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glucosidase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32초

Bioconversion of Isoflavones and the Probiotic Properties of the Electroporated Parent and Subsequent Three Subcultures of Lactobacillus fermentum BT 8219 in Biotin-Soymilk

  • Ewe, Joo-Ann;Wan-Abdullah, Wan-Nadiah;Alias, Abdul Karim;Liong, Min-Tz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7호
    • /
    • pp.947-959
    • /
    • 2012
  • This study was aimed at an evaluation of the potential inheritance of electroporation effects on Lactobacillus fermentum BT 8219 through to three subsequent subcultures, based on their growth, isoflavone bioconversion activities, and probiotic properties, in biotin-supplemented soymilk. Electroporation was seen to cause cell death immediately after treatment, followed by higher growth than the control during fermentation in biotin-soymilk (P<0.05). This was associated with enhanced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beta}$-glucosidase specific activity, leading to increased bioconversion of isoflavone glucosides to aglycones (P<0.05). The growing characteristics, enzyme, and isoflavone bioconversion activiti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bcultures of treated cells in biotin-soymilk were similar to the control (P>0.05). Electroporation affected the probiotic properties of parent L. fermentum BT 8219, by reducing its tolerance towards acid (pH 2) and bile, lowering its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selected pathogens, and reducing its ability for adhesion,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bcultures of the treated cells showed comparable traits with that of the control (P>0.05), with the exception of their bile tolerance ability, which was inherited to the treated cells of the first and second subcultures (P<0.05). Our results suggest that electroporation could be used to increase the bioactivity of biotin-soymilk via fermentation with probiotic L. fermentum BT 8219, with a view towards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종이의 산성화가 미생물의 분해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aper acidity on the cellulolytic activity of fungi)

  • 한성희;이규식;정용재;이혜윤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9호
    • /
    • pp.3-22
    • /
    • 1998
  • The effect of pH on degradation of paper by some fungi, which able to degrade cellulose, was investigated. Trichoderma koningii, Aspergillus nigerand Penicillium nigulosum were cultured at $28^{\circ}C$ for 16 days in the selective medium (PH3, PH4, PH5, PH6, PH7, PH8, PH9, PH10, PHC) containing paper as substrate. Each paper was pretreated with each pH buffer (pH 3∼pH 10, D.W.)prior to addition to the selective medium. Enzyme activities in the each culture medium were measured spectroph to metrically using C.M.C., Avicel, PNPG as the substrates for endoglucanase, exoglucanase and $\beta$-glucosidase, respectively. In all experimental fungi, the enzyme activities of PH3 and PH9 medium were usually much higher than those of other experimental groups. However in the PH6medium, enzyme activity was lower than other groups.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and pattern of protein in the each culture medium, the medium was concentrated by lyophilization. The protein concentration of PH3 and PH9 medium were relatively high (T.koningii; 6.31mg, 6,19mg, A.niger; 1.62mg, 1.96mg, P.nigulosum;2.50mg, 2.73mg, respectively), but that of PH6 was relatively low. The protein pattern of each medium was analyzed by using SDS-PAGE and VDS Image Master Analysis Program. The concentrations of bands in the each lane were usually high at lane2 (PH3) and lane8 (PH9) and low at lane5 (PH6). Therefore, the incresed cellulolytic activity of fungus against acidified paper could be result of structural change and deterioration of paper caused by being acidified.

  • PDF

항생제 대체 천연물질을 위한 아로니아 주정 추출물 개발에 있어 다양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균주를 이용한 발효가 페놀계 화합물 및 항산화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Alteration in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onia melanocarpa Ethanol Extracts following Fermentation Using Different Strains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to Develop Natural Antibiotic Alternative)

