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starch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3초

강황 발효액이 고지방 섭취 흰쥐의 비만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ermented Turmeric Extracts on the Obesity in Rats Fed a High-Fat Diet)

  • 양철영;조미진;이치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75-81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발효 강황 발효액의 급여가 내장지방과 혈청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강황과 흑설탕을 동일비율로 혼합하여 12개월간 숙성 발효하였다. 발효액은 HPLC를 이용해 발효 후 유리당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동물실험은 총 3군으로 일반 대조군에는 고지방사료와 흑설탕 7.2% (HFD), 처리군에는 고지방 사료에 흑설탕 7.2%와 강황 12.8% (TP), 고지방 사료에 분말화한 발효 강황 20% (FTP)을 첨가한 배합사료를 4주간 급여 하였다. 혈청지질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HFD군에 비하여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혈청 중 아디포넥틴과 렙틴은 HFD군에 비해서 FTP군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TNF-$\alpha$은 HFD군에 비해서 FTP군이 감소하였다. 또한 간 손상 지표인 혈청의 AST는 HFD군에 비해서 FTP군이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발효 강황 발효액은 발효 전보다 발효 후에 고지방식이를 투여한 흰쥐에 있어서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자주복 유어의 필수지방산 요구 및 적정함량 (Requirement of Young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for Essential Fatty Acids and Its Optimal Level)

  • 한경남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3-361
    • /
    • 1996
  • 자주복 유어의 필수지방산 요구 및 사료중의 적정함량을 규명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3.45g의 유어를 사용하여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사육실험의 결과, 성장은 실험개시 4주부터 실험구들 사이에 차이가 보여 실험 종료시에는 $0.5\~1\%$ n-3 HUFA 실험구와 $0.5\%$ DHA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교하여 우세한 성장을 보였다(P<0.05). 또한, EPA, DHA 및 n-3 HUFA 실험구 사이에 효율성의 비교에서 EPA$1\%$ EPA실험구는 사료중에 $0.5\%$에서 $1\%$로 지방산을 증량시킴에 의해 첨가효과가 인정되었으나, DHA와 n-3 HUFA실험구는 EPA실험구와 상이하게 $1\%$ DHA실험구에서 급격한 성장의 저하와 $1\%$ n-3 HUFA 실험구에서는 성장의 정체가 나타났다. 실험기간동안에 생잔률은 $73\~93\%$의 범위로 지방산과의 관련성은 보이지 않았다. 사료효율은 n-3 HUFA실험구와 $0.5\%$ DHA실험구에서 높았고, $1\%$ LNA실험구는 $0.5\~1\%$ EPA실험구와 $0.3\%$ DHA실험구와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유어기의 자주복은 EPA나 DHA등의 n-3 HUFA를 필수지방산으로 요구함이 사료되며, 사료중의 $0.5\%$ 정도의 HUFA 또는 $0.5\%$ DHA가 적정함량으로 추측된다.

  • PDF

벼 발아종자 발현유전자의 발현특성분석 (Analysis of germinating seed stage expressed sequence tags in Oryza sativa L.)

  • 윤웅한;이강섭;김창국;이정숙;한장호;윤도원;지현소;이태호;이정화;박성한;김건욱;서미숙;김용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281-288
    • /
    • 2009
  • Seed germination is the important stage to express many genes for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starch degradation and cell division from seed dormancy state. For the functional analysis of seed germination mechanisms, we were analyzed the rice cDNA clones (Oryzasativa cultivar Ilpum) obtained from seed imbibition during 48 hours. Total number of 18,101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were clustered using SeqMan program. Among them, 8,836 clones were identified as unique clones. We identified the chitinase gene specifically expressed in seed germination and amylase gene involved to starch degradation from the full length cDNA analysis, and several genes were registered to NCBI GeneBank. To analyzed the commonly expressed genes between inmature seed and germinated seed, 25,66 inmature ESTs and 18,101 germinated ESTs were clustered using SeqMan program and identified 2,514 clones as commonly expressed unigene. Among them, alpha-glubulin and alcohol dehydrogenase I were supposed to LEA genes only expressed in the immature and germinated seed stages. For the clustering of orthologous group genes, we further analyzed the 8,836 EST clones from germinating seeds using NCBI clusters of orthologous groups database. Among the clones, 5,076 clones were categorized into information storage and processing, cellular processes and signaling, metabolism and poorly characterized genes, proportioning 783 (14.29%), 1,484 (27%), 1,363 (24.8%) and 1,869 (34%) clones to the previous four categories, respectively.

