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eta}-galactosidase$ activity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s of Ca-Gluconate on Fruit Firmness and Softening Enzyme Activities in Tomato using Hydroponics Systems

  • Kwon, Soo-Jeong;Lee, Guang-Jae;Roy, Swapan-Kumar;Cho, Kab-Yeon;Moon, Young-Ja;Cho, Jin-Woong;Woo, Sun-Hee;Kim, Hag-Hy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539-546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gluconate (Ca-glu) on fruit firmness and softening enzyme activities of hydroponically grown tomato (Solanium esculentum Mill.). The obtained results revealed that the rate of weight loss was markedly increased from at storage to 5 days after storage (DAS) in control, and was constantly increased until 7 DAS as 4.1% in Ca-glu treatment. Fruit firmness was more rapidly decreased in Ca-glu induced fruit compared to control. Results showed that fruit firmness in control and Ca-glu treated fruit were 0.67 and $0.95kg{\cdot}{\varphi}12mm^{-1}$, respectively. In our investigation, no difference was revealed in Hunter's 'a' value between control and Ca-glu treated fruit. Total carotenoids content of control fruit were rapidly increased while the Ca-glu treated fruit were gently increased. Lycopene content was higher ($63.3{\mu}g{\cdot}g^{-1}\;FW$) in control than Ca-glu treatment ($56.8{\mu}g{\cdot}g^{-1}\;FW$). The activity of Polygalacturonase (PG) was rapidly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as from 0.4 to 1.2 units whereas the PG activity of Ca-glu treatment was gently increased from 1 to 7 DAS, and rapidly increased from 7 to 11 DAS. However, the pectinesterase (PE) activity was rapidly increased in control fruit, when the storage period was increased, but interestingly, the Ca-glu treated fruit was slowly increased from 1 to 7 DAS, and rapidly increased 7to 11 DAS. ${\beta}$-galactosidase activity of Ca-glu induced fruit was rapidly increased from 1 to 7 DAS as from 1.6 to 3.0 units, and gently increased from 7 to 11 DAS. ${\beta}$-galactosidase activity of control were higher than Ca-glu treatment.

식용 및 약용자원의 에스트로젠 활성과 항산화능 평가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 최선영;임선혜;김지선;하태열;김성란;강경선;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49-556
    • /
    • 2005
  • 45종 식용 및 약용식물 에탄을 추출물의 에스트로젠 활성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 비교하였다. 재조합 효모법을 이용하여 에스트로젠 활성을 측정한 결과 감초, 강황, 경포부자, 구아바, 느릅(줄기), 도꾸다미, 백화사설초, 대황, 상백피(중국산), 상황버섯, 석류, 복분자(과육, 씨), 원지, 은행, 초두구, 홍화, 황정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감초와, 대황은 $100{\mu}g/mL$의 농도에서 1mg/mL 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TBARS 생성 억제능 두 가지가 모두 우수한 소재는 감초, 구아바, 느릅, 대황, 복분자, 초두구였다. 총 폴리페놀은 초두구가 594.7mg/g catechin eq.으로 가장 높았으며 삼칠근이 8.6mg/g catechin eq.으로 가장 낮았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강황이 약 394.9mg/g naringin eq.으로 가장 높았고 황정이 1.7mg/g naringin eq.으로 가장 적었다. 폴리페놀의 함량이 높은 식물의 대부분이 플라보노이드의 함량도 많았다. 시료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 활성과 폴리페놀 함량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r^2=0.61)$, 지질 과산화 억제능 및 에스트로젠 활성과 폴리페놀 함량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성이 적었다. 감초, 대황은 에스트로젠 활성이 높으면서 항산화능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파이토에스트로젠 활성을 가진 천연 소재를 선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 동결정액의 배양에 따른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의 변화