  • 황주환;강주희;이기환;이재훈;이상무;김남형;김주영;김은중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25-839
    • /
    • 2014
  • Antioxidant activity is important for reducing oxidative stress that causes various metabolic disorders. Metabolic disorders are highly related to loss of productivity in livestock. Therefore, development of effective antioxidant compounds originating from plants is important for organic agriculture. Phenolic compounds in edible plants are regarded as major components relevant to antioxidant activi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profiles of Aronia (Aronia meloncarpa) by fermentation using different strains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 total of 5 strains of L. mesenteroides were used as starter cultures and their ${\beta}$-glucosidase activities were measured. A total of 6 experiment runs were prepared, one for control (uninoculated) and the others (inoculated) for treatments. For biological activity,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measured. For phenolic compound profiling, TLC and HPLC analysis were performed. The strains of KACC12313 and KACC12315 showed greater enzyme activity than others. Treatment with KCCM35046 showed strong and broa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o Listeria monocytogenes. Treatments with KCCM35046 and KACC12315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found in KACC12315 treatment. No remarkable alteration was found in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analysis. In phenolic compound profiling analysis, KCCM35046 showed notable alteration in compound area ratio compared to others and also showed the highest caffeic acid content. In chlorogenic acid, treatments with KCCM35046 and KACC12315 showed great content than others. Treatment with KACC12315 showed the greatest content of trans-ferulic acid. As a result of relative performance indexing analysis, L. mesenteroides KCCM35046 and KACC12315 were selected as the best strain for the fermentation of Aronia.

각질형성세포에서 MMP-1 활성 및 자외선 유도 무모쥐 피부손상에 대한 카테킨 고함유 녹차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Catechin-rich Green Tea Extract on the MMP-1 Activity of HaCaT Keratinocyte Cells and on UVB-induced Skin Damage in Hairless Mice)

  • 양원경;박양춘;김복규;최정준;류건식;김승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3-150
    • /
    • 2019
  • Background: Skin is an organ that protects the human body from various environmental stimuli that can induce immune system activation. Skin agin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physiological aging, which is caused by the a decrease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skin and structural changes with aging, and photoaging, which is caused by the chemical stress induced by external stimuli such as ultraviolet (UV) radiation. Methods and Resul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wrinkle and UV protective effect of catechin-rich green tea extract (CGTE) in activated keratinocyte (HaCaT cells) and UV-induced skin damage in hairless mice. The results showed that CGTE inhibits the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feron-gamma ($TNF-{\alpha}+IFN-{\gamma}$)-induce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in HaCaT cells. In addition, the CGTE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wrinkle formation, epidermal thickness, collagen deposition,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dorsal skin irradiated with UVB. However, the ${\beta}$-glucosid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GTE treatment inhibits mRNA expression and enzyme activity of MMP-2 and MMP-9 in the dorsal skin irradiated with UVB.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CGTE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functional food and cosmetic ingredient to improve skin moisture retention and reduce wrinkle formation.

Complete genome sequence of Enterococcus faecium strain AK_C_05 with potential characteristics applicable in livestock industry

  • Hyunok Doo;Jin Ho Cho;Minho Song;Eun Sol Kim;Sheena Kim;Gi Beom Keum;Jinok Kwak;Sriniwas Pandey;Sumin Ryu;Yejin Choi;Juyoun Kang;Hyeun Bum Kim;Ju-Hoon L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2호
    • /
    • pp.438-441
    • /
    • 2024
  • The Enterococcus faecium (E. faecium) strain AK_C_05 was isolated from cheonggukjang, the Korean traditional food, collected from a local market in South Korea. In this report, we presented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E. faecium strain AK_C_05. The genome of E. faecium strain AK_C_05 genome consisted of one circular chromosome (2,691,319 bp) with a guanine + cytosine (GC) content of 38.3% and one circular plasmid (177,732 bp) with a GC content of 35.48%. The Annotation results revealed 2,827 protein-coding sequences (CDSs), 18 rRNAs, and 68 tRNA genes. It possesses genes, which encodes enzymes such as alpha-galactosidase (EC 3.2.1.22), beta-glucosidase (EC 3.2.1.21) and alpha-L-arabinofuranosidase (EC 3.2.1.55) enabling efficient utilization of carbohydrates. Based on Clusters of Orthologous Groups analysis, E. faecium strain AK_C_05 showed specialization in carbohydrate transport and metabolism indicating the ability to generate energy using a variety of carbohydrates.