효소적 방법에 의한 보리피층의 분리 (Enzymatic Isolation of Husk from Barley Kernel)

  • 안병윤;안경혜;조재선;권태완;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4-256
    • /
    • 1984
  • 가열처리에 의한 전분의 호화작용과 아밀라제에 의한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한국산 곁보리(강보리와 올보리)및 쌀보리 (백동과 세도하다가)의 피층을 분리 측정하고 피층함량을 종래의 산, 알칼리 방법과 비교하였다. 효소적 방법을 이용한 피층함량은 강보리와 올보리의 경우 각각 14.9%, 15.1%이고, 백동 및 세도하다가는 각각 11.6%. 10.2% 이었다. 산처리방법에 의한 피층함량은 겉보리의 경우 $12{\sim}13%$. 찰보리의 경우 $5{\sim}7%$ 이었고 알칼리방법의 경우 겉보리는 $13{\sim}15%$. 찰보리는 $7{\sim}8%$의 피층함량을 나타내었다. 효소처리방법에 의해 분리한 피층의 단백질, 지방. 회분함량은 각각 $4{\sim}8%$. $5{\sim}11%$. $0.2{\sim}0.6%$이었으며 조섬유함량은 $20{\sim}40%$이었다. 효소처리에 의한 보리피층의 분리 방법은 기존의 산, 알칼리 처리와 비교할 때, 피층물질을 직접 분리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 PDF

동충하초균으로 발효한 인삼잎에서 분리한 중성다당의 면역활성 및 구조적 특성 (Immunostimulatory activity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eutral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ginseng leaves fermented by Cordyceps sinensis)

  • 차하영;박혜령;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70-577
    • /
    • 2021
  • 동충하초균으로 발효한 인삼잎의 면역활성과 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조다당(GLF)를 분리하고 구성당과 당쇄 결합양식을 확인한 결과 C. sinensis 유래의 glucan이 주를 이루며 소량의 인삼잎 유래 pectic substances가 혼재되어 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해 GLF로부터 중성다당체(GLF1)를 분리하였으며, 이를 lyticase, β-glucosidase 및 α-glucoamylase 효소를 처리한 결과, GLF1은 α-glucoamylase에 의해 가수분해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주로 α-glucan을 함유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대식세포 분비능을 측정한 결과, 동충하초균으로 인삼잎을 발효하여 얻은 조다당 GLF가 단순 열수추출 조다당인 GLW보다 더 우수한 활성(Data not shown)과 수율을 보여주었으며, GLF와 GLF1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면역활성이 증가하는 경향과 동일 농도에서 유사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GLF1의 전체구조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soamylase 및 α-amylase 효소를 처리한 결과, isoamylase 처리 획분인 PHI가 72.8%의 glucose로 구성되며 iodine-starch 반응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 PHI의 αamylase 처리 후 분리한 PHIA1, PHIA2 및 PHIA3 획분에서는 iodine-starch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의 대식세포 분비능을 확인한 결과 세 가지 획분 모두 어떠한 활성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충하초 발효 인삼잎유래 중성다당은 α-(1→4)-glucan을 주쇄로 존재하며 C(O)-6 위치에서 측쇄가 연결되어 존재하는 α-glucan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의 면역활성은 α-glucan 전체 구조에서 기인하는 것임을 최종 확인하였다.

