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2초

참외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이지은;연일권;도한우;정종도;강찬구;최성용;윤선주;조준구;권대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194-19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참외의 부위별 물 및 알코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및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총 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는 껍질이 151.64 ${\mu}g/g$,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껍질이 224.77 ${\mu}g/g$로 가장 높은 페놀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flavonoid 함량은 껍질이 물 추출물의 경우 45.53 ${\mu}g/g$, 에탄올 추출은 338.37 67.16 ${\mu}g/g$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참외의 항산화 효과는 물 추출물의 경우 1%에서 껍질이 25%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을 추출은 1%에서 껍질이 83.3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과육과 태좌는 20% 미만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는 물 추출물은 1%에서 껍질이 79.2%로 가장 높았으며, 과육이 57.6%, 태좌가 74.0%로 50%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추출물은 99.9%로 껍질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과육과 태좌는 52.1%, 41.2%의 활성을 보였으며, Xanthine oxidase의 저해활성의 경우 1%에서 껍질이 물 추출물이 29.3%, 에탄올추출물이 30.5%의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지만, 비교적 낮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에서 열수 추출물은 25.9%, 에탄올 추출물은 37.5%의 활성을 보인 껍질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Streptococcus agalactiae,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Salmonella typimimum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한 결과 참외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Streptococcus agalactia에서만 껍질, 과육, 태좌에서 각각 15, 13 및 12mm의 clear zone를 나타내었다.

이팝나무 꽃에서 분리한 페놀 화합물의 생리활성 효소 억제효과 (Inhibitory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Chionanthus retusa flower on biological enzymes)

  • 이은호;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7-123
    • /
    • 2018
  • 이팝나무 꽃으로부터 phenolic 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열수와 90% 에탄올로 phenolic compounds를 추출하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25.60, 15.92%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s 농도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100.00%의 매우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효과를 측정하는 tyrosi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17.27, 36.13%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하는 collagenase, elast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96.26, 35.93%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는 hyaluron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36.96, 88.70%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팝나무 꽃에서 분리된 phenolic compounds는 $50-200{\mu}g/mL$ phenolics 농도 범위에서 항통풍, 당분해 억제,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증과 관련된 생리활성 효소를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식품 및 미용식품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및 α-Glucosidase와 PTP1B 저해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α-Glucosidase and PTP1B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and Fractions)

  • 황성우;이훈연;차지윤;김보람;박민;이보리;문광현;이정호;김대근;김욱;정경옥;이영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5-24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화과에 속하는 Chrysanthemum indicum L.(CI)의 70% EtOH 추출물 및 분획물(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및 H2O)의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는 DPPH, ABTS 및 superoxide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고, 생리활성 평가는 ${\alpha}$-glucosidase와 PTP1B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CI 70% EtOH 추출물에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30.20 mg 및 31.58 mg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러 분획물 중 EA 분획물이 폴리페놀(87.87 mg)과 플라보노이드(65.12 mg)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EA 분획물의 DPPH, ABTS 및 SOD 소거능은 각각 93.84%, 93.38% 및 84.68%의 억제를 나타냈다. EA 분획물은 70% EtOH 추출물 및 다른 분획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EA 분획물($20{\mu}g/mL$)의 ${\alpha}$-glucosidase 및 PTP1B 억제 결과는 다른 시료에 비해 각각 30.29% 및 99.24%의 가장 높은 억제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감국의 EA 분획물이 70% EtOH 추출물 및 다른 분획물보다 많은 항산화 및 항당뇨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CI의 천연 항산화 물질 및 기능성 물질에 성능이 좋아 화장품 첨가제나 음료로도 개발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꾸지뽕잎차 첨가 식이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고혈당 흰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udrania tricupidata Tea Leaves on the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s Profiles of Streptozotocin-Induced Hyperglycemic Rats)

  • 박범호;신종욱;이상일;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16-523
    • /
    • 2008
  • 꾸지뽕잎으로 제조한 덖음차(PM)와 발효차(FM)의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과 경구 내당성 및 stereptozotocin(STZ)으로 유발한 고혈당 쥐의 혈당, fructosamine 및 혈청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70% ethanol 추출물(20 mg/mL)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FM 92.5%, RM 54.6%, 건조꾸지뽕잎(RM) 69.1%였다. 경구 내당성을 조사한 결과, 고혈당 대조군은 360분까지 혈당의 감소가 없었으나 PM 및 FM을 투여한 군에서는 투여 후 60분부터 감소하여 120분 후에는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당뇨 유발 후 동결 건조한 차분말을 3% 혼합한 식이로 5주간 사육한 결과, PM 및 FM 투여군은 고혈당 대조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었다. 체중 증가량, 식이효율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식이 및 음용수 섭취 량은 각각 $12.9{\sim}16.9%$$6.8{\sim}10.1%$가 감소하였다. 혈당과 fructosamine 함량은 각각 $27.3{\sim}39.8%$$6.7{\sim}20.0%$가 감소하였다. 혈청중성지질, total cholesterol 및 LDL-cholesterol 함량은 각각 $24.9{\sim}27.1%$, $15.9{\sim}17.4%$$33.8{\sim}38.4%$ 감소하였다. HDL-cholesterol함량은 $20.5{\sim}24.8%$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PM보다 FM이 다소 양호하였다. 이상의 결과, 꾸지뽕잎차의 항당뇨 효과는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과 더불어 고혈당에 기인된 혈청 지질의 변화를 저해함으로써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나 보다 구체적인 mechanism에 대하여 앞으로의 연구가 요망된다.

