave absorbance has been predicted in the magnetic composites with an optimum value of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