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ta}D$

검색결과 1,575건 처리시간 0.027초

$CO_2$ 레이저 광의 조사조건에 따른 치아의 치수강내 온도상승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mperature Changes in the Dental Tissues Irradiated by $10.6{\mu}m$ Laser Beam)

  • 고동섭;박용환;신상훈;엄효순;김웅;이찬영
    • 한국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10-216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와 치아조직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CO_2$ 레이저의 발진파장인 $10.6\mu\textrm{m}$의 레이저 빔 조사시에 일어나는 치아의 온도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CO_2$ 레이저 발진장치를 제작하여 여러 가지 조사 에너지, 조사시간에 대하여 발거된 치아의 치수강의 온도변화를 측정 분석하였다. 측정한 data를 분석하여 최대 상승온도 $\DeltaT_m$를 추정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실용적인 경험식을 얻었다. $\DeltaT_m=\alphaP\Delta\tauexp(-\betad)$$ 여기서 P는 레이저의 출력(W)이고 $\Delta\tau$는 조사시간(sec), d는 치아의 두께(mm)이다.

  • PDF

Delta-bar-Delta 알고리즘을 이용한 ODVS의 좌표 교정 (Coordinate Calibration of the ODVS using Delta-bar-Delta Neural Network)

  • 김도현;박용민;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669-67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카타디옵트릭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전 방향 구면 왜곡 영상에서의 좌표를 실제 거리좌표로 변환하기 위해서 3차원 포물면 좌표 변환 방법과 Delta-bar-delta 알고리즘에 의한 좌표 교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살펴본 결과 제안된 좌표 변환 방법이 환경 변수에 민감한 좌표 변환에서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다중텅그스텐산 이온평형에 대한 이온세기의 영향. 염화칼륨용액에서 (The Effects of Ionic Strength on Polytungstate Ions Equilibrium in KCl Solution)

  • 안상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7-170
    • /
    • 1974
  • 텅그스텐산이온 용액의 다핵화반응과 다중음이온의 양성자화반응에 대한 이온세기의 영향을 1∼4M KCl 용액에서 헥사텅그스텐산이온과 헥사텅그스텐산 이온의 양성자화된 형태가 생성되었다. 20∼50 C 및 1∼4M KCl 용액에서 헥사텅그스텐산이온 및 헥사텅그스텐이온의 양성화된 형태가 생성되는 반응에 대한 평행상수를 계산하였다. Van`t Hoff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헥사텅그스텐산이온의 양성자화된 형태가 생성되는 반응의 엔탈피변화는 이온세기에 관계없었다. $7H^++{6WO_4}^{2-}={HW_6O_{21}}^{5-}+3H_2O\;\;{\Delta}H^{\circ}=-62.4{\pm}0.6$$H^++{HW_6O_{21}}^{5-}={H_2W_6O_{21}}^{4-}\;\;{\Delta}H+_1^{\circ}=-4.12{\pm}0.10$$H^++{H_2W_6O_{21}}^{4-}={ H_3W_6O_{21}}^{3-}\;\;{\Delta}H_2^{\circ}=-4.36{\pm}0.30$위에 기술한 각 반응에 대한 자유에너지 변화 및 엔탈피변화를 계산하였고 이온세기의 영향을 고찰해보았다. 이온세기와 $log k_{6,7}$ 사이에 직선함수식이 성립하였다.$log k_{6,7}\;=\;D{\mu}+I,\;D\;=\;1.66{\pm}0.02$$logk_1$$logk_2$${\mu}$ 사이에도 전체 이온세기 범위내에서 직선함수식이 성립하였다.$logk_1=D_1{\mu}+I_1,\;logk_2\;=\;D_2{\mu}+I_2$ 여기에서 $D_1=-0.065{\pm}0.001이었고\;D_2=-0.367{\pm}0.0006$이었다.