  • 황인선;정희태;양부근;김정익;박춘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25-25
    • /
    • 2003
  • 본 연구는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배양에 의한 체외수정능력과 glycosidase activity의 관계를 검토하였으며, 또한 돼지난자의 투명대내에서 발견된 당잔기에 대한 정자의 glycosidase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lpha$-L-fucosidase, $\alpha$-D-mannosidase, $\beta$-D-galactosidase 및 N-acetyl-$\beta$-D-glucosaminidase ($\beta$-GlcNAc'ase)의 activity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glycosidase activity는 동결정자의 융해 후 배양하지 않았을 때보다 2시간 배양했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beta$-GlcNAc'ase의 activity는 정자 배양 유무에 관계없이 다른 glycosidase 처리시보다 최소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체반응이 유기된 정자의 비율은 glycosidase ($\alpha$-D-mannosidase; P<0.05)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정자를 배양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배양된 정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배양시간에 따른 정자의 생존성에 대해 glycosidase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투명대내 정자의 접착과 침입에 대한 또 다른 실험에서, 서로 다른 glycosidase가 첨가된 배양액내에서 수정된 정자가 배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자의 침입율은 낮아졌다($\beta$-GlcNAc'ase; P<0.05). 투명대내의 정자접착 정도는 glycosidase의 첨가시에 무첨가시보다 접착정도가 더 높았으며, 가장 높은 접착율은 $\beta$-GlcNAc'ase첨가시 나타났다. 또한 모든 glycosidase 처리시 2시간 배양한 정자보다는 배양하지 않은 정자에서 투명대에 대한 접착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alpha$-D-mannosidase의 처리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beta$-GlcNAc'ase가 주로 돼지정자의 원형질막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되며, 배양된 정자에 의한 투명대 접착정도와 침입율이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glycosidase activity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식품위해성 세균의 증식 억제 및 세포구조 변화 (Inhibition of Foodborne Pathogens and Spoilage Bacteria and Their Structural Changes by Ethanol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김세령;김미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9-1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천연 항균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식품 위해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Paper disc diffusion test와 최소저해 농도(MIC) 측정에서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이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해 큰 생육저해환과 낮은 MIC를 나타내었다. Time-kill assay에서는 L. monocytogenes의 생육이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가장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E. coli,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에서는 ${\beta}$-galactosidase와 o-nitrophenyl-${\beta}$-D-galactoside가 높은 반응을 나타냄으로써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로 인해 세포막 손상이 유발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E. coli, E. coli O157:H7, P.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등 그람음성균에서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구성물의 유출과 세포 외막의 투과성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시차주사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관찰한 세포구조에서도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세포막의 부분적인 파괴와 세포 팽윤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결과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이 식품위해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천연 항균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효모재조합 검색시험법을 이용한 DEHP, DBP의 에스트로젠 효과 (The Estrogenic Effects of Phthalates(DEHP, DBP) in Yeast Recombinant Assay)

  • 정지윤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8-222
    • /
    • 2007
  • 에스트로젠 수용체와 리포터 유전자인 ${\beta}-galactosidase$가 도입된 효모재조합검색시험법을 이용하여 DEHP와 DBP의 내분비계 장애작용을 검색하였다. 양성대조 시험물질로 $17{\beta}-estradiol$을 설정하여 DEHP와 DBP의 에스트로젠 활성을 비교분석 하였을 때, $17{\beta}-estradiol$의 경우 $10^{-9}M$에서 가장 활성이 높게 관찰되었다. DEHP의 경우 $10^{-10}M$에서 $10^{-7}M$까지 시험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에스트로젠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0^{-7}M$의 경우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젠활성을 보였다. DBP의 경우 $10^{-9}M$에서 $10^{-6}M$까지 에스트로젠활성이 관찰되었다. DEHP와 DBP의 경우 최대활성화 대비 50% 이상의 활성도를 보이기 시작하는 농도가 $10^{-9}M$로 나타나서 비슷한 농도에서 에스트로젠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에스트로젠 최대활성화 시의 농도를 비교해 보면 DBP가 DEHP보다 10배 낮은 농도에서 최대활성치가 관찰되었기 때문에 DBP가 DEHP보다 에스트로젠 작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되어진 시험물질인 DEHP와 DBP는 효모재조합시험법에 있어서 에스트로젠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감수성에 있어서는 DBP가 DEHP보다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Cloning and Regulation of Schizosaccharomyces pombe Gene Encoding Ribosomal Protein S20

  • Lee, Yoon-Jong;Kim, Kyunghoon;Park, Eun-Hee;Ahn, Ki-Sup;Kim, Daemyung;Lim, Chang-Ji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31-36
    • /
    • 2001
  • A cDNA clone encoding the ribosomal protein S20 has been isolated from the Schizosaccharomyces pombe cDNA library by colony hybridization. The insert contained in the original plasmid pYJ10 was transferred intro shuttle vector pRS316 generate plasmid pYJll. The dDNA insert of plasmid pYJll, contains 484 nucleotides and encodes a protein of 118 amino acids with a calculated mass of 13,544 dalton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S. pombe ribosomal protein S20 is very homologous with fruit fly, rat, and budding yeast counterparts. It is also homologous with Xenopus S22 ribosomal protein. S. pombe ribosomal protein S20 appears to be relatively hydruphobic except the C-terminal region. The 728 bp upstream region of the S20 gene was amplified from chromosomal DNA and transferred into the BamHI/EcoRI site of the promoterles $\beta$-galactosidase gene of the vector YEp357R, which resulted in fusion plasmid pYS20. The synthesis of $\beta$-galactosidase from the fusion plasmid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the mid-exponential phase. The S. pombe cells with the fusion plasmid grown at 35$\^{C}$ gave lower $\beta$-galactosidase activity than the cells grown at 30$\^{C}$. Computer analysis showed the consensus sequence CAGTCACA in the upstream regions of various ribosomal protein genes in S. pombe, which would be involved in the coordinated expression of small ribosomal proteins.