  • PDF

추출 용매를 달리한 한국산 배(Pyrus pyrifolia cv. Niitaka) 과피의 생리 활성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Pear Peel (Pyrus pyrifolia cv. Niitaka))

  • 박지수;한인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54-260
    • /
    • 2015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대표 과일인 나주 신고배를 대상으로 배과피를 분리 건조한 후 용매에 따른 배 과피의 생리 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과피를 1.5 mm의 일정한 두께로 분리해낸 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건조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열풍건조법을 이용하여 6시간 동안 60oC에서 건조시켰다. 열풍건조 시킨 시료를 분쇄기로 분쇄하였고, 3가지 용매인 물, 80% ethanol, 80% methanol로 추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페놀 함량측정에서는 물 추출물에 비해 80% ethanol과 80% methanol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80% methanol 추출물이 43.76 mg QE/g으로 3가지 용매 중 가장 많은 양의 총 페놀 함량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에서는 80% ethanol 추출물이 28.51 mg QE/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Radical 소거 활성에 대한 항산화실험은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환원력 실험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저, DPPH와 ABTS에 대한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모두 물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각각 3.57, 44.14 Mg TEAC/g의 값을 보였고, DPPH radical 소거 활성실험에서는 각 용매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반면, 환원력에서는 80% methanol 추출물에서 197.46 Mg TERP/g으로 가장 높았고, 물 추출물에서 79.62 Mg TERP/g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각 용매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에서는 80% methanol 추출물이 91.7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물 추출물에서 83.04%의 가장 낮은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두 용매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알코올 분해능 활성은 전체적으로 좋은 편이였으나 그 중 물 추출물이 173.3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항균실험에서는 B. cereus, E. coli, P. aeruginosa 에서 모두 항균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된 3가지 용매 중 물 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 알코올 분해능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80% ethanol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80% methanol 추출물에서는 총 페놀 함량, 환원력, ${\alpha}$-glucosidase에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배 과피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생리 활성에 따라 본 실험 결과를 응용하여 적합한 추출용매를 선택하면 목적하는 생리 활성의 효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Vitro, In-Vivo 동물모델에서 귀리 유래 수용성 베타-글루칸의 칼로리 제한 효과 작용기전 규명 (Mode of Action of Water Soluble β-Glucan from Oat (Avena sativa) on Calorie Restriction Effect In-Vitro and In-Vivo Animal Models)

  • 강한나;김세찬;강용수;권영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22-1228
    • /
    • 2017
  • In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water soluble ${\beta}-glucan$ from oat (Avena sativa) against various digestive enzymes such as ${\alpha}-glucosidase$, sucrase, maltase and glucoamylase. Inhibition of these enzymes involved in the absorption of disaccharide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 post-prandial increase of blood glucose level after a mixed carbohydrate diet. The ${\beta}-glucan$ had the highest documented rate of small intestinal sucrase inhibitory activity (2.83 mg/mL, $IC_{50}$) relevant for potentially managing post-prandial hyperglycemia. Furthermore, we evaluated the effects of ${\beta}-glucan$ on the level of post-prandial blood glucose in animal model.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were tested two hours after sucrose/starch administration, with and without ${\beta}-glucan$ (100, and 500 mg/kg-body weight). The maximum blood glucose levels (Cmax) of ${\beta}-glucan$ administration group were decreased by about 23% (from $219.06{\pm}27.82$ to $190.44{\pm}13.18$, p<0.05) and 10% (from $182.44{\pm}13.77$ to $165.64{\pm}10.59$, p<0.01) in starch and sucrose loading test,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control in pharmacodynamics study. The ${\beta}-Glucan$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lowered the mean, maximum, and minimum level of post-prandial blood glucose at 30 min after meal. 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felt that our findings suggest that ${\beta}-glucan$ from oat serves to reduce post-prandial blood glucose rise secondary to slower absorption of glucose in the small intestine, via carbohydrate hydrolyzing enzymes inhibition.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소 억제 효과 (Inhibitory activities on biological enzymes of extracts from Oplismenus undulatifolius)

