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1^{st}$ Century Competenc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 논리로서의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cientific Literacy and Core Competence Discourses as Rationales for the 21st Century Science Curriculum Reform)

  • 이경건;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8
    • /
    • 2022
  • 오늘날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의 두 논리는 핵심 역량 및 과학적 소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양자 간의 관계는 아직 면밀히 규명되지 않고 모호하게 남아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가 교육과정 총론 수준의 혁신적 교육과정 구성 논리와 과학 교과의 고유한 교육과정 구성 논리가 조화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 논리로서의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을 비교하여, 향후 과학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이에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들을 구성해온 주요 연구 문헌들과 정책 보고서들을 두루 참조하였다. II장에서는 먼저 과학적 소양 및 핵심 역량 담론들이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 역사적 경로를 돌아본다. 이 과정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각 담론의 전개양상을 모양지운 OECD의 역할에 주목할 것이다. 그리고 국내에서 해당 담론들이 어떻게 수용되어왔는가 또한 살펴본다. III장과 IV장에서는 과학적 소양과 핵심 역량 담론의 교차를 살펴본다. III장에서는 양자 모두가 학생 위기 레토릭에 힘입어 성장하였다는 점, 개인 차원, 공동체 차원, 지구적 차원을 고려하는 다층적 의미를 지닌다는 점, 교과 내용 조직 및 학습 방법의 논리가 유사하다는 점, 고부담 평가가 교육과정 개혁을 촉구한다는 점이 제시된다. IV장에서는 과학적 소양과 핵심 역량 담론 각각이 과학 교육과정 개혁에 대하여 제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강점과 함께 약점 역시 비교한다. V장에서는 후기 Wittgenstein 및 Kuhn의 관점에서, 과학적 소양과 핵심 역량을 21세기 과학 교육과정 개혁 논리로서의 가족유사성을 지니는 언어로 이해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개발에서 반복되곤 하는 '총론과 각론의 괴리' 문제를 해소할 이론적 실마리와 함께,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비롯한 향후 과학 교육과정 담론이 위기 레토릭을 넘어 희망적인 목소리를 담아야 함을 제안한다.

스마트폰 이용자의 자기결정성 이론이 플로우 및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n Flow and Smartphone Addiction by Smartphone User's Self-determination)

  • 김효정;안현숙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5-45
    • /
    • 2015
  • 21세기에 들어 ICT의 발전은 인간의 삶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편리성, 효율성 등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 또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등이 스마트폰 중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조사를 기초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오락성에 근거하여 플로우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은 플로우에 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능감, 관계성, 오락성은 플로우에 정(+)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로우는 스마트폰 중독에 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의 세부항목인 병적몰입, 생활장애, 일상성, 과용 등의 항목들이 플로우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mpact of National Stereotypes towards Country-of-Origin Images on Purchase Intention: Empirical Evidence from Countries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 WANG, Li;SHEN, Xiangdong;YAN, Le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호
    • /
    • pp.409-42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the country-of-origin image mediates the effect of national stereotypes along two dimensions of perceived competence and warmth, on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s, especially in today's environment, the capricious COVID-19 and the deepening and expanding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fter collecting 1500 primary data from twelve countries along the 21st - Century Maritime Silk Road, this paper conducts ANOVA and SEM in SPSS25.0 and AMOS 24.0 separately to analyze measurements, structural models, and hypotheses via using 1277 final samples. The mediation results illustrate the asymmetric dominance of the two dimensions of national stereotypes, indicating that the country-of-origin image shows the complementary mediation in the effect of perceived competence on purchase intention; whereas, the country-of-origin image holds the indirect-only mediation in the impact of perceived warmth on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moderation show that the effect of country-of-origin image on purchase intention is more significant for consumers who perceive COVID-19 in China to be of lesser severity than those who believe it to be of higher severity. Based on the paper's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theory are highlighted.

Forma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Students of Ar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 Chyrchyk, Sergii;Rudencenko, Alla;Livshun, Oleksandr;Poltavets-Guida, Oksana;Poltavska, Yuliia;Tymenko, Volodymy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31-36
    • /
    • 2022
  • In modern socio-cultural conditions, the requirements for the quality of professional training of graduates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increasing. This issue has become especially acute with the advent of pandemic conditions. The ability to apply the existing competencies in the situation of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to solve complex social and professional problems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Modern professional art education is undergoing many reforms and transformation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innovative teaching methods, thanks to which future specialists experience the breath of innovative education. This issue is especially relevant during the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Since students of creative specialties must also have certain competenci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ducational process, the competence-based approach to teaching plays a key role, is the methodological basis in the system of modernization of higher professional art education. Thus, the main task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forma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students of ar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aspects of the process of forma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students of ar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were investigated.

유적탐사 지능형 학습 환경 (An Intelligent Learning Environment for Heritage Alive)

  • 김용세;김성아;;박범진;전경자;조윤정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61-1065
    • /
    • 2004
  •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requires effective education and learning methods in each professional field because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determines its competence more than any other factors. It is highly desirable to develop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which meets ever increasing demands of education and learning. Such a system should be adaptive to each individual learner's demands as well as the continuously changing state of the learning process, thus enabling the effective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learner modeling is necessary in order to be adaptive to individual learning variants. An intelligent learning environment is being developed targeting the heritage education, which is able to provide a customized and refined learning guide by storing the content of interactions between the system and the learner, analyzing the correlations in learning situations, and inferring the learning preference from the learner's learning history. This paper proposes a heritage learning system of Bulguksa temple, integrating the ontology-based learner modeling and the learning preference which considers perception styles, input and processing methods, and understanding process of information.