  • PDF

Iron Chelator-Inducible Expression System for Escherichia coli

  • Lim, Jae-Myung;Hong, Mi-Ju;Kim, Seong-Hun;Oh, Doo-Byoung;Kang, Hyun-Ah;Kwon, Oh-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8호
    • /
    • pp.1357-1363
    • /
    • 2008
  • The $P_{entC}$ promoter of the entCERA operon encoding enzymes for enterobactin biosynthesis in Escherichia coli is tightly regulated by the availability of iron in the culture medium. In iron-rich conditions, the $P_{entC}$ promoter activity is strongly repressed by the global transcription regulator Fur (ferric uptake regulator), which complexes with ferrous ions and binds to the Fur box 19-bp inverted repeat. In this study, we have constructed the expression vector pOS2 containing the $P_{entC}$ promoter and characterized its repression, induction, and modulation by quantifying the expression of the lacZ reporter gene encoding $\beta$-galactosidase. $\beta$-Galactosidase activities of E. coli transformants harboring pOS2-lacZ were highly induced in the presence of divalent metal ion chelators such as 2,2'-dipyridyl and EDTA, and were strongly repressed in the presence of excess iron. It was also shown that the basal level $\beta$-galactosidase expression by the $P_{entC}$ promoter was drastically decreased by incorporating the fur gene into the expression vector. Since the newly developed iron chelator-inducible expression system is efficient and cost-effective, it has wide applications in recombinant protein production.

Novel Dosimeter for Low-Dose Radiation Using Escherichia coli PQ37

  • Park, Seo-Hyoung;Kim, Tae-Hwan;Cho, Chul-Koo;Lee, Yeo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524-528
    • /
    • 2001
  • The measurement of radiation response using simple and informative techniques would be of great value in studying the genetic risk following occupational, therapeutic, or accidental exposure to radiation. When patients receive radiation therapy, many suffer from side effects. Since each patient receives a different dose due to different physical conditions,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exact dose of radiation received by each patient to lessen the side effects. Even though several biological dosimetric system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there is no ideal system that can satisfy all the criteria for an idean dosimetric system, especially for low-dose radiation as used in radiation therapy. In this study, an SOS Chromotest of E. coli PQ37 was evaluated as a novel dosimeter for low-dose gamma-rays. E. coli PQ37 was originally developed to screen chemical mutagens using the SOS Chromotest-a colorimtric assay, based on the induction of ${\beta}$-galactosidase ue to DNA damage. The survival fraction of E. coli PQ37 decreased dose-dependently with an increasing dose of cobalt-60 gamma-rays. Also, a good linea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biological damage revealed by the ${\beta}$-galactosidase expression and the doses of gamma-rays. The expression of ${\beta}$-galactosidase activity that responded to low-dose radiation under 1 Gy was $Y=0.404+(0.089{\pm}0.3)D+(-0.018{\pm}0.16)D^2$ (Y, absorbance at 420 nm; D, Dose of irradiation) as calculated using Graph Pad In Plot and Excel. When a rabbit was fed with capsules containing an agar block embdded with E. coli PQ37 showed a linear response to the radiation doses. Accordingly, the results confirm that E. coli PQ37 can be used as a sensitive biological dosimeter fro cobalt-60 gamma-ray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time that a bacterium has been used as a biological dosimeter, especially for low-dose radiation.

  • PDF

영아 연축을 동반한 Krabbe병 1례 (A Case of Krabbe Disease with Infantile Spasm)

  • 김자경;김달현;강보영;권영세;홍영진;손병관;윤혜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95-99
    • /
    • 2003
  • 저자들은 뇌성마비로 진단받고 치료중 조절되지 않은 경련을 주소로 본과로 전원되어 자기 공명영상 촬영과 효소 측정법으로 Krabbe병의 조기 발현형으로 진단 받은 환자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beta-Galactosidase의 고정화 및 응용에 관한 연구 제1보: Aspergillus niger CAD 1의 효소생산 조건 및 효소학적 성질 (Studies on immobilization and application of beta-galactosidase I. Conditions for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the enzyme from Aspergillus niger CAD 1)

  • 이용규;전순배;최원기;정기철;배석;김관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39
    • /
    • 1986
  • 토양에서 분리한 여러가지 곰팡이류 가운데 beta-galactosidase 생성력이 가장 좋은 Aspergillus niger CAD 1을 효소 생산 균주로 선정 하였다. 이 균주의 효소 생산 최적 배양조건은 밀기울에 0.5% 탈지 분유를 첨가한 배지를 $30{\circ}C$에서 72시간 정치배양하는 것이었다. 아세톤으로 침전시킨 조효소(crude enzyme)는 일차로 DEAE-cellulose, 2차로 Sephadex G-100 gel filtration에 의하여 1,387배로 정제되었고 이때의 수율은 6.2%이였다. 정제된 효소의 최적 온도는 $45{\circ}C$ 최적 pH는 4.5이었으며, 기질로서 ONPG와 유당에 대한 Km값은 각각 $3.57{\times}10^3M$$83.3{\times}10^3M$, Vmax값은 각각 33.0 unit/mg protein과 15.38unit/mg protein이었다. 활성화 에너지는 9,900cal/mol이었으며 효소활성 및 안정제로 금속이온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50ml의 탈지유, 4.8%유당 용액, 유청용액에 효소 5ml(182 unit/ml)를 침가하여 $45^{\circ}C$에서 10시간 반응시켰을 때의 유당 분해율은 각각 65%, 70%, 78%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