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pinene$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6초

티트리 에센셜오일의 생물활성 및 주요 성분 분석 (Bio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 양선아;전상경;이은정;임남경;정지영;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644-1650
    • /
    • 2008
  • 티트리 에센셜 오일은 호주 원주민들의 전통적인 피부 소독제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효과와 주요성분 등 많은 보고가 있으나 추출 방법이나 사용 부위 등에 따라 효능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테라피 등에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판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효능을 평가하여, 다른 에센셜 오일과의 비교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티트리 오일의 주요성분은 GC-MS 분석에 의하여 ${\beta}$-terpinene (20.87%), ${\alpha}$-pinene (17.60%), p-cymene (11.23%), 3-carene (10.40%), trans-anethole (8.47%), limonene (4.65%)으로 밝혀졌으며, 5% 이하의 농도에서 3시간 미만까지는 피부세포에 독성이 없었다. 오일의 라디컬 소거능을 알아본 결과, DPPH와 ABTS의 양라디컬에 대하여 강한 소거능을 나타내어 강한 항산화능을 시사했다. 또한, 오일의 direct contact와 vapor-phase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법으로 스크리닝 한 결과, direct contact 활성의 경우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vapor는 S. aureus에 대하여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실제 많이 사용되는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생물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허브 오일들의 정확한 선택과 활용을 위한 기본적인 결과를 얻었다.

국화 꽃 휘발성 향기성분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작용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Food-Borne Pathogens by the Volatile Flavor of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Flower)

  • 장미란;서지은;이제혁;정미숙;김건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4-161
    • /
    • 2010
  • 국화 정유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증하기 위해 국화 정유와 그 주성분인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10종 균주에 대하여 agar-well diffusion 분석법으로 생육 여부를 분서하였다. 실험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에 대해서 탁월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 Agar-well diffusion 분석법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음성균보다 Gram 양성균에 대해서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국화 정유의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은 모든 균주에 대하여 5 ${\mu}g/m{\ell}$에서 균의 생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났고, minimum bacteriocidal concentration은 S. choleraesuis와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시험농도 내에서 사멸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다른 균주에 대해서는 5~20 ${\mu}g/m{\ell}$에서 살균력이 나타났다. 또한 액체 배양중의 항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24시간 동안 꾸준히 항균력이 지속되었다. 따라서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조성분으로 함유한 국화 정유성분은 10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입증되어, 천연 항균제재로서 식품보존료로의 이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황칠나무의 휘발성 화합물 분석 및 HepG2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Volatile Compound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on HepG2 Cells)

  • 양선아;코랄리아 가르시아;이지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61-566
    • /
    • 2017
  •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황금빛의 수액과 약리효과로 한국에서 알려져 있으며, 잎 및 줄기 추출물의 다양한 효능은 피부질환, 편두통, 월경통, 근육통 및 전염성 질환 등의 질병을 개선하는 약리 성분을 공급하는 우수한 공급원이 될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황칠나무 추출물의 효능에 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나, 부위별 휘발성 성분의 조성에 대한 보고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의 주요 휘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유기용매 및 초임계유체추출법을 이용한 추출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잎 추출물에서는 15가지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줄기 및 수액에는 각각 29가지 및 3가지 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용매와 초임계유체추출법을 사용하여 얻은 휘발성 성분의 프로파일은 다르게 나타났다. 잎의 용매 추출물과 줄기의 초임계유체 추출물에서는 에스테르와 방향족 탄화수소가, 잎의 초임계유체 추출물 및 줄기의 초임계유체 추출물에는 테르페노이드가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다. 한편, limonene (96.3%), ${\alpha}$-pinene, 그리고 ${\beta}$-myrcene은 수액 용매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잎 및 줄기의 용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 잎의 용매 추출물이 HepG2 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자과피를 이용한 Oleoresin의 제조 조건 (Manufacture Condition of Oleoresin using Citron Peel)

