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rm{Na}^{+}$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3초

NaCl 처리가 벼의 무기성분 흡수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Treatment on Absorption of Inorganic Nutrient and Growth in Rice)

  • 정진일;고종철;이승엽;권태오;이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65-468
    • /
    • 2003
  • 벼 내염성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간에 염처리에 따른 초장, 건물중 및 무기성분 흡수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경액에 NaCl을 첨가하여 시용한 결과 N과 $\textrm{P}_2\textrm{O}_5$은 흡수저해는 적었으나, 다른 무기염류의 흡수억제는 $\textrm{K}_2\textrm{O}$>MgO>CaO>Tolal-N>$\textrm{P}_2\textrm{O}_5$>> $\textrm{Si}\textrm{O}_2$순으로 컷으며, $\textrm{Si}\textrm{O}_2$는 염수조건 에서도 흡수에 큰 영향이 없었다. 2. $\textrm{Na}_2\textrm{O}$함량은 염처리 초기에는 함유량은 적지만 무처리 대비 흡수율이 급증하여 처리 10일에는 10배. 20일에는 16배 그리고 처리30일에는 20배 정도로 증가하고 자포니카 품종보다는 통일형 품종에서 흡수율이 높았다. 3. 염수처리에 따른 건물중 감소율은 자포니카 품종들이 통일형 품종들 보다 적었고, 자포니카 품종에서는 섬진벼>신선찰벼>낙동벼>대청벼>동진벼>추청벼 순으로, 통일형 품종에서는 밀양30호>가야벼>장성벼>칠성벼>태백벼 순이었다. 4. 염처리에 의한 품종간 K/Na 비와 건물중 감소율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Photosynthetic Response of Korean Ginseng under Saline Condition

  • Cho, Jin-Woong;Kim, Choong-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0-10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alinity on growth, inorganic ion content, and photosynthetic rate ($\textrm{P}^{N}$) in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ith complex fertilizer (CF) and NaCl concentrations. The salinity was applied to plant using NaCl and CF, and controlled an EC as 0.0, 1.0, 2.0 and 3.0 dS $\textrm{m}^{-1}$. The salinity treated three times at 35, 42 and 49 d after transplanting. The leaf area in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y (EC) decreased only the higher NaCl 1.0 dS $\textrm{m}^{-1}$. The root growth increased with CF and especially, it was two times higher at 3.0 dS $\textrm{m}^{-1}$ than that of control. But the root growth sharply decreased with NaCl compared to CF. The light saturation point of Korean ginseng was around 100 $\mu\textrm{mol}\;\textrm{m}^{-2}\textrm{s}^{-1}$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and $\textrm{P}^{N}$ increased as CF increased but decreased with NaCl especially at the late growth stage. The $\textrm{Na}^{+}$ content in Korean ginseng increased sharply with NaCl.

식사를 통한 N-Nitrosamine의 추정 섭취량 평가 (Assessment (If Estimated Daily Intakes of N-Nitrosamine by Diet)

  • 성낙주;신정혜;김연희;이수정;손미예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9-35
    • /
    • 2002
  • 단체급식소 12개소의 식단을 수거하여 각 메뉴별 및 1인분식단별NA함량을 분석하였고 인공소화 기법을 활용하며 체내에서 생성 가능한NA의 함량을 예측하였다. 육류와 어패류를 주재료로 요리된 메뉴들의 인공소화 전.후NA 함량을 분석한 결과 멸치볶음에서 NDMA 함량이 흔적량~4.87$\mu\textrm{g}$/kg으로 가장 높았고, 채소류를 주재료로 한 메뉴들에서는 불검출에서 흔적량의 NDMA가 정량되었으며, 인공소화 후에도 흔적 량 이하로 정량되었다 1인 분량의 식사를 수거하여 인공소화 전 . 후의 NA를 분석한 결과NDMA는 인공소화 전 0.20~0.78$\mu\textrm{g}$/kg의 범위였으나 인공소화 후 에는 0.43~0.80$\mu\textrm{g}$/kg으로 약간 증가하였다. 상기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성인 1일 NA섭취량을 계산한 결과 0.60~2.34$\mu\textrm{g}$/day/person이며, 인공소화를 통한 체내에서의 생성량을 고려하면 최대 5.15$\mu\textrm{g}$/day/ person으로 추정된다.

