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tocotrienol$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7초

발아 전후 현미유에서의 기능성 지질성분 변화 (Changes in Nutraceutical Lipid Constituents of Pre- and Post-Geminated Brown Rice Oil)

  • 곽지은;윤성원;김대중;윤미라;이정희;오세관;김인환;이준수;이점식;장재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91-600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nutraceutical lipid components of brown rice oil after germination. Four different high-yielding cultivars (Dasan1, Segyejinmi, Hanareum1 and Hanareum2) of Korean brown rice were selected and brown rice oil was extracted from each cultivar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ree fatty acid, squalene, policosanols, and isomers of phytosterol were analyzed using GC, and isomers of tocols (tocopherol and tocotrienol) and ${\gamma}$-oryzanol were quantified using HPLC from both brown rice oil (BRO) and germinated brown rice oil (GBRO). The contents of phytosterol isomers,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beta}$-sitosterol were increased by 8.3%, 31.6%, 3.3% in GBRO,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squalene content showed the highest increase of up to 2.4 fold in GBRO compared to BRO. In addition, linoleic and linolenic acid composition increased whereas oleic and palmitic acid decreased in the GRBO. However, the contents of tocols (tocopherol and tocotrienol) in GBRO were lower than those in BRO,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icosanol and ${\gamma}$-oryzanol between GBRO and B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GBRO has the potential as a healthy and functional source due to its lipid profile on improved lipid metabolism.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of Hydrophilic and Lipophilic Extracts of Thai Northern Purple Rice

  • Punvittayagul, Charatda;Sringarm, Korawan;Chaiyasut, Chaiyawat;Wongpoomchai, Rawiw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517-9522
    • /
    • 2014
  • Purple rice (Oryza sativa L. var. indica) cv. Kum Doisaket is cultivated in northern Thailand. This study evaluated the mutagenic and antimutagenic properties of hydrophilic and lipophilic components of purple rice using the Ames test. The seed and hull of purple rice were extracted with hexane, methanol, ethanol, and water. The methanol extracts had the highest amounts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while the hexane extracts contained large amount of tocols and ${\gamma}$-oryzanol. None of the extracts were mutagenic in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TA98 and TA100. The hexane extract of rice hull and the methanol extract of rice seed were strongly effective against aflatoxin B1- and 2-amino-3, 4 dimethylimidazo (4, 5-f) quinoline-induced mutagenesis, while aqueous extracts showed weakly antimutagenic properties. All extracts with the exception of aqueous extracts enhanced the number of revertant colonies from benzo (a) pyrene induced-mutagenesis. None of the extracts inhibited mutagenesis induced by the direct mutagens 2-(2-furyl)-3-(5-nitro-2-furyl)-acrylamide and sodium azide. The hull extracts showed more potent antimutagenicity than the seed extracts. Based on a chemical analysis, ${\gamma}$-oryzanol and ${\gamma}$-tocotrienol in the hull and cyanidin-3-glucoside and peonidin-3-glucoside in the seed are candidate antimutagens in purple rice. The antimutagenic mechanisms of purple rice might be related to either modulation of mutagen metabolizing enzymes or direct attack on electrophiles. These findings supported the use of Thai purple rice as a cancer chemopreventive agent.

수원 511호와 일품쌀의 항산화성분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n Suweon-511 and Ilpum Rice)