  • PDF

용접(鎔接)이음한 구조강(構造鋼)의 소인장시험편(小引張試驗片)에서의 피로구열진전거동(疲勞龜裂進展擧動) (용접방향(鎔接方向), 입열량(入熱量), 용접재료(鎔接材料)의 강도(强度) 등이 다를 때) (The Propagation Behaviour of the Fatigue Crack in the Compact Tension Specimens of the Welded Structural Steels (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welding direction, the input heat level, the strength of weld material and so on))

  • 장동일;정영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33-142
    • /
    • 1984
  • 횡방향(橫方向)과 종방향(縱方向), 대입열용접(大入熱鎔接)과 소입열용접(小入熱鎔接), 모재(母材)와 같은 강도(强度)의 용접재료(鎔接材料) 사용(使用)과 모재(母材)보다 낮은 강도(强度)의 용접재료(鎔接材料) 사용(使用) 등으로 서로 비교되는 용접(鎔接)이음의 소인장시험편(小引張試驗片)을 만들어서 피로시험(疲勞試驗)을 행하여 피로구열(疲勞龜裂) 진전속도(進展速度) ${\frac{da}{dN}}$와 구열선단(龜裂先端) 부근의 응력확대계수(應力擴大係數)의 변동범위(變動範圍) ${\Delta}K$와의 관계곡선(關係曲線)을 그려서 비교시험간(比較試驗間)의 모재(母材), 열영향부(熱影響部) 및 용착금속부(鎔着金屬部)로 구분, 혹은 지금까지의 연구자료(硏究資料) 등과 비교검토하였다. 이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들을 알 수 있었다. 기본적(基本的)으로, 용접방향(鎔接方向), 용접입열량(鎔接入熱量), 용접재료(鎔接材料)의 강도(强度), 혹은 모재(母材), 열영향부(熱影響部) 및 용착금속부(鎔着金屬部)의 구분 등에 따라 ${\frac{da}{dN}}-{\Delta}K$관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첫째, 소재(素材)에 대한 경우에 비해 대개 처음은 같은 ${\Delta}K$에서 ${\frac{da}{dN}}$가 상당히 늦다가 점차 증가하여 중간쯤에서 같아진 후 끝 부분에서 같은 ${\Delta}K$에서${\frac{da}{dN}}$가 다소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열영향부(熱影響部)에서 용접금속부(鎔接金屬部)로 진전(進展)하면서 ${\frac{da}{dN}}$가 다소 늦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용접방향(鎔接方向)과 구열방향(龜裂方向)이 평행인 경우가 직각인 경우에 비해, 모재(母材)와 같은 용접재료(鎔接材料)를 쓴 경우 소입열용접(小入熱鎔接)인 경우가 대입열용접(大入熱鎔接)인 경우에 비해, 모재(母材)보다 낮은 용접재료(鎔接材料)를 쓴 경우 대입열용접(大入熱鎔接)인 경우가 소입열용접(小入熱鎔接)인 경우에 비해, 대입열(大入熱)의 평행용접(鎔接)의 경우를 제외한 모든 용접(鎔接)에서 모재(母材)와 같은 강도(强度)의 용접재료(鎔接材料)를 쓴 경우가 모재(母材)보다 낮은 강도(强度)의 용접재료(鎔接材料)를 쓴 경우에 비해 ${\Delta}K$가 낮은 시기(時期)에 일찍 저속(低速)으로 구열(龜裂)이 시작되어 ${\Delta}K$의 큰 증가없이 ${\frac{da}{dN}}$가 빠르게 증가한 다음 다른 경우와 같은 성상(性狀)으로 진전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소입열용접(小入熱鎔接)의 경우 평행용접(鎔接)이 직각용접(鎔接)에 비해, 소입열용접(小入熱鎔接)이 대입열용접(大入熱鎔接)에 비해 같은 ${\Delta}K$에서 ${\frac{da}{dN}}$가 다소 늦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연 노출 근로자들의 혈장 δ - aminolevulinic acid 량과 연 노출 지표들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sma δ - aminolevulinic acid Concentration and Lead Exposure Indices in Lead Workers)