느티만가닥버섯의 신품종에 대한 endo-, exo-cellular 효소 활성도의 비교 (Comparison of Endo-, Exo-Cellular Enzyme Activity for New Strains of Hypsizygus marmoreus)

  • 이창윤;송호성;노현수;우주리;유영현;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37-843
    • /
    • 2012
  •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느티만가닥버섯의 6개 품종에 대한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endo-, exo-cellular 효소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국내 야생종인 Hm3-10과 일본 재배종인 Hm1-1과의 단핵균사 교배를 통하여 343개의 교배 균주를 획득하여 재배를 실시하여 58개 균주를 1차 선발하고 2차로 6개 균주를 선발하였다. 6개 선발 균주를 대상으로 배양 일수 별로 재배를 실시한 결과 배양일수가 80일 이상에서는 재배일수가 19~20일로 단축되어 최적 배양일수를 80일로 결정하였다. 80일 배양일수에서 각 품종별 형태적 특성을 검증한 결과 Hm15-3, Hm15-4, Hm17-5의 3균주가 재배에 적합한 균주로 판명되었다. 각 균주의 endo-cellular 효소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alpha}$-amylase의 효소 활성도가 73.9~102,2 unit/mg protein으로 가장 높았으며, chitinase 의 효소 활성도가 8.1~13.1 unit/mg protein으로 측정되었다. Exo-cellular효소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alpha}$-amylase의 효소 활성도가 5,292~1,184 unit/mg protein으로 가장 높았으며, CMCase와 Xylanase의 효소 활성도가 각각 1,140~245 unit/mg protein, 94~575 unit/mg protein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beta}$-glucosidase와 chitinase의 활성도는 비교적 낮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신체형장애, 우울장애 및 정신신체장애 환자들간의 질병행동의 비교 (A Comparison of Illness Behavior among Patients with Somatoform Disorders, Depressive Disorders and Psychosomatic Disorders)

  • 고경봉;기선완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2호
    • /
    • pp.185-194
    • /
    • 1997
  • 본 연구는 정신과외래에 내원한 52명의 신체형장애, 52명의 우울장애, 51명의 정신신체장애환자들을 대상으로 질병행동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질병행동을 평가하기 위해서 질병행동평가스케줄(illness behavior assessment schedule) 및 치료추구행태에 관한 설문을 사용하였으며 면담방법은 구조적인 형태로 이루어졌다. 신체형장애환자들과 정신신체장애환자들은 각각 우울장애환자들에 비해 신체적 질병에 대한 확신, 질병에 대한 공포, 질병에 대한 집착이 더 강하고 한의원의 이용빈도가 더 높았다. 신체형장애환자들은 우울장애환자들에 비해 질병의 원인을 신체적인 것으로 더 확신하고 정동장애의 원인을 심리적인 것으로 귀착시키는 경향이 낮으며 우울 및 안절부절못하는 정도 및 정신과에 대한 수용도가 각각 더 낮았다. 한편 신체형장애환자들은 정신신체장애환자들보다 질병의 정도가 더 경한 것으로 설명되었음을 확신하였다. 신체형장애환자들은 정신적 고통이 있는 경우에 감정표현의 억제가 더 현저하였다. 신체형장애환자들 중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더 심리적 장애가 있고 병의 원인을 심리적인 인자로 귀착시켜 여자에 대한 정신과적 접근이 더 용이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질병 행동에 있어서 신체형장애환자들이 우울장애환자들과는 다른 반면 증상의 평가에 있어서 치료자와 환자간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정신신체장애환자들과 비슷한 양상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신체형장애환자들에 대한 접근은 이런 환자들의 심리적인 것을 부정하려는 욕구를 이해하면서 처음에는 신체적인 접근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심리적 및 생물정신사회적인 접근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된다.조절되어진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하지만 태생어류에서 이 호르몬의 실질적 작용 메카니즘 및 명확한 작용시기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요구되어 진다.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적(最適) 온도(溫度)는 $30^{\circ}C$, avicelase와 ${\beta}-glucosidase$의 최적(最適) pH는 5.0, CMCase는 pH 5.5 이었으며, 균사(菌絲) 생육(生育)은 pH 5.0에서 양호(良好)하였다. 배양(培養) 기간(期間)은 avicelase가 8일(日), CMCase가 10일(日), ${\beta}-glucosidase$는 16 일간(日間) 배양(培養)하였을 때 최대치(最大値)를 보였고, 균사(菌絲) 생육(生育)은 12일(日) 배양(培養)했을 때 가장 양호(良好)하였다.가한 반면, 중국인들은 고소한 향의 강도, 고소한 향의 기호도, 전체적인 맛에서 뚜렷하게 일본참기름을 우수하게 평가하였다.s의 항체(抗體)로 반응(反應)시킨 후 protein-A gold(15 nm)로 표식(標識)시킨 바 제일 바깥 상층(上層)의 keratinocyte에 있어서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을 따라 표식(標識)되어 세포막항원(細胞膜抗元)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소견(所見)으로 미루어 정상피부(正常皮膚) 중층편평상피세포(重層扁平上皮細胞)에서도 동일(同一)한 소견(所見)을 관찰(觀察)할 수 있다고 본다.al remnants, Resorption of fetus로 관찰된 것이다. Fetal death는 수정후 $14{\sim}18$일까지의 사망으로써 Maceration of fetus로