침지조건과 압력이 현미의 취반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teeping and Cooking Pressure on Qualities of Cooked Brown Rice)

  • 박정우;채선희;윤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7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oking conditions for brown rice using an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The effects of steeping conditions and cooking pressure on the hydration, gelatinization, texture and palatable properties of cooked brown rice were evaluated. Based on water uptake and DSC data, the optimal steeping time and temperature for brown rice were determined to be 25 minutes and ${\sim}60^{\circ}C$, respectively. The cooking conditions for brown rice were then divided into the following 6 categories: steeping at $25^{\circ}C$ for 25 minutes and cooking at an atmospheric pressure of 1.7 (25P) or 1.9 (25HP), steeping at $57^{\circ}C$ for 25 minutes and cooking at an atmospheric pressure of 1.7 (57P) or 1.9 (57HP), steeping at $85^{\circ}C$ for 15 minutes and cooking at an atmospheric pressure of 1.7 (85P) or 1.9 (85HP). The susceptibility of cooked brown rice starch to degradation into maltose by ${\alpha}$-amylase, which is related to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in vitro digestibility, were then determined. The amount of maltose produced by cooked brown rice samples was highest in the 57HP group, followed by the 57P and 85HP groups. Storing cooked brown rice at $73^{\circ}C$ for 24 hour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of starch being degraded into maltose in the 57P, 57HP and 85HP groups than in the other groups. Textur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57P, 57HP and 85HP groups had significantly lower gumminess and chewiness values whe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d that 57HP received had the lowest hardness of all treatments.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by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s. Furthermore, the 57P and 57HP group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glossiness, stickiness aroma and taste score than the other groups. These findings were taken to indicate that steeping conditions and pressure exerted a positive synergistic effect on the cooking quality of brown rice. The texture analyzer also revealed that storing the cooked rice at $73^{\circ}C$ for 24 hours only led to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gumminess, hardness and chewiness in the 57P and 57HP groups, which indicates that these groups underwent a lesser degree of retrogradation than other groups.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 that steeping brown rice at $57^{\circ}C$ for 25 minutes and a higher cooking pressure improved the palatability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brown rice significantly.

황국균을 이용한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L.) 혼합물의 발효 특성 (Characteristic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Mixture Fermentation Utilizing Aspergillus oryzae)

  • 김해섭;박인배;이영재;신궁원;임주영;박정욱;조영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384-139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에 미강, 대두, glucose 및 starch의 첨가비를 달리 조절하고 이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30^{\circ}C$에서 7일간 발효시켰다. 발효 진행에 따른 pH, 적정산도, 아미노태질소, 환원당, $\alpha$-amylase 활성, protease 활성 및 곰팡이수의 변화를 조사하고 최종 발효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능과 전자공여능(electon donating ability)을 비교하였다. pH는 초기 6.19~6.22에서 발효 7일 경과 후에는 5.41~6.08로 낮아졌으며, 적정 산도는 초기 0.59~0.68%에서 발효 6일 경과 후 최고 수준인 0.95~1.13%로 증가하였다. 또한, 아미노태질소는 초기 128.0~167.2 mg%에서 발효 7일 경과 후 159.4~209.0 mg%로 증가하였으며, 환원당은 초기 2.0~5.9%에서 발효 7일 경과 후 0.4~1.1%로 감소하였다. 곰팡이수는 초기 $10^7\;CFU/g$에서 발효 7일 경과 후 약 $10^6\;CFU/g$ 가량으로 감소하였다. $\alpha$-amylase 활성은 모든 시험구가 발효 초기부터 활성이 나타났으며 protease 활성은 발효 5일 이후부터 식품공전 규격을 충족시켰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시험조건 모두 발효 전에 비해 발효 7일 경과 후 ACE 저해활성과 전자공여능이 증가하였다.