Growth and Ion Content of Korean Ginseng under Saline Condition

  • Cho, Jin-Woong;Seong, Bong-Jae;Kim, Hyun-Ho;Kim, Choong-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94-99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alinit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Meyer) and to evaluate the inorganic ion content in Korean ginseng with different general complete fertilizer (GCF) and NaCI concentrations at two growth stages. The stem height of Korean ginseng treated with different GCF and NaCI concentrations decreased at the higher EC (2.0 dS m$^{-1}$ ),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em diameter, the leaf length, and the leaf width among different treatments. The root growth increased with the supply of GCF. Especially, the root growth was facilitated two times at 3.0 dS $\textrm{m}^{-1}$ as compared to control. But the root growth more sharply decreased with NaCI treatment than GCF. The $\textrm{K}^{+}$ and $\textrm{Mg}^{2+}$ content in leaves and roots increased with GCF at the early growth stage. At the late growth stage, the $\textrm{K}^{+}$ content in leaves decreased but the $\textrm{Ca}^{2+}$ and $\textrm{Mg}^{2+}$ content increased. The $\textrm{Ca}^{2+}$ and $\textrm{Mg}^{2+}$ content in roots increased but the $\textrm{K}^{+}$ content decreased. The $\textrm{Na}^{+}$ content in Korean ginseng increased sharply with NaCl treatment. The $\textrm{NO}_3^{-}$ content in leaves and $\textrm{NH}_4^{+}$ content in leaves and roots increased as GCF concentration increased. The $\textrm{NO}_3^{-}$ content in leaves, stems, and roots at the late growth stage decreased as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The $\textrm{NH}_4^{+}$ content in leaves and roots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early growth stage, but it decreased significantly in leaves and stems at the late growth stage. The root activity of Korean ginseng increased with GCF, but decreased as the EC increased with NaCl. The water potential of leaves with GCF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 to control, but the water potential of leaves treated with NaCl decreased as EC increased.

$Ag^+-Na^+$이온교환법을 이용한 $1.31/1.55\mu\textrm{m}$ 두파장 방향성 광 결합기의 모델링 및 제작 (Modeling and fabrication of $1.31/1.55\mu\textrm{m}$ coarse WDM optical directional coupler using $Ag^+-Na^+$ ion-exchanged glass)

  • 강동성
    • 한국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35-33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2" BK7 유리 기판에 $Ag^+-Na^+$ 이온교환법을 이용한 $1.31/1.55\mu\textrm{m}$ 두파장 방향성 광 결합기를 제작하였다. 제작 및 모델링 조건으로는 이온교환 온도 $340^{\circ}C$, 이온교환 시간 12h, 확산이온농도 0.67[MF]-NaNO3+0.33[MF]-KNO3+1$\times$-3[MF]-AgNO3, 이었으며 굴절율의 분포는 폭 방향으로는 가우시안 함수로, 깊이 방향으로는 에러 함수 분포로 근사화 하였다. 광 결합기를 구성하는 채널 도파로의 폭은 단일 모드 조건으로부터 $4\mu\textrm{m}$이었고 간격은 $8\mu\textrm{m}$이었다. 제작된 소자의 전체 길이는 16mm이었으며 광 결합길이는 12.6mm이었고 $1.31/1.55\mu\textrm{m}$ 두파장에서 각각 18dB이상의 소멸비를 나타내었다.

  • PDF

NaX 제올라이트 결정성장의 반응속도 (Reaction kinetic of crystal growth in NaX zeolite)

  • 하종필;송종택;김익진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19
    • /
    • 2001
  • NaX 제올라이트의 결정화 과정 중 온도에 따른 결정 크기를 측정하였다. 이때 선형결정성장속도 상수는 80, 90, 100$^{\circ}C$에 대해서 각각 0.0441$\mu\textrm{m}$/h, 0.0595$\mu\textrm{m}$/h 그리고 0.0972$\mu\textrm{m}$/h로 얻어졌다. 반응온도와 선형결정성장율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활성화에너지는 43.243 kJ/mol 로 계산되었다. 결정화 반응의 종료는 각각 $80^{\circ}C$에서 20일 90$^{\circ}C$에서 16일, 100$^{\circ}C$에서 9일로 각각 나타났다. 반응온도의 증가에 따라서 최종생성물 결정크기는 감소할 뿐만 아니라 결정화 시간도 역시 감소하였다.

  • PDF

Slag-Quartz-$Na_2$$CO_3$계의 Foam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am Formation of Slag-Quartz-$Na_2$$CO_3$ System)

  • 박현수;김종희;천성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27
    • /
    • 1976
  • Foam formation of Slag-Quartz-$\textrm{Na}_2\textrm{CO}_3$ system was investigated. The foaming agent used was sulphide and sulphate compounds which are present in the slag. The microstructures and x-ray analysis of foam slag, the effect of composition and particle size of slag on the formation temperature, and foam size and distribution of slag foam were studied. The Increment of $\textrm{Na}_2\textrm{O}$ in the slag batch composition decrease the initial foam formation temperature and enhance the foam growth. The formation of temperature and soaking time had pronounced effect on the foam growth and increasing the glass phase in the slag foam.