  • 이은호;김병오;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01-108
    • /
    • 2017
  • 주름조개풀에 함유되어 있는 phenolic contents는 water, 7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각각 7.7, 10.1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50-200{\mu}g/mL$로 조절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DPPH에서는 water, ethanol 추출물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78, 82%였고, ABTS radical decolorization는 $1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92, 76%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PF는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water,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51, 2.08 PF로 측정되었으며, TBARs값은 water, ethanol 추출물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84, 99%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기능성 식품 활성을 측정하는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44%의 억제력을 나타내었고,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water 추출물 $50-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37-88%의 효소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미용 식품 활성을 나타내는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 82%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water,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4, 61%로 나타내었고,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water, ethanol 추출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39, 67%로 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억제력을 나타내어 우수한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Astringent 효과를 측정한 결과 water, ethanol 추출물 $200{\mu}g/mL$ phenolic 농도에서 각각 13, 32%의 astringent 효과를 나타내었다. Hyaluronida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 $200{\mu}g/mL$ phenolic 농도에서 46%의 Hyaluronida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Effects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 Extracted from Silkworm Fece

  • Ju, Wan-Taek;Kim, Kee-Young;Sung, Gyoo-Byung;Kim, Yong-S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9권2호
    • /
    • pp.179-184
    • /
    • 2014
  • Silkworm (Bombyx mori ) feces have long been used in the pharmaceutical and food industries as a natural colorant. However, there is limited data on the bioactive compounds that constitute silkworm feces.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solvent and flavonoid extracts of silkworm feces. The solvents were ethanol, butanol, and water, while the methods utilized included ultrasonification, stirrer, reflux, and reflux after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Results showed that butanol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BUE) yield the lowest extraction (1.75%), while the other methods yielded 7 to 14%.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utilizing BUE was 3.3 mg TAE/g, while water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WUE) yielded the highest extraction rate with 51.6 mg TAE/g.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using ethanol reflux extraction (EUE) at 266.8 mg QRE/g BUE, which was 158.3 and 151.3 mg QRE/g. Bot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showed significant antioxidant effects. Finally, all other extracts except for BUE had a-glucosidase inhibition at 60%. Therefore, an effective extraction method for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must be selected.

항염증 및 항당뇨 활성에 미치는 현미 추출물의 영향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Brown Rice (Oryza sativa L.) Extracts)

  • 조은경;정경임;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6-131
    • /
    • 2012
  • 현미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에탄올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아 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는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 pH 1.2에서 75.4와 94.9%을 나타내었고,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현미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72.9%로 같은 농도의 열수 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현미의 소화율($44.46{\pm}6.09$%)은 백미의 소화율($62.71{\pm}4.18$%)보다 낮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능은 현미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93.1%로 같은 농도의 열수 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10 mg/ml에서 56.4와 44.9%로 유의적인 큰 차이는 없었다. 현미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 현미 에탄올 추출물에서 알콜 분해능 증가율이 나타났다.

화살나무 잎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uonymus alatus Leaf)

  • 권구중;최대성;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69-574
    • /
    • 2007
  • 화살나무잎을 이용하여 열수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및 생리 활성과 화살나무잎을 고온에서 덖음처리시 가열처리가 화살나무잎의 생리활성 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덖음처리 한 것과 덖음처리하지 않은 시료에 대한 항산화 활성, ${\alpha}-amylase,\;{\alpha}-glucosidase$ 및 염증억제효과를 분석하였다. 화살나무잎 열수추출물에 대한 총폴리페놀 함량은 덖음처리하지 않은 시료 10.6 mg/g, 덖음 처리한 시료 9.6 mg/g로 덖음처리하지 않은 시료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덖음처리 하지 않은 시료의 항산화 활성$(19.1{\mu}g/mL)$이 덖음처리한 시료$(21.9{\mu}g/mL)$보다도 좋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덖음처리한 시료와 덖음처리하지 않은 시료, 모두 농도의 증가에 따라 hydroxyl radical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어 농도 의존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SOD유사활성은 농도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화살나무 잎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대조구인 ascorbic acid의 경우, 3 mg/mL에서 52%의 SOD 유사활성을 보인 반면, 덖음처리하지 않은 시료가 20%, 덖음처리한 시료가 18%로 덖음처리하지 않은 시료가 다소 높은 SOD 유사활 성도를 나타내었다. ${\alpha}-Amylase$ 저해효과는 화살나무 잎의 열수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낮아졌고, 덖음처리한 시료가 덖음처리하지 않은 것에 비해 다소 좋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에 대한 활성은 거의 없었다. 대식세포 Raw 264.7세포를 이용한 화살나무잎 열수추출물의 항염증활성 효과는 LPS로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화살나무잎 열수추출물을 첨가하고 18시간 경과한 후 생성된 NO의 양을 측정하여, 덖음처리한 시료와 덖음처리하지 않은 시료 모두에서 농도의존적인 NO 생성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MIT를 이용한 화살나무잎 열수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은 덖음처리하지 않은 시료의 경우, 열수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하여도 세포생존율이 일정하게 나타났지만, 덖음처리 한 시료는 열수추출물의 첨가량 증가와 함께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