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lysin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58초

Nanoliposomes of L-lysine-conjugated poly(aspartic acid) Increase the Generation and Function of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 Im, Sun-A;Kim, Ki-Hyang;Ji, Hong-Geun;Yu, Hyoung-Gyoung;Park, Sun-Ki;Lee, Chong-Kil
    • IMMUNE NETWORK
    • /
    • 제11권5호
    • /
    • pp.281-287
    • /
    • 2011
  • Background: Biodegradable polymers have increasingly been recognized for various biological applications in recent years. Here we examined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ies of the novel poly(aspartic acid) conjugated with L-lysine (PLA). Methods: PLA was synthesized by conjugating L-lysine to aspartic acid polymer. PLA-nanoliposomes (PLA-NLs) were prepared from PLA using a microfluidizer. The immunostimulatory activities of PLA-NLs were examined in mouse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BM-DCs). Results: PLA-NLs increased the number of BM-DCs when added to cultures of GM-CSF-induced DC generation on day 4 after the initiation of cultures. Examination of the phenotypic properties showed that BM-DCs generated in the presence of PLA-NLs are more mature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MHC class II molecules and major co-stimulatory molecules than BM-DCs generated in the absence of PLA-NLs. In addition, the BM-DCs exhibited enhanced capability to produce cytokines, such as IL-6, IL-12, TNF-${\alpha}$ and IL-$1{\beta}$. Allogeneic mixed lymphocyte reactions also confirmed that the BMDCs were more stimulatory on allogeneic T cells. PLA- NL also induced further growth of immature BM-DCs that were harvested on day 8.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PLA-NLs induce the generation and functional activities of BM-DCs, and suggest that PLA-NLs could be immunostimulating agents that target DCs.

과요오드산 산화당에 의한 인공 당단백질의 조제 (Glycosylation of Protein by Conjugation of Periodate-Oxidized Sugars)

  • 안용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2-67
    • /
    • 1999
  • 과요오드산 산화 가용성전분 및 말토올리고당을 고구마 ${\beta}-amylase$, 밀 ${\beta}-amylase$, aldolase, bovine serum albumin, catalase, carboxypeptidase, ferritin, pronase와 반응시켜서 전기영동하였다. 이들 단백질은 전기영동상의 이동도가 달라지고, 단백질 밴드와 같은 위치에서 PAS 염색 밴드를 나타내어 당이 부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의 부가는 과요오드산 산화당의 알데히드기가 단백질 분자 표면 리신의 ${\varepsilon}-NH_2$기와 Schiff 염기를 형성하여 일어난다. 변형효소는 자외흡광곡선에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고-Lysine 보리 돌연변이 계통 M98 종실의 아미노산 조성 및 Proteome Profile 특성 (Characterization of Grain Amino Acid Composition and Proteome Profile of a High-lysine Barley Mutant Line M98)

  • 김대욱;김홍식;박형호;황종진;김선림;이재은;정건호;황태영;김정태;김시주;;권영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1-181
    • /
    • 2012
  • 본 연구는 찰쌀보리와 M98의 종실에 함유된 아미노산 조성 및 단백질 profile의 특성 차이를 분석하여 M98의 고-Lysine 및 함몰배유 형질에 관련된 생화학적 정보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찰쌀보리와 M98 종실의 총 16개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lysine을 비롯하여 총 6개 아미노산의 조성비가 M98에서 찰쌀보리에 비해 1.2~1.8배 높았다. Proline과 그것의 전구물질인 glutamic acid의 조성비는 M98에서 찰쌀보리에 비해 절반수준으로 낮았는데, glutamic acid를 전구물질로 하여 합성되는 arginine의 조성비는 M98에서 찰쌀보리보다 1.8배 높았다. 2. 찰쌀보리와 M98간의 종실 단백질을 이차원전기영동으로 분리한 결과, 총 70개 단백질 spot에서 발현양상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찰쌀보리에 비해 M98에서 발현양이 높은 단백질 spot은 44개였으며, 발현양이 낮은 단백질 spot은 18개였다. 나머지 8개 단백질 spot에서 7개의 발현은 찰쌀보리에서만 확인되었고, 1개의 발현은 M98에서만 확인되었다. 3. 찰쌀보리와 M98의 종실에서 발현양상 차이를 나타낸 총 53개의 단백질 spot을 선택하여 nESI-LC-MS/MS 방식으로 동정하였으며, 대부분의 단백질 spot은 종실의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이었다. 특히, 28개 단백질 spot은 M98의 함몰배유 및 고-Lysine 형질과 연관된 단백질이었다. 4. 본 연구에서 밝혀진 M98 종실의 아미노산 조성 및 단백질 발현특성 정보는 향후 M98 유래 계통을 이용한 유전학적 검토 등을 통하여 고-Lysine 형질 연관 바이오마커 및 보리 신품종 개발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을 위한 변형된 대식세포의 기초적 연구 (Primary Cellular Study of Phagocytosis for Alzheimer Disease Diagnosis)