  • PDF

화산회토 감귤원 토양의 시비관리가 토양미생물활성 및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Fertilization Management Practices on Soil Microbial Activities and Community Structure in Volcanic Ash Citrus Orchard Soil)

  • 좌재호;한승갑;원항연;임한철;현해남;서장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2-229
    • /
    • 2009
  • 화산회토 감귤원 토양의 시비관리에 따른 토양효소 활성과 인지질 지방산함량을 분석하여 토양미생물활성과 미생물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토양은 13년간 시비량을 달리하여 관리되고 있는 무비료구, 퇴비구, 1/2NPK+퇴비구, NPK+퇴비구, NPK구, 3NPK구에서 2007년 3, 5, 7, 9월초에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Urease 활성은 3, 5, 9월에 NPK+ 퇴비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학비료+퇴비구가 화학비료구보다 높았고, 3월과 5월은 NPK구>퇴비구>무비료구, 7월과 9월은 퇴비구>NPK구>무비료구 순이었다. Dehydrogenase활성은 5월에 1/2NPK+퇴비구가 $4.3ug\;TPF\;g^{-1}\;24h^{-1}$로 무비료구 $2.4ug\;TPF\;g^{-1}\;24h^{-1}$ 보다 높았고 처리간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beta$-glucosidase 활성은 5월에 NPK구와 1/2NPK+퇴비구가 무비료구 보다 높았으며 처리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3월에 인지질 지방산 총함량은 NPK+퇴비구가 $349.2n\;mol\;g^{-1}$로 3NPK구 $228.5n\;mol\;g^{-1}$보다 높게 나타났다. 5월은 1/2NPK+퇴비구가 $237.8n\;mol\;g^{-1}$로 3NPK구 $133.1n\;mol\;g^{-1}$보다 높았다. PLFA의 Biomaker에 의한 미생물군들의 분포비율은 조사시기와 처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기별로 인지질 지방산 함량을 이용하여 처리구별 미생물군집의 변화에 대한 주성분 분석결과 3월의 경우 퇴비구와 3NPK구가 다른 처리구와 다르게 군집구조를 나타냈으나 5월에는 퇴비구와 3NPK구간에 군집구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7월과 9월에는 처리구간에 군집구조의 차이가 없었다. 화학비료 시비와 시간적 변이가 미생물 군집구조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농약(農藥)이 토양(土壤) 미생물상(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살균(殺菌)·살충제(殺蟲劑)가 토양중(土壤中)의 미생물(微生物), 토양호흡(土壤呼吸) 및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esticides on Soil Microflora -I. Effects of pesticides on Microflora, Soil Respiration and Enzyme Activity in Soil)

