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amylase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8초

$\beta$-Amylase System Capable of Hydrolyzing Raw Starch Granules from Bacillus polymyxa No. 26 and Bacterial Identification

  • SOHN, CHEON-BAE;MYUNG-HEE KIM;JUNG-SURL, BAE;CHEORL-HO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권3호
    • /
    • pp.183-188
    • /
    • 1992
  • A soil bacterium which produces raw starch-digesting $\beta$-amylase in culture medium, has been screened from soils. One strain, isolated and identified as Bacillus polymyxa No. 26, was selected as a $\beta$-amylase producing bacterium.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ain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a strain belonging to B. polymyxa. The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f the bacterial vegetative cells and sporulated cells were extensively done to know the corelation between the enzyme synthesis and sporulation. When the bacterium was cultured on the appropriate media (3% dextrin, 0.3% beef extract, 0.5% polypeptone, 1% yeast extract and 0.3% NaCl at pH 7.0 for 4 days) raw starch-digestible $\beta$-amylase was produced extracellularly. This strain produced 130 units of $\beta$-amylase per ml in a culture medium containing 3% dextrin at $30^\circ{C}$. This value is compared to those of other $\beta$-amylase-producing strains.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crude enzymes were pH 6.5 to 7.0 and $50^\circ{C}$, respectively. The enzymes were stable between pH 5.5 and 9.0 for 30 min at $45^\circ{C}$.

  • PDF

Cloning and Sequencing of the ${\beta}-Amylase$ Gene from Paenibacillus sp. and Its Expressio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Jeong, Tae-Hee;Kim, Hee-Ok;Park, Jeong-Nam;Lee, Hye-Jin;Shin, Dong-Jun;Lee, Hwang-Hee Blaise;Chun, Soon-Bai;Bai, 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65-71
    • /
    • 2001
  • A gene from Paenibacillus sp. KCTC 8848P encoding ${\beta}-amylase$ was cloned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e Paenibacillus ${\beta}-amylase$ gene cosisted of a 2,409-bp open reading frame without a translational stop codon, encoding a protein of 803 amino acids. The presumed ribosime-binding site, GGAGG, was located 10 bp upstream from the TTG initiation codon.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beta}-amylase$ gene had a 95% similarity to the ${\beta}-amylase$ of Bacillus firmus. The ${\beta}-amylase$ gene was introduced into wild-type strain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using a linearized yeast integrating vector containing a geneticin resistance gene and its product was secreted into the culture medium.

  • PDF

전분 분해성 산업용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Achlya bisexualis $\beta$-Amylase의 발현 특성 규명 (Characterization of Achlya bisexualis $\beta$-Amylase Expression in an Amylolytic Industrial Strai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 이옥희;임미현;김지혜;유은혜;고현미;진종언;배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4-269
    • /
    • 2008
  • $\beta$-Amylase를 생산하여 전분 분해능을 갖는 산업용 효모를 개발하기 위해 산업용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Achlya bisexualis $\beta$-amylase (BAMY)유전자를 ADC1 promoter에 연결하여 구성적으로 발현시켰다. 효모의 형질전환은 $\delta$-서열을 재조합 부위로 하는integration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Integration 시스템의 세균 유전자 부분은 제거되고 BAMY 유전자와 $\delta$-서열을 갖고 있는 짧은integrative cassette를 제조하였다. BAMY 유전자를 발현하는 재조합 S. cerevisiae 형질전환체는 세포외 배지로 45 kDa의 $\beta$-amylase를 분비하였고, $\beta$-amylase 활성은 A. bisexualis에 비해 약 18.5배 높았다. 형질전환체에 다중도입된 BAMY 유전자는 비선택배지에서 100세대 생장 후에도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각종전분을 기질로 했을 매 $\beta$-amylase의 활성은soluble starch를 기질로 했을 경우와 유사하게 높았고, 가수분해산물 분석 결과 maltose가 주 분해산물이었다.