  • 조정민;채철주;강재민;김관수;송기봉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0-280
    • /
    • 2010
  • Alzheimer disease is a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disease of the aged, characterized by memory loss and dementia. For diagnosis of Alzheimer disease we have simply modified macrophage with amyloid beta bonded with different molecules. Modified Macrophage was observed with microscope for co-localization of amyloid beta molecule. For this experiment we used fluoroscene labeling substances. The macrophage was modified also with cell staining method. For cell staining method was used avidin-biotin reaction principles. Al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poly-L-lysine coated and sterilized glass substrates. In the presentation we will show the further investigations and applications with modified macrophage.

  • PDF

Effect of Carnosine and Related Compounds on Glucose Oxidation and Protein Glycation In Vitro

  • Lee, Beom-Jun;Park, Jae-Hak;Lee, Yong-Soon;Cho, Myung-Haing;Kim, Young-Chul;Hendricks, Deloy G.
    • BMB Reports
    • /
    • 제32권4호
    • /
    • pp.370-378
    • /
    • 1999
  • The effects of carnosine and related compounds (CRC) including anserine, homocarnosine, histidine, and ${\beta}$-alanine, found in most mammalian tissues, were investigated on in vitro glucose oxidation and glycation of human serum albumin (HSA). Carnosin and anserine were more reactive with D-glucose than with L-lysine. In the presence of $10\;{\mu}M$ Cu (II), although carnosine and anserine at low concentrations effectively inhibited formation of ${\alpha}$-ketoaldehyde from D-glucose, they increased generation of $H_2O_2$ in a dose-dependent manner. Carnosine, homocarnosine, anserine, and histidine effectively inhibited hydroxylation of salicylate and deoxyribose degradation in the presence of glucose and $10\;{\mu}M$ Cu (II). In the presence of 25 mM D-glucose, copper and ascorbic acid stimulated carbonyl formation from HSA. Except for ${\beta}$-alanine, CRC effectively inhibited the copper-catalyzed carbonyl formation from HSA. The addition of 25 mM D-glucose and/or $10\;{\mu}M$ Cu (II) to low density lipoprotein (LDL) increased formation of conjugated dienes. CRC effectively inhibited the glucose and/or copper-catalyzed LDL oxidation. CRC also inhibited glycation of HSA as determined by hydroxymethyl furfural and lysine with free ${\varepsilon}$-amino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C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against diabetic complications by reacting with sugars, chelating copper, and scavenging free radicals.

  • PDF

가열시간별 가물치육 엑스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변화 (Effect of Heating Time on Contents of Amino Acids and Related Compounds in the Muscle Extract of Snakehead)

  • 한영실;김경진;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1-146
    • /
    • 1986
  • 엑스성분에 대하여 비교적 알려진 것이 적은 담수어 중 가물치를 시료로 하여 가열 시간별로 육액스분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함량변화를 분석 검토하였다. 가물치의 생육중에는 glycine, taurine, glutamic acid, histidine이 특히 많은 함량을 보였고, 요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도 특기할 점이었다. 전술한 4 가지 성분이 전체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중 약$53\%$를 차지하였다. 가열시간에 따른 전질소엑스분의 양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체로 가열 120분까지는 대폭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관계를 보였다. 120분간의 가열에서 특히 현저한 증가를 보인 성분은 요소를 비롯하여 taurine, glycine, alanine, hydroxyproline, ${\beta}$-aminoisobutyric acid 등이었다. 엑스분을 가수분해한 결과, 일부의 성분은 증가하였으며, ethanolamine, lysine, 1-methylhistidine, phenylalanine, glutamic acid, taurine 등은 현저한 증가경향을 보였다.

