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Cl_3\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Eucommiae Cortex on Osteoblast-like Cell Proliferation and Osteoclast Inhibition

  • Ha, Hyek-Yung;Ho, Jinn-Yung;Shin, Sun-Mi;Kim, Hye-Jin;Koo, Sung-Ja;Kim, In-Ho;Kim, Chung-S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1호
    • /
    • pp.929-936
    • /
    • 2003
  • Methanol extract (MeOH), n-hexane (Hx), chloroform ($CHCl_3$), ethyl acetate (EA), butanol (BuOH) and aqueous ($H_2O$) fractions of Eucommiae Cortex including geniposidic acid (GA), geniposide (GP) and aucubin (AU) were tested for their therapeutic efficacy on osteoporosis. The contents of GA, GP and AU in the cortex and leaf of Eucommia ulmoides Oliver were quantified by HPLC. The effect of Eucommiae Cortex on the induction of growth hormone (GH) release was studied by using rat pituitary cells.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like cells increased by herbal extracts was assayed using a tetrazolium (MTT),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nd [$^3H$]-proline incorporation assays. The inhibition of osteoclast was studied by using the coculture of mouse bone marrow cells and ST-2 cells. As a result, the GA, GP and AU were present in the cortex more than in the leaf of E. ulmoides Oliver. The MeOH (1mg/mL), Hx, $CHCl_3$ and EA fractions (each 20 $\mu$ g/mL) had potent induction of GH release. The $CHCl_3$ exhibited the potent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The AU, GP and GA were increased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In addition, GA ($IC_{50}: 4.43{\times}10^{-7}$M), AU and GP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proliferation of osteoclast. In summary, it is thought that the components in a part of the fractions of Eucommiae Cortex participate in each step of mechanism for activating osteoblast to facilitate osteogenesis, and suppress osteoclast activity to inhibit osteolysis.

식방풍의 성분분리 및 생리활성 (Biolosical Activities of Isolated Compounds from Peucedani Radix)

  • 김도훈;한지수;김기은;김진효;김성건;김호경;오오진;황완균
    • 약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30-137
    • /
    • 2009
  • In this study,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was performed for development of anti-oxidizing agent. $CHCl_3$, $H_2O$, 30%, 60% MeOH, MeOH fractions were examined antioxidative activity by DPPH, test of inhibition on NO production. It was revealed that 30%, 60% MeOH and $CHCl_3$ fractions had significant antioxidative activity. In 30% MeOH and 60% MeOH, $CHCl_3$ fraction, six compounds were isolated and elucidated as adenosine(I), guanosine(II), peucedanol 7-O-$\beta$-D-apiofuranosyl(1$\rightarrow$6)-$\beta$-glucopyranoside(III), peucedanol 7-O-$\beta$-D-glucopyranoside(IV), peucedanol(V) and scopoletin(VI) by physicochemical data and spectroscopic methods. (Negative FAB-MS, $^{1}H-NMR$, $^{13}C-NMR$). The results from antioxidative activity screening for the each compound showed that compound IV was relatively superior antioxidant ability. In anti-inflammatory activation assay, compound III, IV, VI had concentration-dependent-activity and compound IV had superior anti-inflammatory 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ucedani Radix might be developed as a potent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gents and ingredients for related functional foods.

N,N-Dimethylaniline과 Iodine간의 반응에 있어서 Charge Transfer Complex의 영향 (The Effects of Charge Transfer Complex on the Reaction of N,N-dimethylaniline and Iodine)

