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_2O_3$ pellet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GTL-FPSO 공정용 합성가스 제조를 위한 개질 촉매 연구 (Study of reforming catalyst for synthesis gas for GTL-FPSO process)

  • 박대일;문동주;김태규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2년도 제3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14-41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GTL-FPSO 공정용 합성가스제조를 위한 개질 촉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Ni foam과 $Al_2O_3$ pellet 지지체로 이루어진 두 촉매를 온도에 따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두 조건 모두 반응기 온도가 상승할수록 메탄 전환율도 상승하였다. 또한 Ni foam지지체 촉매가 $Al_2O_3$ pellet촉매보다 더 높은 메탄 전환율을 보였다.

  • PDF

$UO_2$ 소결체의 특성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첨가제의 영향 (Effects of Additiv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Microstructure of $UO_2$ Pellet)

  • 유호식;이신영;이승재;강권호;김형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660-664
    • /
    • 2000
  • Effect of various kinds of additive such as AlOOH, Al(OH)3, Al2Si2O5(OH)4, Nb2O5, TiO2 and MgO on the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 of UO2 pellet has been examined. All the tested dopants had played a role to reduce sintered density and open porosity. It was revealed that the addition of TiO2 made pellet more stable thermally. UO2 pellet doped with 0.2wt% TiO2 was swelled rather than densified after annealing for 24 hrs at 1$700^{\circ}C$. It was attributed to large pore with spherical shape. Titinia and silicon coexisted with Al element were more effective to increase grain size than other additives. It could be also revealed that the formation of liquid phase was the main cause of grain growth.

  • PDF

Aspergillus sp. PS-104의 액침배양증 mycellial pellet 형성에 미치는 황토의 영향 (Effects of Loess on the Mycellial Pellet Formation of Phosphate-solubilizing Fungus, Aspergillus sp. PS-104 in the Submerged Culture)

  • 강선철;구본성;태언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3
    • /
    • 2002
  • 유리인산 생산균을 생물비료화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산가용화능이 우수한 Aspergillus sp. PS-104 균주를 액침배양하면서 pellet 형성에 미치는 황토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spergillus sp. PS-104의 분생포자를 황토를 포함하는 PDB 배지에 접종하여 50 rpm의 낮은 속도로 교반하여 배양하면 무정형의 불규칙적인 pellet을 형성하는 반면에 150 rpm의 높은 속도로 배양하면 구형의 규칙적인 pellet을 형성하였다. 또한 0$\sim$1.0% (W/V) 범위의 황토 첨가시에는 황토의 농도가 높을수록 pellet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었으며, 1.0% 황토 농도에서 $1.0\pm0.1$ mm의 가장 작은 pellet이 형성되었다. 이 결과는 황토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약 4배 작아진 것이다. 그러나 황토 농도가 1.5% 이상 되면 무정형의 큰 pellet이 형성되었다. 또한 황토의 주성분인 $SiO_2$, $Fe_2O_3$, $Al_2O_3$, $CaCO_3$, $CaSO_4$ and $MgCO_3$ 분말을 각각 0$\sim$1.0%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여 pellet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Al_2O_3$를 제외하고는 첨가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작은 크기의 pellet이 형성되었으며, $MgCO_3$ 를 첨가했을 때 가장 작은 크기의 pellet을 형성하였다.

용융전로(熔融轉爐)슬래그와 CaO펠렛의 상호반응(相互反應)에 미치는 $Al_{2}O_{3}$의 영향(影響) (An Effect of $Al_{2}O_{3}$ on the Reaction between Molten Converter Slag and CaO pellet)

  • 김영환;고인용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2호
    • /
    • pp.3-9
    • /
    • 2006
  • 용융전로슬래그로부터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로의 전환에 관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전로슬래그의 $Al_{2}O_{3}$ 농도에 따를 고체 CaO 입자와 용융슬래그간의 계면반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염기도($B=CaO/SiO_2$)를 1과 2로 조정한 전로슬래그에 소정의 $SiO_2$$5{\sim}15wt%\;Al_{2}O_{3}$를 첨가제로 첨가하여 MgO도가니에 넣고 $1500^{\circ}C$에서 30분간 가열 용해하여 균질화 한 후, 같은 온도의 소결 CaO펠렛을 투입하여 $10{\sim}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급냉한 시편을 도가니의 직경방항으로 절단해서 펠렛 단면의 CaO직경 변화를 측정하여 슬래그중 $Al_{2}O_{3}$첨가에 따른 CaO의 용해속도를 조사하고, 계면 생성층을 SEM/EDX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슬래그의 염기도가 2인 경우, 염기도가 1인 경우 보다 생성층 $C_{3}S$상의 두께는 $Al_{2}O_{3}$를 15wt.%까지 첨가함에 따라 3.5배 증가하였으며, $C_{6}AF_{2}$ 또는 $C_{4}AF$양도 2배 정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PVA-Al(III) 착물 첨가 $UO_2$소결체와 AlOOH 첨가 $UO_2$소결체의 소결 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Sintering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VA-Al(III) Complex added $UO_2$Pellet and AlOOH added $UO_2$pellet)