  • PDF

대장균의 동역학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L-threonine 생합성에 관한 모사 연구 (Simulation Study of Dynamic Network Model for L-Threonine Biosynthesis in Escherichia coli)

  • 정의섭;이진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97-10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대장균 내에서 L-threonine의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제들에 대한 모사 연구를 위하여 L-aspartate에서 L-threonine까지의 아미노산 생합성 대사 네트워크를 문헌 및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구축하였다. 또한 L-threonine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제들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효소 반응식에 적용시켰다. 모사 연구를 위해 초기 농도값을 L-aspartate 5 mM, ATP 5 mM, NADPH 2 mM으로 설정하고 저해제의 농도 변화에 따른 세포내 대사 물질들의 농도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저해제 L-lysine, L-methionine, L-glutamate는 저해제 농도 변화에 따라 대사 물질들의 농도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저해제 L-serine, L-cysteine 그리고 L-threonine의 경우 저해제의 농도 변화에 따라 세포내 대사물질들의 농도 곡선이 서로 다른 결과를 얻었다. 대장균 내에서 소비되어진 L-aspartate의 농도는 세포 내 생성되는 L-threonine과는 관련이 없었고, 생성되는 L-threonine의 농도는 세포 내에 축적된 D,L-aspartic ${\beta}$-semialdehyde에 반비례하였다.

식품 소재로서 장미꽃의 화학성분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Rose Petals (Rosa hybrida L.) As A Food Material)

  • 양미옥;조은자;하재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39-542
    • /
    • 2002
  • 다양한 식품 소재의 창출을 목적으로 그 기초자료로서 장미의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물기준으로 조단백질 16.3%, 조지방 2.9%, 조회분 5.4%, 조섬유 16.1%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xylose가 검출되었으며, $\beta$-carotene은 205.2 ug/100 g, ascorbic acid는 129.5 mg/100 g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질 함량은 K, P, Mg, Ca, Na, Fe순으로 다량 함유하며 K함량이 1,981.7 mg/100 g으로 가장 많았다.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ysine, leucine 순으로 많았고, 그 함량은 각각 4,007.3, 1,114.8, 672.6, 661.0 mg/100 g이 었다. 지방산 조성은 76.3%가 불포화지방산이었으며, 그 중 linoleic acid가 58.2%이었다.

아미노-카르보닐 반응(反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ino-Carbonyl Reaction)

  • 양륭;신동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8-96
    • /
    • 1980
  • 아미노-카르보닐 반응에 대한 반응 조건을 검토하고 반응성에 미치는 아미노산(酸)의 영항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아미노-카르보닐 반응은 알칼리성이 강할수록 melanoidin 생성량은 크게 증대되었으며, 아미노산의 등전점 이상에서 반응 속도는 더욱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당(糖)과 아미노산(酸)의 몰 분비(分比)가 1:1일 때까지 melanoidin 생성량은 직선적으로 증가되었으며, 당과 아미노산(酸)은 1:1로 결합함을 알 수 있었다. 3. 아미노-카르보닐 반응은 시간과 반응 온도에 높은 의존성을 보였으며, 동(同) 몰의 glucose-glycine 계(系)에서의 활성화 에너지는 37.5Kcal/mole이었다. 4. 사용된 아미노산(酸) 중(中)에서 glycine, lysine 및 $\beta$-alanine이 당과의 반응성이 현저하게 높았으며, 산성(酸性)아미노산(酸)의 반응성은 아주 낮았다. 따라서 산성(酸性) 아미노산(酸)의 측쇄(測鎖)의 카르복실기(基)는 아미노기(基)의 반응성에 가장 저해(沮害)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5. 사용된 당류(糖類)의 반응성은 다음의 순서로 나타났다. Xylose>arabibose>fructose>glucose>maltose>lactose.

  • PDF

Methylation Changes of Lysine 9 of Histone H3 during Preimplantation Mouse Development

  • Yeo, Seungeun;Lee, Kyung-Kwang;Han, Yong-Mahn;Kang, Yong-Ko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20권3호
    • /
    • pp.423-428
    • /
    • 2005
  • Immediately after fertilization, a chromatin remodeling process in the oocyte cytoplasm extracts protamine molecules from the sperm-derived DNA and loads histones onto it. We examined how the histone H3-lysine 9 methylation system is established on the remodeled sperm chromatin in mice. We found that the paternal pronucleus was not stained for dimethylated H3-K9 (H3-$m_2K9$) during pronucleus development, while the maternal genome stained intensively. Such H3-$m_2K9$ asymmetry between the parental pronuclei was independent of $HP1{\beta}$ localization and, much like DNA methylation, was preserved to the two-cell stage when the nucleus appeared to be compartmentalized for H3-$m_2K9$. A conspicuous increase in H3-$m_2K9$ level was observed at the four-cell stage, and then the level was maintained without a visible change up to the blastocyst stage. The behavior of H3-$m_2K9$ was very similar, but not identical, to that of 5-methylcytosine during preimplantation development, suggesting that there is some connection between methylation of histone and of DNA in early mous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