  • 정진웅;이영철;이경미;김인환;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9-145
    • /
    • 1998
  • 본 연구는 유자의 다양한 가공 및 이용 방안의 검토를 위하여 유자 부산물인 착즙 후의 과피를 이용하여 유자 oleoresin을 제조하기 위한 적정조건을 설정하였다. 먼저, 용매별(hexane, ether, dichloromethane, acetone, methane의 5종), 혼합 비율별, 추출온도 및 시간별에 따른 oleoresin추출시험 결과, 추출수율과 품질 등의 측면에서 추출용매로서는 methanol과 dichloromethane이 선정되었다. 이 때, 적정추출조건은 methanol을 사용할 경우, 용매첨가비율 1:10 (w/v), 추출시간 2시간, 추출온도 $60^{\circ}C$로 나타났으며, dichloromethane을 사용할 경우는 용매첨가비율 1:10 (w/v), 추출시간 4시간, 추출온도 $20^{\circ}C$의 조건으로 설정되었다. 이상의 적정추출조건에서 열풍 및 동결건조된 유자분말의 추출수율은 methanol을 사용했을 경우는 열풍건조한 시료가 35.79%, dichloromethane을 사용한 경우에는 동결 건조한 시료에서 6.16%로 추출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GC 및 GC/MS에 의해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methnol에 의해 추출할 경우에는 총 32개의 성분이, dichloromethane에 의해 추출한 경우에는 총 29개의 성분이 확인되었으나, 향기성분의 종류 및 함량에서 보면 dichloromethane에 의해 추출한 동결건조 시료가 다른 시험조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dichloromethane으로 추출한 동결건조 시료에 있어서의 유자 oleoresin의 주요 향기성분은 terpinene계 탄화수소인 limonene 및 ${\gamma}-terpinene$으로 이 들이 전체의 약 85% 수준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확인된 향기물질은 ${\alpha}-pinene,\;myrcene,\;terpinolene,\;{\beta}-farnesene$${\delta}-elemene$과 같은 hydrocarbon류와 alcohol류인 linalool이며, 확인되지 않은 물질의 peak area는 처리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약 $2{\sim}3%$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 PDF

편백 목부 정유의 항염증 효과 평가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amaecyparis obtusa (Sieb. et Zucc.) Wood)

  • 양지윤;안창환;정의배;최원실;김재우;박미진
    • 생약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8-24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wood of Chamaecyparis obtusa Sieb. et Zucc. Endl. (Cupressaceae). The essential oil was extracted from the wood of C. obtusa by hydrodistillation method, and conducted the analysi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xtracted C. obtusa wood oil through GC-MS.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 oil were found to be: ${\alpha}-pinene$ (11.4%), cadinene (5.4%), ${\delta}-cadiene$ (9.0%), ${\tau}-muurolol$ (22.2%), ${\alpha}-cadinol$ (20.8%) etc.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oil when it is injected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BL-2H3 cells, along with its effects on the secretion of interleukin-4 (IL-4), interleukin-13 (IL-13), ${\beta}-hexosaminidase$. According to the cell viability analysis conducted by MTT assay, the oil in $10^{-7}{\sim}10^{-5}%$concentration showed no effect on the cell viability. After RBL-2H3 cells treated by LPS stimulation were exposed to $10^{-7}%$ concentration of C. obtusa wood oil, the expression levels of IL-4, IL-13 within the cell were observed to remarkably decrease. Also, it was attenuated the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from mast cells to a significantly meaningful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 obtusa wood oil exert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which is a valuable feature to be highly utilized as the functional materials in the future.

Volatile Component of Pine Needles from Pinus densiflora S.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Ge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Lee Jae-Gon;Lee Chang-Gook;Back Shin;Jang Hee-Jin;Kwag Jae-Jin;Lee Gae-Ho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3-379
    • /
    • 2005
  • The volatile components of Pinus densiflora needles were stud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using seven kinds of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fibers, seven in SPME fibers: 100 ${\mu}m$ PDMS, 65 ${\mu}m$ PDMS/DVB, 65 ${\mu}m$ SF-PDMS/DVB, 85 ${\mu}m$ PA, 75 ${\mu}m$ CAR/PDMS, 65 ${\mu}m$ CW/DVB and 50/30 ${\mu}m$ DVB/CAR/PDMS fibers. A total of 40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seven different SPME fibers. The identified compon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alities, as follows: 26 hydro-carbons, 7 alcohols, 4 carbonyl compounds, and 3 esters.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of Pinus densiflora needles identified by these SPME fibers were $\alpha$-pinene ($1.7\~21.7\;{\mu}g/g$), $\beta$-myrcene ($2.0\~20.1\;{\mu}g/g$), $\beta$-phel-landrene ($4.6\~22.8\;{\mu}g/g$), $\beta$-caryophyllene ($6.7\~26.0\;{\mu}g/g$) germacrene D ($1.1\~11.9\;{\mu}g/g$). In the comparison of the seven SPME fibers, PDMS appeared to be the most suitable fiber for the analysis of hydrocarbon compounds and CAR/DPMS, PDMS/DVB, CW/VB and DVB/CAR/PDMS are shown to be optimal for analysis of the alcohols and carbonyl compounds.