  • 김진호;안규동;이성수;황규윤;김용배;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5-172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delta$ - aminolevulinic acid (ALAP) and lead exposure indices in exposure to lead. The subjects were 218 male workers in 2 storage battery companies and 2 secondary smelting companies. Blood lead(PbB), blood zinc-protoporphyrin( ZPP), urinary $\delta$ - aminolevulinic acid (ALAU), hemoglobin(Hb), and hematocrit(Hct) were measured as lead exposure indi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s of blood lead and blood ZPP concentration of subjects were $27.2{\pm}14.0{\mu}g/d{\ell}$ and $55.1{\pm}47.6{\mu}g/d{\ell}$, respectively. The means of plasma $\delta$ - ALA and urinary $\delta$ - ALA concentration were $18.9{\pm}25.1{\mu}g/d{\ell}$ and $2.1{\pm}4.6mg/{\ell}$, respectively. 2. The concentration of ALAP was $11.2{\mu}g/{\ell}$ for below $20{\mu}g/d{\ell}$ PbB, $12.8{\mu}g/{\ell}$ for from $21-40{\mu}g/d{\ell}$ PbB, and $51.2{\mu}g/{\ell}$ for over $40{\mu}g/d{\ell}$ PbB, respectively. 3. ALA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AU(r=0.829, p<0.01), ZPP(r=0.724, p<0.01) and PbB(r=0.552, p<0.01).

  • PDF

Rnf152 Is Essential for NeuroD Expression and Delta-Notch Signaling in the Zebrafish Embryos

  • Kumar, Ajeet;Huh, Tae-Lin;Choe, Joonho;Rhee, Myungchull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12호
    • /
    • pp.945-953
    • /
    • 2017
  • We report the biological functions of a zebrafish homologue of RING-finger protein 152 (rnf152) during embryogenesis. rnf152 was initially identified as a brain-enriched E3 ligase involved in early embryogenesis of zebrafish. Expression of rnf152 was ubiquitous in the brain at 24 hpf but restricted to the eyes, midbrain-hindbrain boundary (MHB), and rhombomeres at 48 hpf. Knockdown of rnf152 in zebrafish embryos caused defects in the eyes, MHB, and rhombomeres (r1-7) at 24 hpf. These defects in rnf152-deficient embryos were analyzed by whole-mount in situ hybridization (WISH) using neuroD, deltaD, notch1a, and notch3 probes. NeuroD expression was abolished in the marginal zone, outer nuclear layer (ONL), inner nuclear layer (INL), and ganglion cell layer (GCL) of the eyes at 27 hpf. Furthermore, deltaD and notch1a expression was remarkably reduced in the ONL, INL, subpallium, tectum, cerebellum, and rhombomeres (r1-7) at 24 hpf, whereas notch3 expression was reduced in the tectum, cerebellum, and rhombomeres at 24 hpf. Finally, we confirmed that expression of Notch target genes, her4 and ascl1a,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se areas at 24 hpf. Thus, we propose that Rnf152 is essential for development of the eyes, midbrain and hindbrain, and that Delta-Notch signaling is involved.

연산증폭기 공유 기법을 이용한 145μW, 87dB SNR을 갖는 저전력 3차 Sigma-Delta 변조기 (A 145μW, 87dB SNR, Low Power 3rd order Sigma-Delta Modulator with Op-amp Sharing)

  • 김재붕;김하철;조성익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87-9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패스가 없는 연산증폭기 공유 기법을 이용한 $145{\mu}W$, 87dB SNR을 갖는 저전력 3차 Sigma-Delta 변조기를 제안한다. 기존 구조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패스를 사용한 구조로 첫 번째 적분기의 계수가 작다는 단점을 지연된 피드포워드 패스를 추가하여 개선하였다. 제안한 구조는 디지털 패스를 제거하여 첫 번째 적분기의 계수를 크게 하였고 연상증폭기 공유 기법을 이용하여 전력소모가 기준 구조보다 적다. 전원전압 1.8V, 신호대역폭 20KHz, 샘플링 주파수 2.8224MHz 조건에서 $0.18{\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제안한 구조의 시뮬레이션한 결과, SNR(Signal to Noise Ratio)은 87dB, 전력소비는 $145{\mu}W$이다.