  • PDF

염건조기(굴비)의 가공조건이 n-Nitrosamine(NA)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2보. 염건조기의 가공 및 저장중 NA의 변화-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 of the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Gulbi) on n-Nitrosamine(NA) Formation during Its Processing 2. Changes of NA in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 이수정;신정혜;소명환;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52-459
    • /
    • 1998
  • In 7 kinds of Gulbi purchansed from Yosu, Sunchon and Chinju, N-nitrosamine (NA) such as N-nitrosodimethylamine (NDMA), N-nitrosodiethylamine (NDEA) and N-nitrosodipropylamine(NDPA), were detected and their content was 2.8∼78.3$\mu\textrm{g}$/kg, trace and 0∼1.4$\mu\textrm{g}$/kg, respectively.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s on NA formation in the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Guibi), prepared by using the different salting method like dry and brine salting by pure and crude salt. NDMA, NDEA and NDPA were not detected in raw sample, but NDMA content increased in yellow corvenia during its salting (27.6∼37.4$\mu\textrm{g}$/kg), and then drastically decreased in Gulbi stored for 40 days, ranging from 2.8 to 4.3$\mu\textrm{g}$/kg. Content of above NA was inhibited more effectively in the samples prepare with brine salting method than with the dry salting method during its processing and storage. Especially, NA in the sample prepared with brine salted and dried yellow corvenia using the pure salt was detected in the lower concentrations, and that of NDMA, NDEA and NDPA was 2.8∼27.6, trance and ND-2.7$\mu\textrm{g}$/kg, respectively.

  • PDF

중이온 빔 조사에 의한 담배의 돌연변이 유도와 내염성 식물의 선발 (Mutation Induction and Selection of Salt-tolerant Plants by Heavy-ion Beam Irradiation in Tobacco Proembryo)

  • 배창휴;;민경수;김동철;정재성;이춘환;임용표;이효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3-107
    • /
    • 1998
  • 중이온 빔을 이용한 방사선 돌연변이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담배의 수분ㆍ수정 직후의 원배에 100 Gy의 중이온빔을 조사하여 $\textrm{M}_{1}$세대의 종자를 얻었다. NaCl 20과 25%를 포함된 MS배지에 $\textrm{M}_{1}$세대의 종자를 파종하여 17개통의 NaCl저항성 식물체를 선발하였다. 저항성 식물체는 BY-4품종에 $^{14}\textrm{N}$빔을 조사한 처리구에서만 관찰되었다. $\textrm{M}_{1}$세대의 저항성 식물체의 경우 영양생장기간 중에는 외형적 변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생식생장기의 화기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이가 관찰되었다. 특히 암술 수술의 길이의 변화, 꽃잎의 변화, 불완전 화분립, 줄기당 꽃의 착생수 감소 등의 변이가 발생하였다. $\textrm{M}_{1}$세대에서 17개의 NaCl저항성 계통 중에서 8계통은 $\textrm{M}_{2}$ 세대에도 저항성형질이 발현되었고, 또한 $\textrm{M}_{2}$세대의 3계통은 Mannitol이 포함된 배지에서 저항성을 보여주었다.

  • PDF

염지액농도, 염지시간 및 염지압력에 따른 계란의 염 침투효과 (Permeation Effect of NaCl into Shell Egg with Concentration of NaCl Solution, Salting Time and Salting Pressure)

  • 전기홍;유익종;장윤희;강통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5-131
    • /
    • 1993
  • 본 시험은 계란의 껍질을 파괴하지 않고 적절한 압력을 이용하여 적절한 농도의 염지액이 단시간 내에 계란의 난백 및 난황층으로 이동되어 염분이 가미된 계란을 제조한 다음 이를 열처리 과정을 거쳐서 반숙 또는 완숙된 계란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열처리하지 않은 가염된 생계란을 제조하여 편리하게 식용할 수 있는 계란의 가미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지계란의 염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염지액 농도(0~40%, wt/vol), 염지시간(O~45h), 그리고 염지압력(O~4.5kg/$\textrm{cm}^2$) 등으로 이들 조건에 따른 계란의 소금 험하였다. 계란의 소금농도는 염지액농도, 염지시산, 염지압력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구 중 난백내에서 0.70~l.00%, 그리고 난황내에서 0.40~0.45%가 가장 바람직한 염농도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염지계란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관능검사는 염지액농도(20~40%) 염지시간(12~20h), 그리고 염지압력(3~4.5kg/$\textrm{cm}^2$)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위 시험의 결과, 염지계란을 제조하는 조건으로 염지액농도 30%, 염지시간 16h 그리고 염지압력 4.0kg/$\textrm{cm}^2$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