Phytotoxicity and Volatile Monoterpenes of Leaves from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iwayomogi Used as Korean Herbal Injin

  • Yun, Kyeong-W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1호
    • /
    • pp.9-12
    • /
    • 2009
  •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iwayomogi are weeds used as medicinal plants in Korea under the name "Injin". I collected leaves of A. capillaris and A. iwayomogi, examined them for phytotoxic effects from volatile substances and determined the composition of monoterpenes in the leaves. The effects of volatile substances from each species on seed germination and radicle elongation in each of the two Artemisia species were assessed. The volatile substances of A. capillaris did not negatively affect the seed germination of A. capillaris, but they did inhibit radicle elongation. Rates of seed germination of A. iwayomogi decreased when the seeds were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 of A. capillaris volatile substances. The inhibition of seed germination and radicle elongation by volatile substances from both Artemisia species was stronger for A. iwayomogi than for A. capillaris. I identified the monoterpenoids from the leaves with a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GC-MS). The main constituents of A. capillaris were acenaphthylene (37.91%), $\beta$-pinene (12.08%), 4-carene (10.61%) and $\gamma$-curcumene (9.92%), while those of A. iwayomogi were germacrene-$\delta$ (32.15%), borneol (21.24%), camphor (20.45%) and trans-caryophyllene (7.75%).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lgerian Juniperus Phoenicea Essential Oil

  • Harhour, Aicha;Brada, Moussa;Fauconnier, Marie-Laure;Lognay, Georges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4권2호
    • /
    • pp.125-131
    • /
    • 2018
  • Berries and branches essential oil of Juniperus phoenicea were obtain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assisted extraction and by hydrodistillation with a yield varied from ($1.2{\pm}0.3$ to $2.4{\pm}0.7%$) and from ($0.6{\pm}0.1%$ to $1.1{\pm}0.1%$), respectively. forty eight compounds were identified representing (97.2 - 99.7%) of the oil. ${\alpha}$-Pinene (40.3 - 67.8%) and ${\delta}$-3-carene (13.5 - 26.8%) were the main compounds in berries and branches essential oils.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three means: inhibition of 2, 2-diphenyl-1-picryl hydrazyl (DPPH) free radical, reducing power and ${\beta}$-Carotene/linoleic acid bleach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ssential oils showed $IC_{50}$ ranging from $67.6{\pm}1.02{\mu}g/mL$ to $131.5{\pm}0.8{\mu}g/mL$ for berries and from $98{\pm}1.25{\mu}g/mL$ to $166.8{\pm}0.29{\mu}g/mL$ for the branches. Berries oil show more potent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branches. This result is supported by the three methods investigated in this work.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정유성분의 화학적구성과 항균효과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of Cryptomeria japonica)

  • 오서진;김홍준;김종문;주영승;정승일;나승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9권3호통권31호
    • /
    • pp.68-74
    • /
    • 2006
  • 목적 :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로부터 얻은 정유의 구성과 구강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작용을 연구하였다. 방법 : 정유의 화학적조성은 GC 와 GC-MS에 의하여 분석하였고, 정유와 그 주성분에 대한 구강박테리아 15균주의 항균효과를 시험하였다. 결과 : 정유의 95.82%에 해당하는 68복합체를 증명할 수 있었다. 정유의 주요성분은 ${\alpha}-pinene$ (6.07%), sabinene (8.86%), limonene (3.43%), ${\gamma}-cadinol$ (4.28%), ${\beta}-eudesmol$ (3.90%), and 10(15)-cadien-4-ol (7.16%)이었다. 삼나무의 주요성분은 거의 모든 박테리아에 대하여 MICs, 0.025 to 0.05 mg/ml; MBCs, 0.025 to 0.1 mg/ml에서 유의성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주요성분 또한 다양한 성장억제를 나타내었다. 결론 : 삼나무의 정유는 다종의 화학복합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다종의 구강박테리아에 대해 항균작용을 갖고 있다.

  • PDF

천연 오미자 추출물의 약리, 화학적 특성 및 분석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 성기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0-298
    • /
    • 2011
  • Natural Omija belongs to magnoliaceae was known to possess natural odor, taste, color, and various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Omija extraction was extracted using ethanol as a solvent. Omija extract showed a light red-violet color of viscous liquid state. Some conclusions from the result of characteristic experiment were obtained as follows. From the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occurrence of staphylococuss aureus and aspergillus niger as microbes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is phenomenon could know that Omija component is affected to antimicrobial effect. From the result of dye experiment, fiber dyeing showed with some ivory color after dyed to cotton and silk. This phenomenon could know that Omija component is affected to dyeing effect from observation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From the result of instrument analysis, inorganic components of K(107.30ppm), Na(2.110ppm), Ca(0.935ppm), Mg(0.891ppm), Li(0.270ppm) etcs from Omija were detected with ICP/OES, and aromatic components of benzene(10.808), a-pinene(13.996), phenol(14.183), ${\beta}$-terpene(15.840), a-terpinolene(17.616) etcs from Omija were also detected with GC/M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