  • PDF

공연적 전환 관점에서 에딘버러 프린지 축제방문객 시선 분석 (Analysis of Edinburgh Fringe Festival Visitor Gaze as the Performance Turn)

  • 박서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13-429
    • /
    • 2022
  • 현대 관광의 시선에 대한 논의는 현대 관광객들을 포스트포드주의적이고 탈분화적 공연적 전환의 주체로 이해한다. 축제방문객은 관광객의 한 부류이기 때문에 이들 역시도 공연적 전환의 주체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것은 이제 축제방문객들도 함께 축제 생산에 참여하는 주체로 이해하며, 그 존재만으로 축제의 생산과 변화를 만드는 주체로 이들 방문객들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축제방문객들은 생산 주체로서, 상호 관계에 직접 참여하고, 그들의 일탈성에 대한 욕망을 현존을 통해 축제에 드러내는 사람들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현대 축제방문객들은 공연적 전환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의 자율성과 유능감 그리고 관계성을 축제 속에서 획득하고자 한다. 에딘버러 프린지를 하나의 사례로, 이 축제의 '열려있음'의 가치관이 만든 규모와 다양성이 이러한 축제방문객의 공연적 전환의 시선에 부합함을 알고, 그것이 꾸준히 축제방문객들의 방문을 유도하는 원인임을 보이고자 한다.

ICT기반 창의인재상 정립에 관한 연구 (Establishing the Concept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s)

  • 이재호;진석언;신현경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41-150
    • /
    • 2016
  • 본 연구는 ICT 분야의 영재교육이 길러내야 할 21세기형 인재상을 'ICT 기반 창의인재'로 규정하고, ICT 기반 창의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ICT기반 창의인재상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ICT기반 창의인재상은 핵심역량, 특성요인, 특성요소 등의 3단계 구조로 정의되었다. 인재상 영역은 지식기술 역량, 통합창의 역량, 인성 역량 등의 3 개 영역으로 정의하였으며, 각 영역별 3 개씩의 특성요인을 정의함으로써 총 9 개의 특성요인을 정의하였고, 각 특성요인별로 역시 3 개씩의 특성요소를 정의함으로써 총 27 개의 특성요소를 정의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ICT기반 창의인재상에 대해 현장교육의 전문가들인 초중등학교의 현직 교사들에게 그 타당성을 평가하도록 의뢰한 결과, ICT기반 창의인재의 3개 핵심역량과 각 역량별로 제시된 특성요인과 특성요소 등의 타당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의견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ICT기반 창의인재상은 양호한 타당도를 가진 모델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인재상은 21세기에 활약할 미래 인재의 양성을 위한 초중등학교의 ICT 교육 및 ICT 영재교육의 설계 및 운영에 좋은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메이커교육 우수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초·중등 메이커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 도출 (A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to Promote Maker Education at the Korean Primary & Secondary School Level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Global Maker Education Best Practices)

  • 차현진;박태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97-113
    • /
    • 2018
  • 해외 선도 국가에서는 21세기 미래학교 교실로 평가되고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초 중등 정규 교육과정에 메이커 교육을 연계하고자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초 중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메이커 교육을 시행하기에 아직 물리 환경적으로, 교수 학습 관점에서의 지원 방안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진 해외 메이커 교육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국내 K-12 교육 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을 어떻게 하면 활성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해외 우수 사례는 정부주도의 메이커 교육 사례 3개, 거점 대학 중심의 메이커 교육 사례 2개, 국제학교 중심의 메이커 교육 사례 2개로 총 7개의 사례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로는 정부 차원에서는 고려해야 할 활성화 정책, 교육 기관 차원에서 실행해야 하는 노력들,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을 위해 수행해야 하는 역할 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nalysis of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Need for Basic Core Competence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Lee, Sun-Mi;Lee, Chun-Sun;Shin, Myong-Suk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6-154
    • /
    • 2020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s and importance of basic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society by dental hygienists' viewpoints who are working in the clinical practices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competencies in the 21st century so as to enhance their working capability. Methods: A total of 3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3 questionnaire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ge, service years, main job functions) and those in 11 sub-factors of basic core competencies including 4 questionnaires on creativity, 3 on collaboration, 3 on communication, 3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3 on problem-solving, 4 on resource control, 4 on self-control and development, 2 on vocational ethics, 3 on knowledge information utilization, 3 on global mind, and 3 on emotional intelligence.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in the dental hygienists who were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 total of 195 data were analyzed. Results: Vocational ethic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howed the highest on both importance and needs with 4.49 points and 4.34; 4.41 and 4.28; and 4.39 and 4.22, respectively, while global mind showed the lowest with 3.51 and 3.59. Up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7 items were defined to require maintain the status including vocational ethics, communication, collabor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control,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solving while 4 items with lower priority were resource control and development, knowledge information utilization, creativity, and global mind.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results that suggested the basic 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in alignment with their jobs in the future society, competitive dental hygienists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applied with these competencies.

부산시 교과교실제 운영 중학교의 창의환경특성 평가 연구 (An Evaluation Study of Creativit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Middle School of Subject Classroom System in Busan)

  • 여지연;이태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2호
    • /
    • pp.65-74
    • /
    • 2019
  • The whole world is emphasizing 'creativity' as the core competence of the future society that global talents should have in the 21st century. Korea is also actively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by recognizing these times and social needs. It is also requir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which is an essential condition of education. As a result, the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as an institutional method for creative education since 2009, and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system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acilities of credit school system introduced from 2022 to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door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environment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space for th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middle schools operated by the advanced classroom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autonomy and sociality was relatively high and the satisfaction of comfort was the lowe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environment.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a priority should be given to ways to enhance sociality in space so as to support smoot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students, and students in the environmental plan for creative classroom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