  • 김광식;김용웅;이명철;김현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5-385
    • /
    • 1987
  • 농약(農藥)의 사용(使用)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농약(農藥)이 토양(土壤) 환경(還境)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살펴보기 위하여 살균제(殺菌劑)로는 Isoprocarb, Captan을 살충제(殺蟲劑)로는 Carbofuran, Propoxur, Acephate를 사용(使用)하여 이들 농약(農藥)의 처리(處理) 후(後) 토양(土壤) 호흡(呼吸), 미생물상(微生物相), 토양(土壤) 효소(酵素)와 연작지(連作地)에서 병원성(病原性) 미생물(微生物)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농약(農藥)의 처리(處理)에 의하여 토양호흡이 저해(沮害)되었으나 그 정도는 크지 않았고 Propoxur $10{\mu}g/g$ 처리(處理)에서는 대조구(對照區)보다 조금 증가(增加)했으며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에 대(對)하여는 처리초기(處理初期)의 짧은 기간(期間)동안은 균수(菌數)가 감소(減少)하였으나 배양일수(培養日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그러나 Captan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세균수(細菌數)가 배양(培養) 60일(日)에도 상당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과 호흡량(呼吸量)과의 관계에서 일반적(一般的)으로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으며 특히 세균(細菌)의 경우 1%수준(水準)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다. 토양효소(土壤酵素)에 대(對)한 영향(影響)은 초기(初期)의 짧은 기간(期間)동안 비교적(比較的) 활성(活性)의 저해(沮害)가 컸으나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Carbofuran 처리구(處理區)에서는 20일(日) 및 30일배양(日培養)에서 대조구(對照區)보다 polygalacturonase의 활성(活性)이 증가(增加)되었으며 ${\beta}$-glucosidase는 살충제(殺蟲劑) 처리구(處理區)에서 10일(日)째에, dehydrogenasg 활성(活性)은 Carbofuran 및 Propoxur 처리구(處理區)에서 60일(日)째에, 그리고 Acephate는 20일(日)과 60일(日)에 각각 대조구(對照區)보다 활성(活性)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phosphatase의 활성(活性)은 유기인제(有機燐劑)인 Propoxur 및 Isoprocarb 처리구(處理區)에서 배양(培養) 60일(日)에 저해(沮害)를 나타났다.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과 효소활성(酵素活性)과의 관계에서 일반적(一般的)으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며 특(特)히 Carbofuran의 경우 1%수준(水準)에서 고도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다. 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에서 Fusarium 속균(屬菌)은 전체적(全體的)으로 배양(培養) 60일(日)에 균수(菌數)의 감소(減少)를 보였고 Pythium 속균(屬菌)은 Isoprocarb와 Acephate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증가(增加)를 하였으나 Propoxur와 Captan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배양(培養) 60일(日)에 현저한 균수(菌數)의 감소(減少)를 나타냈다. 앞으로 농약(農藥)의 분해산물(分解産物)들의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에 대(對)한 영향(影響)과 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에서 다른 약제(藥劑)의 잔류(殘留)에 의(依)한 영향(影響)등 지속적(持續的)인 연구검토(硏究檢討)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Bacillus subtilis HJ18-3과 KACC 15935를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품질특성과 isoflavone 함량의 변화 (Changes in isoflavone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HJ18-3 and KACC 15935)

  • 이경하;최혜선;최윤희;박신영;송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1-128
    • /
    • 2014
  • 청국장 제조 시 사용되는 균주인 Bacillus sp. HJ18-3과 B. subtilis KACC 15935균주를 청국장 제조 시 starter로 접종하여 발효시켜 품질특성과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을 측정하였다. a-amylase와 cellulase활성은 control과 B. subtilis HJ18-3 균주를 접종한 청국장이 B. subtilis KACC 15935 균주를 접종한 청국장보다 각각 2.56, 2.59배 그리고 1.13, 1.23배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protease활성은 B. subtilis KACC 15935과 B. subtilis HJ18-3의 활성이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Control, B. subtilis KACC 15935, B. subtilis HJ18-3의 함량이 각각 $88.20{\pm}13.86$, $129.62{\pm}1.15$, $118.40{\pm}48.65mg%$로 나타났으며 이는 protease 효소활성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 control, KACC 15935, HJ18-3의 함량이 각각 $1.95{\pm}0.72$, $2.62{\pm}1.17$, $2.59{\pm}0.76%$로 전반적으로 control에 비해 처리구가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호기적 총균수와 미비한 차이로 B. subtilis HJ18-3의 균수가 적은 경향을 나타낸 것은B. cereus와Candida albicans에 대해 항균력이 우수하다고 보고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control과B. subtilis KACC15935, B. subtilis HJ18-3의 isoflavone 비배당체 형태인 daidzein과 genistein, glycitein을 합한 함량은 각각 $158.20{\pm}6.55$, $131.60{\pm}4.00$, $200.79{\pm}7.54ug/g$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raw soybean의 aglycone함량이 3.96 ug/g인 것에 비하여 39~50배 전 환율을 보인다. 또한 ${\beta}$-glucosidase활성이 있는 B. subtilis HJ18-3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청국장이 control과 Kacc15935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청국장보다 1.27, 1.53배 더 높은 aglycone 전 환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메밀 속성 장으로부터 분리된 B. subtilis HJ18-3 균주는 amylase, protease, cellulase와 같은 세포의 효소분비능이 우수하며, 아미노태질소와 환원당 함량이 높고,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함유한 균주로 확인되었으며, 앞으로도 우리나라 전통 청국장의 세계화를 위해 유용 starter로 찾는 노력이 더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