  • 우관식;정응기;서세정;양창인;정헌상;김기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23-1230
    • /
    • 2008
  • 2006년 새롭게 육성된 계통명 수원 511호 품종에 대한 이 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수원 511호에서 318.17 $\mu$g/g으로 나타나 일품쌀(222.16 $\mu$g/g)보다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수원 511호에서 167.21 $\mu$g/g으로 나타나 일품쌀 (100.89 $\mu$g/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alpha$- 및 $\gamma$-tocopherol 의 함량은 수원 511호의 경우 0.14 및 1.17 mg/100 g을 나타낸 반면 일품은 각각 0.06 및 0.80 mg/100 g으로 수원 511호 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tocopherol 함량 또한 수원 511호 가 1.31 mg/100 g으로 일품(0.86 mg/100 g)에 비해 높았다. $\alpha$-, $\gamma$- 및 $\delta$-tocotrienol의 함량은 수원 511호의 경우 0.10, 0.43 및 0.02 mg/100 g을 나타냈으며, 일품은 각각 0.09, 0.43 및 0.03 mg/100 g으로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 511호 및 일품쌀의 $\gamma$-oryzanol 함량을 측정 한 결과 각각 76.58 및 7.77 $\mu$g/g으로 수원 511호가 약 10배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항산화력은 수원 511호와 일품쌀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항산화력은 각각 16.00 및 9.73mg AA eq/g으로 나타났으며, 환원력은 5 mg/mL의 농도에서 수원 511호 및 일품쌀 모두 0.18을 나타내었고 2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0.61 및 0.58을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 511호의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5 mg/mL의 농도에서 각각 42.00, 21.59, 23.27 및 17.13%로 나타났으며, 일품은 30.10, 22.37, 25.18 및 18.08%로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새롭게 육성된 수원 511호 쌀은 일품쌀에 비해 항산화성분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활성 또한 약간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종쌀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Components in Methanolic Extract from Geumjong Rice)

  • 공수현;최용민;김영화;김대중;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07-81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도정되지 않은 현미상태의 금종쌀(Geumjong brown rice)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새로운 품종의 기능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백미(Chuchung white rice) 및 현미(Chuchung brown rice)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성분으로는 polyphenol, flavonoid, vitamin E와 $\gamma$-oryzanol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력은 ABTS와 DPPH 라디칼 제거능 및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백미 및 현미, 금종쌀은 각각 1.5, 2.3, 그리고 3.5%의 추출수율을 나타냈다. 실험결과, 금종쌀은 높은 항산화 활성(69.77 mg TEAC/100 g)과 polyphenol함량(69.1 mg gallic acid equivalents/100 g)을 나타냈다. 반면에 환원력에 있어서는 현미(Chuchung brown rice)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벼 품종별 현미와 백미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70% Ethanol Extracts from Brown and Milled Rice by Cultivar)

  • 김대중;오세관;윤미라;천아름;홍하철;이준수;김연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67-47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벼 품종(삼광벼, 설갱벼, 큰눈벼, 화선찰벼, 홍진주벼, 흑광벼, 일품벼, 하이아미 및 녹미)의 현미와 백미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활성을 비교.분석하여 쌀의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품종별 현미와 백미의 항산화 성분으로는 polyphenol, flavonoid, tocopherol, tocotrienol 및 $\gamma$-oryzanol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력은 ABTS와 DPPH radical 제거능 및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각 품종의 현미와 백미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98~3.80%와 0.44~1.28%의 추출 수율을 보였으며, 실험결과 현미 추출물에서 백미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 품종의 현미와 백미 중에서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높은 품종으로는 유색미인 홍진주벼로 나타났다. 홍진주벼와 더불어 흑광벼에서도 상당한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 연구에 있어 $\gamma$-oryzanol, polyphenol 등과 같이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성분들은 백미 추출물보다는 현미 추출물에서 다량 포함되어 있었으며 일반벼보다는 유색미에서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쌀 기능성 구명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금후 건강증진 식품으로서 쌀의 효능을 소비자들에게 인식시켜 나아가 쌀 소비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혼합잡곡의 항산화 물질과 기호도 (Antioxidant Component and Sensory Evaluation of Mixed Cereals)