  • 이신영;유호식;이승재;김형수;배기광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61
    • /
    • 2000
  • $UO_2$분말에 PVA-Al(III) 착물과 AlOOH를 각각 0.03~1.0wt%를 첨가하여 소결체를 제조한 후 소결체 특성을 비교하였다. PVA-Al(III) 착물과 AlOOH는 $1000^{\circ}C$의 소소분위기에서 열분해하는 경우 생성상은 $\theta-Al_2O_3$이었다. 순수 $UO_2$분말에 비해 AlOOH가 첨가된 혼합 분말의 곁보기 밀도는 더 높았고, PVA-Al(III) 착물이 첨가된 혼합 분말은 더 낮은 겉보기 밀도를 보였다. AlOOH가 첨가된 소결체의 경우 약 $800^{\circ}C$ 부근에서 치밀화가 시작되었지만, PVA-Al(III) 착물이 첨가된 소결체의 경우에는 약 $900^{\circ}C$에서 치밀화가 시작되었다. 기공 크기 분포는 AlOOH가 첨가된 $UO_2$소결체의 경우에 monomodal 형태로, 그리고 PVA-Al(III) 착물의 첨가된 소결체의 경우에는 bimodal 형태로 나타났다. 결정립 크기는 1wt% 첨가시 AlOOH가 첨가된 $UO_2$소결체의 경우에 약 $13\mu\textrm{m}$이었지만, PVA-Al(III) 착물의 첨가된 소결체의 경우에는 약 $\36mu\textrm{m}$까지 성장하는 현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P2O3-PbO-SiO2-Al2O3계 회로기판용 glass ceramics의 제조 및 특성평가 (manufacture and Characterization of Glass Ceramics of P2O3-PbO-SiO2-Al2O3 System for Ic Substrate)

  • 김용철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5-62
    • /
    • 1997
  • P2O3-PbO-SiO2-Al2O3계 조성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소결이 가증하며 열팽창계수와 유전율이 낮은 회로기판용 glass ceramics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155$0^{\circ}C$에서 2시간 동안 용 융하여 제조한 모유리의열팽창 거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TMA로 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유리를 분말화하여 80$0^{\circ}C$에서 열처리 하였다. 이때 cristobalite 형성억제제로 Ga2O3를 사용 하였으며 Ga2O3 첨가량에 따른 억제 영향을 XRD를 통행 확인하였다. Ga2O3를 첨가한 유리 분말로 pellet을 제조하여 열처리를 하였고 소결시편의 표면을 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열 처리한 pellet에 silver paste를 screen printing하여 유전율을 측정하였으며 조성에 따른 유 전율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RECYCLING PROCESS OF U3O8 POWDER IN MnO-Al2O3 DOPED LARGE GRAIN UO2 PELLETS

  • Oh, Jang Soo;Kim, Dong-Joo;Yang, Jae Ho;Kim, Keon Sik;Rhee, Young Woo;Koo, Yang-H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117-124
    • /
    • 2014
  • The effect of various process variables on the powder properties of recycled $U_3O_8$ from MnO-$Al_2O_3$ doped large grain $UO_2$ pellets and the effect of those recycled $U_3O_8$ powders on the sintered density and grain size of MnO-$Al_2O_3$ doped large grain $UO_2$ pellets have been investigated. The evolution of morphology, size, and BET surface area of the recycled $U_3O_8$ powder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variation of the thermo-mechanical treatment variables of oxidation temperature, powder milling, and sequential cyclic heat treatment of oxidation and then reduction was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ET surface area of recycled $U_3O_8$ powder and the sintered pellet properties of MnO-$Al_2O_3$ doped pellets showed that the pellet density and grain size of doped pellets were increased and then saturated by increasing the BET surface area of the recycled $U_3O_8$ powder. The density and grain size of the pellets were maximized when the BET surface area of the recycled $U_3O_8$ powder was in the vicinity of $3m^2/g$. Among the process variables applied in this study, the cyclic heat treatment followed by low temperature oxidation was a potential process combination to obtain the sinter-active $U_3O_8$ powder.