엿기름의 효소활성과 관련한 보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Varieties Related to Enzymatic Activity in Malt)

  • 이영택;서세정;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21-1426
    • /
    • 1999
  • 엿기름의 품질 요소인 당화력(DP)은 보리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 $139{\sim}220^{\circ}L$의 범위에 있었다. 당화력은 ${\alpha}-amylase$ 보다 ${\beta}-amylase$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 엿기름의 ${\beta}-amylase$ 활성이 매우 중요한 인자였으며, 엿기름 첨가에 따른 amylograph 전분기질 점도 감소는 ${\alpha}-amylase$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리품종들의 품질요소들을 분석하여 엿기름 당화력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엿기름의 당화력은 원맥의 품질인자와 상관관계가 별로 높지 않았으나 중량이 낮은 품종이나 덜 풍만한 품종에서 당화력이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보리원맥이 지니고 있는 ${\beta}-amylase$ 활성은 엿기름의 당화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엿기름의 당화력을 예측할 수 있는 잠재적인 당화력으로서 엿기름 제조에 매우 유용한 품질인자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Thin Layer Chromatogram by an Extracellular ${\beta}$-Amylase of Bacillus sp. KYJ 963 and its Amino Acid Composition

  • Kim, Young-Ja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92-93
    • /
    • 2001
  • Bacillus sp. KYJ 963, which was isolated from Korean salt-fermented anchovy (anchovy-jeot), produces an extracellular ${\beta}$-amylase. The analysis of the digestion products of substrates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from the purified protein revealed that the enzyme could not hydrolyze maltose or ${\alpha}$-cyclodextrin. In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alysis,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beta}$-amylase was the high proportion of amino acids that possess short side chain such as glycine and alanine.

  • PDF

주류 제조를 위한 효소 당화에 쌀의 전처리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Pre-treatment on Enzymatic Saccharification in the Brewing Process)

  • 안진옥;정장호;이승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7-283
    • /
    • 2017
  • 전통 양조법을 활용하여 인공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 단맛이 보완된 전통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문헌에 기록된 주류 제조 시 쌀의 전처리 8가지 방법 즉, 죽, 범벅, 설기떡, 구멍떡, 물송편, 인절미, 개떡, 고두밥과 누룩에 존재하는 당화효소인 ${\alpha}$-, ${\beta}$-glucoamylase에 의한 당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alpha}$-amylase에 의해 생성된 maltose의 경우 반응 초기에는 개떡 > 설기떡 > 범벅 > 물송편 > 죽 > 인절미 > 구멍떡 > 고두밥의 순이었으나 48시간 후에는 인절미 > 범벅 = 고두밥 > 구멍떡 > 개떡 = 물송편 > 설기떡 > 죽의 순서로 생성양의 차이를 보였다. ${\beta}$-amylase 처리구의 maltose 생성은 ${\alpha}$-amylase 처리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glucoamylase는 고두밥에서 약 10 mg/ml의 glucose가 생성되어 maltose의 생성과는 달리 8가지 전처리 방법 중 최대의 glucose 생성을 보였다. ${\alpha}$-amylase, ${\beta}$-amylase, glucoamylase 병행 처리한 경우는 ${\alpha}$-와 ${\beta}$-amylase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생긴 말단에 glucoamylase가 작용하여 glucose의 생성이 증가되었다. 술덧의 당 함량 변화를 보면 쌀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 최종 잔당 함량에 차이를 보여 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 멥쌀로도 단맛이 보완된 술을 제조할 수 있는 배합비와 제조공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고려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중의 조(組) $\beta$-amylase의 분리와 그 성질 (Properties of Crude $\beta$-amylase from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 김병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40-244
    • /
    • 1985
  • 고려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중의 $\beta$-amylase를 연구하기 위하여 조(粗)인삼 $\beta$-amylase 를 분리한 후 그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조인삼 $\beta$-amylase는 ammonium sulfate 0.2$\sim$0.6포화분획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조제되었다. 조제된 본 효소는 전형적인 $\beta$-amylase의 작용을 하여 starch에서 maltose만을 생산하였으며 maltase의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본 효소는 pH5$\sim$9(특히 pH7$\sim$8), $40^{\circ}C$ 이하의 조건하에서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최적pH 5.0, 최적온도 $35^{\circ}C$를 나타내었다. 본 호소는 기질(starch)농도 l2mg% 이하에서 기질농도에 비례하여 호소활성이 증가하였으며 Km치는 4.76mg%이었다. 또 본 효소는 $K^{+}$, $Na^{+}$, $An^{++}$,$Ca^{++}$, $Co^{++}$,$Mn^{++}$ $Zn^{++}$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Ag^{+}$, $Hg^{++}$,$Cd^{++}$, $Cu^{++}$,$ Al^{3+}$, and $Fe^{3+}$ 등에는 현저한 저해를 받았다.

  • PDF

$\alpha$- and $\beta$-Amylase Isozyme Expresser Native Proteins in Tropical Silkworm Bombyx mori L.