  • 권오윤;백우현;김응렬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1-196
    • /
    • 1992
  • $CHCl_3,\;CHCl_3 : CH_2Cl_2$(1:1) 및 $CH_2Cl_2$ 용매 중에서 N,N-dimethylaniline(N,N-DMA)과 iodine간의 반응을 전도도법을 이용하여 속도론적으로 조사하였다. 유사 1차반응 속도상수($k_{obs}$) 및 2차반응 속도상수($k_{obs}$/[N,N-DMA])가 N,N-DMA 농도 의존성을 보였다. 실험적으로 구한 2차반응 속도상수는 N,N-DMA 농도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반응 중간 생성물로서 charge tranfer complex의 생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반응 scheme의 설정과 속도상수식의 유도로부터 complex 생성에 따른 평형상수와 변환에 따른 활성화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평형상수는 용매의 유전상수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으며, 1.9${\sim}$4.2$M^{-1}$의 값을 보였다. 또한 변환의 빠르기는 용매의 극성에 크게 의존하였으며, ${\Delta}H^{\neq}$값은 6.3-12.6kJ/mol, ${\Delta}S^{\neq}$값은 약 -234J/mol K의 큰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알팔파 꽃 추출물의 Autotoxicity와 돌피에 대한 Allelopathy (Autotoxicity of alfalfa flower extract and its allelopathy to Echinochloa crus-galli)

  • 정일민;윤성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21-832
    • /
    • 1997
  • 본 실험은 알파파 꽃 추출물로부터 Allelopathy와 Autotoxicity에 관련되는 활성물질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알팔파 꽃 200g을 80% MeOH로 추출하여 $CHCl_3$층을 silica gel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microcrystalline cellulose thin layer chromatography (MCTLC)와 droplet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DCCC)의 분획을 이용하여 생물검정을 행하고 DCCC의 생물검정에서 가장 억제력을 보였던 분획 5와 6은 HPLC로 활성물질을 동정하였다. HPLC분석 결과 분획 5에서는 ferul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rutin, narringin 이, 분획 6에서는 ferul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rutin, coumarin이 동정되었다. 이들 동정된 물질을 이용한 알팔파와 돌피에 대한 발아실험에서도 모두 알팔파와 돌피의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중 coumarin의 처리가 가장 억제적이었다. 따라서 이들 물질이 알팔파와 돌피의 autotoxicity와 allelopathy에 관련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Anti-Rheumatoid Arthritis Effect of the Kochia scoparia Fruits and Activity Comparison of Momordin Ic, its Prosapogenin and Sapogenin

  • Choi, Jongwon;Lee, Kyung-Tae;Jung, Hyun-Ju;Park, Hee-Sun;Park, Hee-Juh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336-342
    • /
    • 2002
  • MeOH extract of Kochia scoparia was fractionated into $CHCl_3-$, EtOAc- and BuOH extracts and the last fraction were hydrolyzed by 3%-NaOH ($MeOH-H_2O$) to compare the bioactivities on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f BuOH fraction afforded a large amount of $3-Ο-{\beta}-D-xylopyranosyl {\;}(1{\rightarrow}3)-{\beta}-D-glucuronopyranosyl$ oleanolic acid (momordin Ic, 4) and that of acid hydrolysate of BuOH fraction gave $3-Ο-{\beta}-D-glucuronopyranosyl oleanolic$ acid (momordin Ib, 3), its 6'-Ο-methyl ester (2) and oleanolic acid (1).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f alkaline hydrolysate afforded a large amount of 4. MeOH extract and both EtOAc- and BuOH fractions were active in the rheumatoidal rat induced Freund's complete adjuvant reagent (FCA) whereas $CHCl_3$ fraction was inactive. Compound 1 and 4 showed significant activities in the same assay but oleanolic acid 3-Ο-glucuronopyranoside (3) showed no activity. These fashions were also observed in carrageenan-induced edema of the rat and in the antinociceptive activity tests undertaken in hot plate- and writhing metho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mordin Ic and its aglycone, oleanolic acid, could be active principles for rheumatoid arthritis.