PVA-Al(III) 착물이 UO$_2$ 소결체의 기공형성과 결정립성장에 미치는 영향(I) (The Effect of PVA-Al(III) Complex on the Pore Formation and Grain Growth of UO$_2$ Sintered Pellet)

  • 이신영;김형수;노재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783-790
    • /
    • 1998
  • The characterization of the complexation reaction of PVA and Al(III) ion at different pH and the sint-ering behaviour of UO2 containing the PVA-Al(III) complexes were investigated. Compared with pure PVA powder the complexed PVA-Al(III) powder had compacter shape and lower decomposition temperature The major phase of PVA-Al(III) complex decomposed at 90$0^{\circ}C$ was $\alpha$-Al2O3 The PVA-Al(III) complex formed at pH 9 had the lowest relative viscosity the highest Al content of 36% and the smallest particle size of 19${\mu}{\textrm}{m}$ While the pure UO2 pellet appeared with bimodal one. The grain size of the pure UO2 pellet was 7${\mu}{\textrm}{m}$ but that of the PVA-Al(III) complex added UO2 pellet was increased up to 36${\mu}{\textrm}{m}$ The largest grain size was ob-tained when the PVA-Al(III) complex formed at pH9 was added and the PVA-Al(III) complex formed at pH 11 had the greatest effect on increasing pore size.

  • PDF

중금속이온제거를 위한 입자형 적니흡착제의 제조 (Synthesis of Pellet-Type Red Mud Adsorbents for Removal of Heavy Metal Ions)

  • 김정식;한상원;황인국;배재흠;최우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1호
    • /
    • pp.44-51
    • /
    • 2000
  • 보오크사이트를 원료로 하여 $Al(OH)_{3}/Al_2O_3$ 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적니를 물리.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중금속 이온 제거용 흡착제로 재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산업적으로 적용이 쉽도록 입자형 적니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이를 위하여 적니를 주성부능로 하고 몇 가지 첨가물의 함량과 소결온도를 변화시키며 실험하여 입자형 적니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실험결과, 적니 96.0wt%에 polypropylene 2.5wt%, sodium metasilicate 10wt%, fly ash 0.5 wt%를 첨가하여 $1200^{\circ}C$ 에서 30분간 소결시켜 제조하였을 때 납 이온에 대해 가장 높은 흡착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입자형 적니흡착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분쇄형 적나흡착제와 비드형 적니흡착제로 구분하여 이들의 중금속 흡탈착성능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분쇄형 적니흡착제는 비드형 적니흡착제보다 흡착제거율과 탈착율이 모두 우수하였으며 분발형 적니흡착제와 마찬가지로 $Pb^{2+}$ 이온의 흡착제거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용융전로(熔融轉爐)슬래그와 $C_3A(3CaO{\cdot}Al_2O_3)$ 펠렛사이의 계면반응(界面反應) (The Interface Reaction Between Molten Converter Slag and $C_3A(3CaO{\cdot}Al_2O_3)$ Pellet)

  • 김영환;고인용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4권5호
    • /
    • pp.13-17
    • /
    • 2005
  • 용융전로슬래그를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로 활용하기 위하여, 용융슬래그와 $C_3A(3CaO{\cdot}Al_2O_3)$가 반응하여 시멘트의 구성상인 $C_4AF$가 생성되는 기구와 생성속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전로슬래그에 소정의 $SiO_2$를 첨가하여 MgO도가니에 넣고 $1300^{\circ}C{\sim}1350^{\circ}C$에서 30분간 가열 용해하여 균질화 한 후, 같은 온도로 가열해 둔 소결 $C_3A$펠렛을 투입하여 $10{\sim}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급냉한 시편을 도가니의 직경방향으로 절단해서 펠렛 단면의 $C_3A$직경 변화를 측정하여 $C_3A$의 용해속도를 조사하고, 계면반응 생성상을 SEM/EDX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C_3A$ 펠렛의 슬래그로의 용해속도는 $1300^{\circ}C$에서 $0.75{\times}10^{-4}(cm/sec)$으로부터 $1350^{\circ}C$에서 $1.67{\times}10^{-4}(cm/sec)$으로 증가하였으며, 슬래그와 $C_3A$ 펠렛 사이에 $C_4AF$$C_{12}A_7$의 혼합층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