  • Chattopadhyay, G.K.;Verma, A.K.;Sengupta, A.K.;Das, S.K.;Urs, S.Raj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2호
    • /
    • pp.189-194
    • /
    • 2004
  • Amylase isozyme based three multivoltine viz., N+p, Np, N+ $p^{cho}$ and two bivoltine-D6+p, D6p syngenic lines (Syn. L) were developed from germplasm (GP) stocks Nistari (N) and D6 respectively. haemolymph isozyme pattern at pH 7.0 and 8.5 depicted a total 11 number (Am $y_{1 to 6}$ at pH 7.0 and Am $y^{l to 5}$ at pH 8.5) of native proteins (NP) of various sizes are amylase isozyme expressers. Among eleven NPs, two NPs of 770 kDa (Am $y^{6}$ at pH 7.0) and 376 kDa (Am $y^3$ at pH 8.5) are $\alpha$-amylase expressers and remaining NPs of 370, 364, 350, 329 and 274 kDa at pH 7.0 and 206, 292, 416, 725 kDa at pH 8.5 are $\beta$-amylase expressers. Accordingly, digestive juice amylase isozyme pattern at aforesaid pH also depicted a total number of 10 NPs (Am $y^{1 to 5}$) at each pH 7.0 and 8.5 are amylase expressers of which NP of 387 kDa (Am $y^4$ at pH 7.0) and 780 kDa (Am $y^{5}$ at pH 8.5) are a-amylase expresser. Remaining NPs of 338,297 & 216 kDa at pH 7.0 and 370, 341, 329 &302 kDa at pH 8.5 are $\beta$-amylase expresser. Recurrent backcross lines (RBL) viz., N+pRBL and NpRBL were developed through introgression of high shell weight character (a multigenic trait) to be used further for congenic line (Con. L) development and to understand any association with introgressed character. Isozyme pattern in haemolymph of RBLs depicted only one $\alpha$-amylase of 770 kDa at pH 7.0 and 376 kDa at pH 8.0 with three and four respective $\beta$-amylase bands but in bivoltine lines numbers of $\beta$-amylase bands vary between 1 to 2 at aforesaid pH. Variability was also observed in digestive juice of multivolitine and its RBLs but bivoltine lines express null activity at both pH except appearance of one very week $\alpha$-amylase band D6+p at pH 8.5. Overall study suggests that not a single NP at both pH is common for expression of any band of amylase isozyme i.e., a totally different set of proteins are the amylase isozyme expresser at specific pH and no molecular factor of amylase is associated in developed RBLs which showed improvement on survival, single cocoon shell weight (SCSW) and single filament length over receptor parents.s.s.s.

저온.담수토양에서 벼종자 $\beta$-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호분층 인접 배유의 전분분해 양상 (Expression of $\beta$-amylase Gene and Degradation of Starch Granules of Germinating Rice Seed under Low Temperature and Submerged Soil Condition)

  • 윤병성;강원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13-417
    • /
    • 2002
  • 온대 수도작에 있어서 발아시의 조건에 가까운 저온.담수 토양조건에서의 출아에 관련된다고 생각되어지는 $\beta$-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발현 양상이 실제로 호분층 인접 부분의 전분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in situ hybridization과 현미화학적방법으로 검토하였다. 1.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했던 장향도 품종은 호분층에서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였다. 2.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하지 못했던 수원 287호는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이지 않았다. 3. $\beta$-아밀라제 활성의 유무에 의해 배반세포에 인접한 배유부분의 전분분해량에 변화를 보여 $\beta$-아밀라제 활성이 높은 장향도, 은방주(Ginbozu), Fortana I-133가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는 $\beta$-아밀라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수원 287호와 시험한 모든 조건하에서 $\beta$-아밀라제의 활성이 보이지 않았던 농림(Norin) 6호, 고시히까리(Koshihikari) 보다 배반상피세포 및 배반상피세포에 인접한 호분층 근접 배유부분의 전분립 감소가 컸다. 이상의 결과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벼 종자의 출아에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과 전분 분해의 연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beta$-아밀라아제의 정제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of Soybean $\beta$-Amylas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28
    • /
    • 1994
  • Soybean $\beta$-amylase was purified by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Sephadex G-100 gel chromatography, CM Sephadex C-50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CM Sephadex C-50 ion exchange rechromatography The purified enzyme showed 1, 020 unit/mg of specific activity. The purified enzyme was identified as homogenious by disc PAGE and analysis of reaction produ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