Polysulfone으로 carbon nanotubes (CNT)와 di-(2-ethylhexyl)-phosphoric acid (D2EHPA)를 고정화한 PSf/D2EHPA/CNT 비드에 의한 Cu(II)의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Cu(II) by PSf/D2EHPA/CNT Beads Prepared by Immobilization of Carbon Nanotubes (CNT) and Di-(2-ethylhexyl)-phosphoric acid (D2EHPA) on Polysulfone (PSf))

  • 이창한;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485-1491
    • /
    • 2016
  • PSf/D2EHPA/CNT beads were prepared by immobilizing di-(2-ethylhexyl)-phosphoric acid (D2EHPA) and carbon nanotubes (CNT) on polysulfone (PSf) and used to remove Cu(II) from aqueous solutions. Optimum pH was in the range of 4 to 6. The removal kinetic of Cu(II) by the prepared PSf/D2EHPA/CNT beads was mainly governed by internal diffusion, and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Cu(II) by PSf/D2EHPA/CNT beads was found to be $2.19{\times}10^{-4}{\sim}2.64{\times}10^{-4}cm^2/s$. The Langmuir isotherm model predicted the experimented data well. The maximum removal capacity of Cu(II) obtained from this isotherm was 7.32 mg/g. Calculated thermodynamic parameters such as ${\Delta}G^o$, ${\Delta}H^o$ and ${\Delta}S^o$ showed that the adsorption of Cu(II) ions onto PSf/D2EHPA/CNT beads was feasible, spontaneous and endothermic at 293-323 K.

얼굴인증 방법들의 조명변화에 대한 견인성 비교 연구 (Study On The Robustness Of Face Authentication Methods Under illumination Changes)

  • 고대영;김진영;나승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1호
    • /
    • pp.9-16
    • /
    • 2005
  • 본 논문은 얼굴인증 시스템 구현과 조명변화에 견인한 얼굴인증 방법들에 관한 연구에 초점을 둔다. 얼굴인증 시스템 구현을 위한 방법으로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GMM(Gaussian Mixture Models), 1차원 HMM(1 Dimensional Hidden Markov Models), 준 2차원 HMM(Pseudo 2 Dimensional Hidden Markov Models) 방법을 이용한다. 네 가지 다른 얼굴인증 방법들의 조명변화에 대한 성능비교 실험을 수행한다. 조명변화실험을 위해 얼굴이미지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인공적인 조명효과(${\delta}=0,40,60,80$)를 준다. 얼굴특징벡터는 얼굴이미지에서 분할한 각 블록에 대한 2D DCT(2 Dimensional Discrete Cosine Transform) 계수를 이용하고 실험은 ORL(Olivetti Research Laboratory) 얼굴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 실험결과 모든 경우 조명변화 값이 커질수록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또한 조명변화가 없는 경우(${\delta}=0$) 준 2차원 HMM이 $2.54{\%}$, 1차원 HMM이 $3.18{\%}$, PCA가 $11.7{\%}$, GMM이 $13.38{\%}$의 EER(Equal Error Rate) 성능을 나타낸다. 조명변화가 없는 경우(${\delta}=0$) 1차원 HMM 방법이 PCA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내지만 조명변화 ${\delta}{\geq}40$인 때에는 반대로 PCA 방법이 더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준 2차원 HMM의 경우 조명변화에 관계없이 가장 좋은 EER성능을 나타낸다.

불안 및 우울이 급성기 벨마비 환자의 안면근 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Psychological Di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n Motor Recovery of Acute Bell's Palsy Patients' Facial Muscle)

  • 김은석;이상훈;남상수;김용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1권1호
    • /
    • pp.149-158
    • /
    • 2014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motor recovery of acute Bell's palsy to estimate how much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the clinical prognosis. Methods : A total of 20 inpatients with acute unilateral Bell's palsy within 1 week of onset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everity of participants' facial palsy was measured by Yanagihara(Y-system) score, FDI and House-Brackmann scale at the time of 1 week and 3 weeks from the onset. The motor recovery of acute Bell's palsy is defined as ${\Delta}Y$-system during 2 weeks. Beck anxiety scale(BAI) and the center for epider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were adopted to assess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etween ${\Delta}Y$-system and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anxiety and depression. Results :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Delta}Y$-system and depression(CES-D) but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Delta}Y$-system and other prognostic factors, hypertension, diabetes, postauricular pain, disgeusia, age, degree of initial palsy and anxiety(BAI). And a regression equation with 0.295 for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obtained. Through this analysis, the ${\Delta}Y$-system can be predicted using regression equation which cover 29.5 % of depression index(CES-D). Conclusion : Depression is a significant clinical prognostic factor on motor recovery of acute Bell's palsy. So, Bell's palsy treatment should be combined with psychological care and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