1,2-비스(2,2'-디피리딜-6일)에탄의 코발트 착물. 두 가지 형태의 결정화 과정 및 구조 분석적 접근 (Cobalt(II) Complex of 1,2-Bis(2,2'-bipyridyl-6-yl)ethane. Crystallization Process and Structural Analysis of Two Shapes of Crystals)

  • 박성호;유경호;정옥상
    • 분석과학
    • /
    • 제12권5호
    • /
    • pp.421-427
    • /
    • 1999
  • 메탄올에 녹인 $Co(NCS)_2$와 클로로포름에 녹인 bbpe (1,2-bis(2,2'-bipyridyl-6-yl)ethane)를 서로 확산시켜 시간에 따라 비율이 다른 두 가지 형태의 결정을 단리하였다. 두 결정은 X-ray 결정학, 원소분석, IR 및 열분석에 의해 $trans-Co^{II}(NCS)_2(bbpe)$$trans-Co^{II}(NCS)_2(bbpe){\cdot}2CHCl_3$로 확인되었다. 용매화 차이만 있을 뿐 두 결정의 근본 구조는 bbpe 리간드가 사배위자로 코발트 원자에 배위하고 있는 유사한 구조로 판명되었다. 코발트 원자 주위는 두 개의 NCS기가 서로 trans에 위치하고 있고 모든 배위자가 원자로 이루어져 있는 전형적인 팔면체를 이루고 있다. 유연성 있는 리간드 구조 때문에 먼저 $trans-Co^{II}(NCS)_2(bbpe)$이 형성되고 결국은 $trans-Co^{II}(NCS)_2(bbpe){\cdot}2CHCl_3$로 변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용매화된 결정은 NCS 기의 S원자와 클로로포름의 Cl원자의 약한 작용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의 결정모양과 색이 클로로포름에 매우 민감한 물질이다.

  • PDF

The Effects of Crinum asiaticum on the Apoptosis Induction and the Reversal of Multidrug Resistance in HL-60/MX2

  • Hyun, Jae-Hee; Kang, Jung-Il;Kim, Sang-Cheol;Kim, Elvira;Kang, Ji-Hoon;Kwon, Jung-Mi;Park, Doek-Bae;Lee, Young-Jae;Yoo, Eun-Sook;Kang, Hee-Kyo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29-36
    • /
    • 200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ve and chemosensitizing effects of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against multi-drug resistant (MDR) cancer cells. The 80% methanol extract, chloroform ($CHCl_3$) fraction and butanol (BuOH) fraction of C. asiaticum inhibited the growth of mitoxantrone (MX) resistant HL-60 (HL-60/MX2) cells. When HL-60/MX2 cells were treated with the $CHCl_3$ and BuOH fractions, DNA ladder and sub-G1 hypodiploid cells were observed. Furthermore, the fractions reduced BcI-2 mRNA levels, whereas Bax mRNA levels were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C. asiaticum on the growth of the HL-60/MX2 cells might arise from the induction of apoptosis. Treatment of HL-60/MX2 cells with the fractions markedly decreased the mRNA levels of the multi-drug resistance protein-1 and breast cancer resistance protein. The $CHCl_3$ fraction and hexane fraction increased MX accumulation in HL-60/MX2 cell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CHCl_3$ fraction of C. asiaticum plays a pivotal role as a chemosensitizer. We suggest that components of C. asiaticum might have a therapeutic potential for the treatment of MDR leukemia.

후박나무에서 분리한 Meso-dihydroguaiaretic acid의 tyrosinase 저해활성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eso-dihydroguaiaretic Acid from Machilus thunbergii)

  • 권현숙;이경동;김수철;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298-1303
    • /
    • 2015
  • 후박나무(녹나무과)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서식하는 상록 교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에서 부종, 복통, 복부 팽만 등의 질병 치료를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박나무 껍질을 메탄올에 추출하고 메탄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에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클로로포름 분획물로부터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화합물1과 2의 구조는 1H-, 13C-NMR과 참고 문헌 데이터에 의해 dibenzylbutane lignin 화합물인 macelignan (1)과 meso-dihydroguaiaretic acid (2)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2는 tyrosinase 저해 활성 중 monophenolase (IC50 = 10.2 μM)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경쟁적 저해제였으며 효소에 결합하는 화합물 2의 저해 상수(Ki 값)는 4.8 μM였다. 따라서 meso-dihydroguaiaretic acid (2)는 멜라닌 생합성과 관련된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한 잠재적 후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절초 꽃의 항산화 활성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Antioxidative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 of Chrysanthemum zawadskii Flowers)