Expression of the Promoter for the Maltogenic Amylase Gene in Bacillus subtilis 168

  • Kim Do-Yeon;Cha Choon-Hwan;Oh Wan-Seok;Yoon Young-Jun;Kim Jung-Wa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19-327
    • /
    • 2004
  • An additional amylase, besides the typical $\alpha-amylase,$ was detec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cytoplasm of B. subtilis SUH4-2, an isolate from Korean soil. The corresponding gene (bbmA) encoded a malto­genic amylase (MAase) and its sequence was almost identical to the yvdF gene of B. subtilis 168, whose function was unknown. Southern blot analysis using bbmA as the probe indicated that this gene was ubiquitous among various B. subtilis strains.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bbmA gene in B. subtilis, the expression pattern of the gene was monitored by measuring the $\beta-galactosidase$ activity produced from the bbmA promoter fused to the amino terminus of the lacZ struc­tural gene, which was then integrated into the amyE locus on the B. subtilis 168 chromosome. The pro­moter was induced during the mid-log phase and fully expressed at the early stationary phase in defined media containing $\beta--cyclodextrin\;(\beta-CD),$ maltose, or starch. On the other hand, it was kept repressed in the presence of glucose, fructose, sucrose, or glycerol, suggesting that catabolite repression might be involved in the expression of the gene. Production of the $\beta-CD$ hydrolyzing activity was impaired by the spo0A mutation in B. subtilis 168, indicating the involvement of an additional regu­latory system exerting control on the promoter. Inactivation of yvdF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beta-CD$ hydrolyzing activity, if not all. This result implied the presence of an additional enzyme(s) that is capable of hydrolyzing $\beta-CD$ in B. subtilis 168. Based on the results, MAase encoded by bbmA is likely to be involved in maltose and $\beta-CD$ utilization when other sugars, which are readily usable as an energy source, are not available during the stationary phase.

감마선 조사에 의한 쌀 저장에 관한 연구(제 3 보)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Rice by Gamma-irradiation (III) On disinfection of rice by gamma-ray irradiation)

  • 김형수;최영락;김성기;한인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3-120
    • /
    • 1970
  • 한국산 벼(팔달)를 현미와 백미로 도정하여 kraft paper bag에 넣고 살균하여 저장할 목적으로 비교적 높은 선량인 500. 800, 1,000 krad의 감마선 ($Co^{60}$)을 조사하여 실온에 저장하면서 그 품질변화에 관하여 몇 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1.00krad의 감마선 조사로 곰팡이는 현저하게 살균되었다. (2) Fat acidity는 조사량의 증가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다. (3) Riboflavin의 함량은 $500{\sim}l,000\;krad$ 조사로 현저하게 파괴되었다. (4) 식미시험에 있어서 밥의 빛깔이 황색을 띠고 조사취가 현저하였다. 5) 3,000 krad를 조사한 쌀 전분은 bacterial amylase에 의해서 분해가 저해되었고, diastase에 의해서는 분해가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 PDF

Effect of Colored Potato Flakes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Liver Damage in Rats

  • Ohba, Kiyoshi;Watanabe, Shoko;Han, Kyu-Ho;Hashimoto, Naoto;Noda, Takahiro;Shimada, Ken-Ichiro;Tanaka, Hisashi;Sekikawa, Mitsuo;Fukushima, Michihir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63-469
    • /
    • 2007
  • We examined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colored potato flakes on acetaminophen (AAP)-induced liver damage in rats. F344/DuCrj (8 week-old) rats were fed a cholesterol-free diet with 54.9486 g of ${\alpha}$-corn starch/100g diet and were orally treated with 25% colored flakes of Kitamurasaki (KM: light purple), Northern Ruby (NR: red), and Shadow Queen (SQ: medium purple) potatoes co-administered with AAP (0.5 g/100 g diet) for 4 weeks. The hepatic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in the KM, NR, and SQ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s with and without AAP. Furthermore, the hepatic catalase, Mn-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u/Zn-SOD mRNA levels in the KM, NR, and SQ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s with and without AAP.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colored potato flakes are useful as a prophylactic agent against oxidative liver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