  • 이경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6-201
    • /
    • 2015
  • 쌀밥 위주의 식사에서 곡류 또는 두류를 혼합한 잡곡밥의 섭취량이 늘고 있는 추세로 백미(대조군)와 혼합잡곡(혼합잡곡 1), 혼합잡곡에 정미성분을 가미한 잡곡(혼합잡곡 2)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 성분들의 함량 변화와 기호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Ascorbic acid의 함량에서는 백미의 경우, 6.68 mg%, 혼합잡곡군은 각각 18.23 및 21.84 mg%로 잡곡을 혼합하였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Tocopherol류의 함량에서는 백미는 1.26 mg%, 혼합잡곡 1군은 19.24 mg%이었고, 혼합잡곡에 정미성분을 가미한 혼합잡곡 2군은 39.32 mg%로 가장 높은 tocopherol류의 함량을 보였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에서 대조군은 2.20 mg%, 혼합잡곡군은 각각 14.38 및 21.91 mg%로 혼합잡곡군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Flavonoid 화합물의 함량은 대조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혼합잡곡 1군은 42.45 mg%, 혼합잡곡 2군은 32.54 mg%로 잡곡 혼합 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성분들은 메탄올 추출물에서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기호도에서는 맛, 향, 색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모두 정미성분을 첨가하였던 혼합잡곡 2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잡곡밥, 백미의 순으로 백미보다는 곡류 및 두류 및 정미성분을 혼합하는 것을 더욱 선호하였다.

증숙면 튀김 과정 중 대두유, 우지, 팜유의 가열 산화 안정성 (Thermo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Beef Tallow and Palm Oil during Frying of Steamed Noodles)

  • 최은옥;이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8-292
    • /
    • 1998
  • 대두유, 우지, 팜유에서 증숙면을 튀겨내면서 튀김유의 가열산화안정성을 살펴보았다. 튀김유를 $150^{\circ}C$로 가열하고 증숙면을 30분 간격으로 70초간 튀기는 도중 8시간 간격으로 튀김유를 채취하여 과산화물가와 유리지방산의 함량, 지방산 조성의 변화, 토코페롤 및 토코트리엔올을 분석하였다. 튀김과정중 대두유에서의 과산화물가 및 유리지방산가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우지와 팜유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구성 지방산의 불포화도는 대두유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팜유, 우지의 순이었다. 대두유의 지방산 조성은 튀김과정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으나 우지와 팜유에서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줄어드는 대신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여 산화에 대한 민감성을 나타내었다. 리놀레산과 팔미틴산의 함량비는 대두유의 경우 튀김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우지와 팜유에서는 튀김시간에 따라 높은 상관관계로 감소하였고 우지보다는 팜유에서 그 속도가 빨랐다. 이것은 대두유가 가열 산화에 가장 안정하고 우지, 팜유가 그 뒤를 따르고 있음을 암시한다. 토코페롤은 대두유에서 튀김과정에 의해 파괴되어 8, 16, 24시간 후 87.5, 81.1, 73.1%가 잔존하였으며 그 파괴 속도는 ${\gamma}$-토코페롤이 가장 컸고 ${\beta}-,\;{\alpha}$-토코페롤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조군 우지와 팜유에 각각 34.2, 169.0 ppm 존재하던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엔올은 튀김 8시간을 지나면서 모두 파괴되었다. 따라서 높은 불포화도에도 불구하고 대두유에서 나타난 가열산화안전성은 토코페롤의 높은 잔존량에 기인하였고, 팜유가 우지보다 낮은 가열산화안전성을 보인 것은 구성 지방산의 높은 불포화도에서 일부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흑미의 도정분획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 공수현;최용민;이선미;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15-8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흑미 두 품종(흑진주벼와 흑광벼)의 도정 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흑미의 항산화 성분으로 polyphenolic, flavonoid, anthocyanin과 ${\gamma}$-oryzanol, tocopherol 및 tocotrienol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DPPH와 ABTS radical 제거능을 측정하였다. 각 도정 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에서 rice bran 층에서 약 $15.3{\sim}15.5%$의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endosperm 메탄올 추출물에서 약 $0.9{\sim}1.1%$의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실험결과 rice bran의 추출물에서 endosperm, whole grain의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항산화 성분이 분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항산화 성분이 다량 분포하는 rice bran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력을 측정할 수 있었다. 품종 간에는 흑진주벼의 rice bran층의 항산화 성분이 흑광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흑미의 rice bran은 기능성식품의 성분으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