  • 현미란;이영상;박영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1호
    • /
    • pp.68-73
    • /
    • 2011
  • 본 연구는 차로써 이용이 증대되고 있는 구절초 꽃의 항산화 능력과 이와 관련된 유효한 성분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절초 꽃을 MeOH로 추출한 수율은 16%였고, MeOH 추출물을 다시 용매별로 분획한 결과 잔류 water > n-hexane > EtOAc > n-BuOH > $CHCl_3$ 분획물 순으로 추출수율을 보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EtOAc분획물이 $195mg{\cdot}g^{-1}$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MeOH 추출물, $CHCl_3$, 잔류 water, n-BuOH, n-hexane 분획물 순으로 높게 나왔다. Flavonoid 함량 역시 EtOAc 분획물이 $143mg{\cdot}g^{-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n-BuOH, n-hexane, 메탄올, 잔류 water, $CHCl_3$ 분획물 순으로 높았다. 구절초의 전자공여능과 총 항산화력 측정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EtOAc 분획물이 $100{\mu}g{\cdot}mL^{-1}$에서 81.56%, 68.12%의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 및 총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구절초 MeOH 추출물과 EtOAc분획물을 HPLC로 분석한 결과 flavonoid 유효성분으로 quercetin과 luteolin이 확인되었으며 EtOAc 분획물 경우 각각의 함량이 $20.02mg{\cdot}g^{-1}$, $1.65mg{\cdot}g^{-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구절초 꽃의 항산화력은 MeOH 추출물의 EtOAc 분획에 포함된 quercetin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착제를 이용한 침강 HNS 처리 및 현장적용 가능성 연구 - 현장 처리를 위한 활성탄소 활용 조건 검토 및 제안 - (Feasibility of Activated-Carbon Adsorbent to Sequester Sunken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 최기영;김창준;김혜은;정준모;황호진;이문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58-86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소를 이용하여 해양환경으로 유출된 침강 HNS를 현장에서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활성탄소의 조건을 검토하고 예상 소요량을 산출하였다. 입자 크기별 7종의 활성탄소들을 대상으로 침강 속도를 측정하였고, 침강 HNS로 분류된 클로로포름(CHCl3)에 대한 흡착용량을 실험실 규모 실험(lab-scale test)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7종 활성탄소들에 대하여 유해물질함량과 용출 실험을 실시하여 용출된 유해물질 함량을 정량 분석하였다. 평균 침강속도(Mean particle-settling velocity)는 0.5~8 cm/sec의 범위로 8-20 mesh 경우를 제외하고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침강속도가 빨랐으며, 클로로포름에 대한 흡착효율은 대체로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넓어져 증가되었다. 또한 현장 투입 후 2차 오염가능성 확인을 위한 유해물질함량과 용출 실험 실험에서 >100 mesh의 활성탄소는 전함량분석결과가 아연(Zn)과 비소(As)가 수처리제기준보다 높고, 용출실험결과에서도 크롬(Cr), 아연(Zn), 비소(As)가 다른 활성탄소에 비해 높은 농도로 용출되었다. 흡착효율, 침강속도, 유해성분 용출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현장 처리 적용 가능한 활성탄소는 20-60, 20-40, 2mm&down mesh 이었으며, 흡착용량을 최우선으로 판단하여 투입물량을 계산하면 최소 현장 투입 물량은 각각 0.82, 0.90, 1.28 ton/㎘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