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n Flow and Smartphone Addiction by Smartphone User's Self-determination

스마트폰 이용자의 자기결정성 이론이 플로우 및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김효정 (계명대학교 교양교육대학) ;
  • 안현숙 (계명대학교 FTA지역특화 창의적 경제통상 인재양성 사업단)
  • Received : 2014.08.18
  • Accepted : 2015.03.30
  • Published : 2015.03.29

Abstract

The development of ICT in the 21st century in many ways, affecting the human life. These developments are many positive influence, such as convenience and efficiency, but has also shown negative effects, such as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is based on advanced research to determine whethe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ory such as the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And als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with Smartphone addiction based by the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playfulness.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the autonomy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Flow. Second, the competence, relatedness, playfulness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Flow. Third, the Flow was shown have a positive impact on Smartphone-Addiction. Also, the details of Smartphone addiction, preoccupation, life difficulty, usual, excessiveness were shown to be affected by the Flow.

21세기에 들어 ICT의 발전은 인간의 삶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편리성, 효율성 등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 또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등이 스마트폰 중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조사를 기초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오락성에 근거하여 플로우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은 플로우에 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능감, 관계성, 오락성은 플로우에 정(+)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로우는 스마트폰 중독에 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의 세부항목인 병적몰입, 생활장애, 일상성, 과용 등의 항목들이 플로우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양.박창호 (2012).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31(2), 563-581.
  2. 미래창조과학부 (2013). 2013 스마트폰 가입자수.
  3. 김영리 2013. 1. 3. 인터넷 선진국, 이젠 '문화'다. 아이뉴스 24.
  4. 이민석 (2011).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Press.
  6. 이명희.김아영 (2008).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22(4), 157-174.
  7. Ryan, R. M. (1982). Control and information in the intrapersonal sphere: An extension of cognitive evaluation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450-461. https://doi.org/10.1037/0022-3514.43.3.450
  8. 우형진 (2007). 미디어 이용자의 자아 안정성 성향적 미디어 이용 동기, 플로우, 그리고 중독에 관환 연구. 한국방송학보 21(4), 101-140.
  9. 나은영 (2005). 청소년의 이동전화 애착 이용, 효과 지각 및 커뮤니케이션 효능감: 2002. 2004년 서울.수도권 지역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49(6), 198-232.
  10. 김아영 (2010). 자기결정성이론과 현장적용 연구. 교육심리연구, 24(3), 583-609.
  11. Ryan, R. M. (1995). Psychological needs and the facilitation of integrative processes. Journal of Personality, 63, 397-427. https://doi.org/10.1111/j.1467-6494.1995.tb00501.x
  12. Ryan, R. M., & Deci, E. L. (2002). An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dialectical perspective. In E. L, Deci and R. M. Ryan(Eds.).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3-33).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13. 김성혁.권상미.김용일 (2011). 오락을 목적으로 한 대학생들의 온라인 여가활동 유형별 인터넷 자기효능감, 즐거운 및 고독감 차이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3(1), 375-394.
  14. 이국용 (2012).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이용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경영교육학회, 27(5), 183-208.
  15. 심성욱.김운한 (2011).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보, 13(2), 342-376.
  16. Spitzberg, B. H. (2006).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Model and Measure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ompetenc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1(2), 629-666.
  17. 이인희 (2001). 대학생 집단의 휴대폰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5(3), 261-293.
  18. 이시훈 (2000). 플로우의 경험집단과 인터넷 광고의 효과에 관한연구 광고학연구. 광고학연구, 11(4), 135-164.
  19. Ghani, J. A., Supnick R. & Rooney, P. (1991). The Experience of Flow in Computer-Mediated and in Face-to-Face Groups. In Proceedings of the Twel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J. I. DeGross, I. Benbasat, S. DeSanctis, & C. M. Beath, Eds, NY: The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29-237.
  20. 김양은.박상호 (2007). 온라인게임 이용이 게임 몰입 및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이용과 충족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1(2), 179-208.
  21. 김형지.김정환.정세훈 (2012).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요인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29(4), 55-93.
  22. 이세용 (2000).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건강연구소.
  23. 김병년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4), 208-217.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208
  2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한국정보진흥원.
  25. Deci, E. L., & Ryan, R. M.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68-78.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26. 이명희 (2008). 자기결정성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욕구 척도개발 및 타당성.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7.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1990.
  28. 김지경.곽호완.장문선.구본훈 (2012). 인터넷 중독 성향과 사용유형에 따른 충동성과 플로우 경험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31(4), 1041-1057.
  29. Suler, J. Computer and Cyberspace Addiction. Rider Univ, Copyright, Aug, 1996, http://www.rider.edu/-suler/psycyber/cybaddict.htm/
  30. 이만제 (2009). 대인 커뮤니케이션 특성 및 자아성향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커뮤니케이션 회피성향, 가족커뮤니케 이션 유형,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29-127.
  31. 김은영 (2012). 자기결정성동기이론의 세 가지 욕구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9(2), 311-330.
  32. 강현욱 (2013). 대학생의 SNS중독성향과 사회적지지, 외로움, 건강지각, 대인관계의 관계와 신체활동을 통한 치료 레크레이션 적용. 한국체육과학회지, 22(1), 121-133.
  33. 하태현.백기현 (2014).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건강과의 관계에서 학교생활과의 매개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6), 147-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